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00:08:57

잭 더 리퍼(명탐정 코난)

파일:잭 더 리퍼.png
<colcolor=#fff> 이름 잭 더 리퍼[1]
등장 명탐정 코난 극장판 06
베이커가의 망령 (2002)
직업 살인마
나이 불명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하야미 쇼[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명준[3]

1. 개요2. 작중 행적
2.1. 정체
3. 기타

[clearfix]

1. 개요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의 등장인물. 더빙판의 명칭은 살인마 잭. 잭 더 리퍼는 실존 했었던 인물이지만 여기서 설명하는 잭 더 리퍼는 가상 체험 게임인 코쿤의 게임 배경 중 19세기 영국 런던 세계의 인물이다.

2. 작중 행적

코난 일행이 참여한 가상 게임 '올드 타임 런던'의 최종보스로 게임을 클리어하기 위해서는 잭 더 리퍼를 잡아야 한다. 코난 일행이 게임에 참여했을 때는 이미 4명을 죽인 상태였으며, 잭의 행방을 잡기 위해 고군분투 한다.

그러던 중 제임스 모리어티 교수의 지령을 받고 아이린 애들러를 살해하기 위해 오페라 극장에 폭탄을 설치했으며, 간신히 대피한 아이린을 살해하려다 란의 개입으로 실패, 채링크로스 역으로 도망쳐서는 출발하는 기차 안에 숨었고 코난 일행도 그를 쫓아 열차에 올라 탄다.

소년 탐정단을 포함한 대다수가 탈락했고 살아남은 일행인 에도가와 코난, 모리 란, 모로보시 히데키는 기관사에게 요청해 위장한 잭을 포함한 열차 안의 승객들을 한자리로 모으며 코난의 추리를 통해 잭 더 리퍼의 과거가 밝혀진다. 어머니인 허니 챌스턴[4]에게 버림받은 후 빈민가를 떠돌던 잭은 제임스 모리어티 교수에게 거두어진다. 그 후 그의 영재 교육을 통해 무서운 살인귀로 성장하고 말았고, 현재는 모리아티도 제어 할 수 없는 미치광이 살인마가 되었다.[5]

코난의 추리에 의하면 첫번째 살인은 경찰 수사를 흐리기 위해서, 세번째, 네번째 살인은 어머니를 죽인 후 생겨난 광기로 인해서 어머니와 닮은 여자만 보면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게 되었다고 한다. 특이사항이자 코난이 잭을 지목할 수 있었던 증거로, 어머니가 집을 나가기 전에 줬던 반지를 계속 끼고 있던 탓에 오른손 약지가 유독 가늘다. 코난이 잭이라 지목한 기차 승객은...

2.1. 정체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로고(고화질) 2.png
]] 극장판 중간 보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기 2기 3기 4기 5기
시한장치의 마천루14번째 표적 세기말의 마술사 눈동자 속의 암살자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 - - 오다기리 토시야 키사라기 호스이
6기 7기 8기 9기 10기
베이커가의 망령미궁의 십자로 은빛 날개의 마술사 수평선상의 음모 탐정들의 진혼가
토마스 쉰들러e
잭 더 리퍼de
- - 쿠사카 히로나리ae 이토 스에히코e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감벽의 관전율의 악보 칠흑의 추적자 천공의 난파선 침묵의 15분
마츠모토 미츠시e
이즈야마 타로e
- 혼조 카즈키
아이리시bcd
니시타니 카스미
이시모토 준페이
토노 미즈키bc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11번째 스트라이커절해의 탐정 이차원의 저격수 화염의 해바라기 순흑의 악몽
- 쿠라타 마사아키b
타케카와
잭 월츠 - 큐라소cd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진홍의 연가제로의 집행인감청의 권 비색의 탄환할로윈의 신부
카이에다 토고de - 레온 로e 시라하토 마이코ae 엘레니카 라브렌티예바abce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흑철의 어영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척안의 잔상 미정 미정
핑가d 브라이언 D. 카도쿠라 - - -
콜라보
코난 실종사건
나나
e
【 설명 】
[a]: 악역이 된 선역
[b]: 악당이 아닌 반동인물
[c]: 갱생한 캐릭터
[d]: 사망한 캐릭터
[e]: 페이크 최종 보스
}}}}}}}}}
파일:빨강머리 앤 잭 더 리퍼.jpg
승객으로 변장한 모습
자리 구석에 앉아있던 빨간머리의 여성이 잭 더 리퍼였다. 정체를 들키지 않도록 여자로 변장한 것. 잭 본인도 인정한 듯이 아무 말 없이 오른손의 유난히 가는 약지를 보여주고 변장을 위해 입고 있던 드레스를 찢어 안에 입고 있던 전투복을 드러낸 뒤 연막탄을 던져 모습을 감춘다. 직전 모리 란이 잭을 잡기 위해 덤벼드나 잭과 함께 사라지고 없었고 더불어 잭을 발견하고 도망치던 승객들과 기관사까지 모습을 감췄다.

이때 기관사까지 사라져버려 열차는 이제 멈출 수 없게 되었고 잭은 모리 란붙잡아서 밧줄로 온몸을 꽁꽁 묶어 포박한 뒤[6] 줄로 란과 자신을 연결시킨 채 기차의 지붕 위에서 코난과 히데키를 기다린다. 다가오는 코난과 히데키에게 란이 묶여 있는 줄은 자신의 몸과 연결되어 있으니 자신이 떨어지면 란도 같이 떨어져 죽을 것이라 협박한 뒤 열차가 역에 부딪히기 전에 처리하겠다고 선언하며 덤벼든다.
파일:중간보스 잭 더 리퍼.jpg
코난: 도대체 뭘 더 원하는 거지, 살인마 잭!
잭 더 리퍼: 바라는 것이라...?
코난: 죄없는 여자들을 수도 없이 해치고 모든 원한을 푼 지금 넌 대체 뭘 원하는 거냐?!
잭 더 리퍼: 계속 살아남는 거다. 내 몸 속에 흐르는 이 흉악범의 피를 노아의 방주에 태워 다음 세대로 이어주는 거지! 캬하하하하하하!
코난과의 대치 상황에서 밝힌 그의 마지막 목적은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의 후손을 남기는 것. 자신의 몸에 흐르는 흉악범의 피를 노아의 방주에 태워서 다음 세대까지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셜록 홈즈가 라이엔바흐 폭포에서 제임스 모리아티에게 했던 명대사[7]를 떠올린 모리 란에 의해 함께 떨어져 사망한다.[8]

3. 기타

  • 현실의 잭 더 리퍼는 끝내 잡히지 않았고 이 잭 더 리퍼 역시 가상 세계의 인물인데다 란의 동귀어진에 죽었지만 만약 붙잡혀 처벌을 받았다면 교수형을 받았을 것이다.[9]
  • 쿠도 유사쿠에 따르면 원래 게임에서는 잭의 정체가 영생을 꿈꿨던 한 귀족이었다는 엔딩을 준비했으나, 코쿤을 장악한 노아의 방주가 토마스 쉰들러의 조상임을 밝히기 위해 엔딩을 바꿔버렸다. 그래서 잭 더 리퍼의 정체와 동기가 밝혀지는 장면과, 현실에서 토마스 쉰들러의 범죄가 밝혀지는 장면이 같은 컷에서 합주되듯 펼쳐진다.
  • 실제로 코난 도일이 잭을 여장남자로 추정했다는 설정을 반영했는지 기차 안에서 여자로 변장했다가 정체를 드러낸다.
  • 역대 중간보스들 중에서 최초로 사망한 중간보스이자, 유일한 가상 세계의 존재(게임 속 NPC)다. 6기 중간보스의 사망 이후, 나머지 몇몇 중간보스들도 사망한다.
  • 설정상 분명 영국 태생의 영국인인 가능성이 높은데, 복장이나 행동은 닌자와 유사하다.
  • 게임 속 등장인물로 나왔지만 극장판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존속살인을 저지른 것이 명백히 드러난 캐릭터다. 또한 이 부분은 국내 더빙판에서도 수정없이 나왔다.


[1] 본명은 불명.[2] 이후 모로후시 타카아키를 맡는다.[3] 후속작에서 사이조 타이가 역을 맡았다.[4] 작중 두번째 살인 피해자이며, 윈저(Windsor)라는 도시에서 결혼하여 아들을 가졌다. 그러나 젊고 꿈이 많았던터라 남편과 아들을 버리고 런던으로 떠났으며, 집을 나갈 당시에 아들에게 작은 반지를 끼워주고 집을 나갔다고 한다. 그녀가 살해된 날짜는 9월 8일 토요일이였으며, 매달 2번째 토요일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 만든 물건으로 바자회를 여는 날이였다.[5] 모리어티 교수에게 거둬지고부터의 이야기는 이전 모리어티 본인이 이야기 한 것이다.[6] 본인이 직접 란을 제압한 것인지 노아의 방주의 소행인지는 불명.[7] 쿠도 신이치APTX4869를 먹어 코난으로 줄어든 날에, 더 정확하게는 어린아이로 변하기 이전 놀이공원에서 '네 녀석을 확실하게 파멸시킬 수만 있다면,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나는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이겠다.'[10]라는 대사를 롤러코스터를 타기 직전 말해줬다.[8] 잭 더 리퍼가 떨어지기 직전에 줄을 끊으려고 했지만 이미 늦은 후였다.[9] 당시 영국 형사처벌법에서는 사형수는 구체적인 죄목과 상관없이 교수형이 일반적이었다. 참수형은 불과 한 세기 전인 18세기 때나 주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