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dcb35c> | 장기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dcb35c> 게임 구성 | ||
<colcolor=#8F5432> 구성 | <colcolor=#000,#fff>장기판 · 기물(틀) | ||
포진 | 원앙마 포진 · 귀마 포진 · 면상 포진 · 양귀마 포진 · 양귀상 포진 | ||
파생 게임 | 변형장기(꼬마장기 · 십이장기 · 업기장기 · 광상희) · 대전! 가위바위보 장기 | ||
전략 | 낱장기 · 장기 박보(부동수 박보 · 연장군 박보 · 도비 연장군 박보) · 합병 | ||
규칙 | 장군 · 멍군 · 빅장 · 외통수 · 멱 · 행마 · 초읽기 | ||
장기 선수 | |||
기관 | 대한장기연맹 · 대한장기협회 · 한국장기연맹 | ||
장기 기사 | 김동학 · 김경중 · 송은미 · 우창균 · 박영완 · 김기영 · 임대빈 · 이동준 · 김철 · 이창원 | ||
기타 | |||
장기 게임 | 장기 for kakao · 한게임 장기 · Pychess | ||
장기 엔진 | 장기도사 · 스톡피시 | }}}}}}}}} |
1. 개요
장기의 기물과 행마법을 설명하는 문서. 참고로 장기에서 쓰는 말의 올바른 표기법은 장기짝이 맞지만 이 문서에서는 흔히 쓰이는 장기말로 표기한다.1.1. 기물 점수
서로가 궁을 잡지 못하는 등의 상황에 빠지는 경우 원래대로는 무승부지만 공식 대회에서는 어떻게든 승패를 결정하기 위해 남아있는 기물을 보고 승부를 가린다.[1] 이때 기물의 개수가 많은 쪽이 이기는 게 아니라, 기물별로 점수를 매겨서 총점이 높은 쪽이 이기는 것이다. 이를 '점수제'라 하며, 각 기물별 점수는 아래와 같다. 총점은 72.0점이다.기물 | 점수 | 기물수 | 합계 |
궁 | - | 1 | -[2] |
차 | 13 | 2 | 26 |
포 | 7 | 2 | 14 |
마 | 5 | 2 | 10 |
상 | 3 | 2 | 6 |
사 | 3 | 2 | 6 |
졸·병 | 2 | 5 | 10 |
합계 | 16 | 72.0(+1.5) |
후수에게는 1.5점의 추가 점수가 주어진다. 뒤의 소수는 무승부 방지용이다. 따라서 초는 72.0점, 한은 73.5점부터 시작한다.[3]
2. 행마법
2.1. 궁(楚·漢, King)
2.2. 사(士·士, Guards)
2.3. 차(车·車, Rook)
2.4. 포(包·包, Cannon)
2.5. 마(马·馬, Knight)
2.6. 상(象·象, Elephant)
2.7. 졸·병(卒·兵, Pawn)
[1] 또한 원래 무승부로 처리되는 상황(빅장을 받지 않거나 동일한 수를 반복하는 경우)도 그에 대한 별도 규정을 정해두고 있는데, 주관하는 단체에 따라 처리 방법이 다르다.[2] 장기는 궁을 잡는 게임이므로 점수를 매길 수 없다.[3] 바둑도 비슷한 제도가 있다. 같은 급의 사람끼리 대국을 할 때 후수인 백을 쥐는 사람에게 추가로 6.5점의 덤을 주기에 이쪽도 점수 비교를 할 때 무승부가 나올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