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AE1C28><colcolor=#ffffff> 잔드라 벨제부르 Xandra Velzeboer | |
| | |
| 본명 | 크산드라 펠제부르[1] |
| 출생 | 2001년 9월 7일 ([age(2001-09-07)]세) |
| 헬데를란트 주 퀼렘보르흐 | |
| 국적 | |
| 신체 | 165cm |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
| 국가대표 | 2018-19~2025-26 (8시즌) |
| 소속사 | Miracle Sports Corporation |
| 가족 | 아버지 마르크 벨제부르, 어머니 고모 모니크 벨제부르, 시모너 벨제부르 여동생 미헬러 벨제부르[2] |
| SNS | |
1. 개요
네덜란드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이며, 現 여자 500m 세계기록(41.416) 보유자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잔드라 벨제부르/선수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잔드라 벨제부르/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스프린터 스타일의 선수로 폭발적인 가속과 스피드 그리고 순발력이 특징인 선수다. 대표팀의 에이스 쉬자너 스휠팅을 제외한 멤버들이 대부분 단거리가 주 종목인 선수들인데 그 중에서도 두드러진 활약상과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는 선수다. 나이가 어린 편에 속하는 선수이지만 인코스 기술 완성도가 높은 편이며, 순발력과 테크닉적인 부분은 스휠팅보다도 더 뛰어나다. 그러나 대다수의 스프린터 선수들이 그러하듯 체력이 그리 뛰어난 편은 아니라 1500m에서는 장점들이 반감되는 편이다. 지구력을 보완한다면 훨씬 더 위협적인 선수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다. 2022-23 시즌부터는 체력적으로도 한 단계 올라온 모습을 보여주었고 1500m는 아직 위협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1000m에서는 세계선수권에서 스휠팅과 최민정을 꺾고 우승을 차지할 정도로 성장을 이뤘다.단거리 전문 선수 치고 반응 속도 자체는 아주 빠른 편은 아닌데, 그럼에도 초반 가속 능력이 워낙 뛰어나서 500m에서 1위 혹은 선두권으로 출발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음으로 부각되는 부분은 아니다.
계주에서는 스휠팅과 함께 핵심 멤버로 활약하며, 스휠팅의 부재 시 에이스 포지션인 2번 주자를 맡을 정도로 경쟁력을 인정받는 선수다. 오히려 기량이 급격하게 성장한 2022-23 시즌부터는 준수한 스타트와 좋은 신체조건으로 강한 푸쉬가 가능한 스휠팅을 1번으로, 가속 및 추월 능력이 더 우수한 벨제부르를 2번 주자로 진행하는 계주가 더 많아졌다. 부상으로 인해 스휠팅이 자리를 비우는 일이 많아진 2023-24 시즌부터는 사실상 고정 2번 주자로 활약하고 있으며 선두를 한 번 잡으면 거의 뺏기지 않는 네덜란드의 든든한 에이스로 자리잡았다.
다만 폭발적인 스피드가 주체가 되지 않는 탓인지 유독 혼성 계주에서 혼자 넘어지는 모습을 종종 보이곤 한다.
4. 수상 기록
| | ||
| 금메달 | 2022 베이징 | 3000m 계주 |
| | ||
| 금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3000m 계주 |
| 금메달 | 2022 몬트리올 | 500m |
| 금메달 | 2023 서울 | 혼성 2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서울 | 3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서울 | 500m |
| 금메달 | 2023 서울 | 1000m |
| 금메달 | 2024 로테르담 | 3000m 계주 |
| 금메달 | 2025 베이징 | 500m |
| 은메달 | 2024 로테르담 | 500m |
| 동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1500m |
| 동메달 | 2022 몬트리올 | 3000m 계주 |
| 동메달 | 2022 몬트리올 | 종합 |
| 동메달 | 2022 몬트리올 | 1000m |
| 동메달 | 2025 베이징 | 3000m 계주 |
| 동메달 | 2025 베이징 | 1000m |
| | ||
| 금메달 | 2023 그단스크 | 혼성 2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그단스크 | 3000m 계주 |
| 금메달 | 2024 그단스크 | 혼성 2000m 계주 |
| 금메달 | 2024 그단스크 | 3000m 계주 |
| 금메달 | 2024 그단스크 | 500m |
| 금메달 | 2025 드레스덴 | 1500m |
| 은메달 | 2021 그단스크 | 3000m 계주 |
| 동메달 | 2021 그단스크 | 500m |
| 동메달 | 2024 그단스크 | 1000m |
| | ||
| 금메달 | 2020 보르미오 | 3000m 계주 |
| 금메달 | 2020 보르미오 | 500m |
| 은메달 | 2019 몬트리올 | 500m |
| 동메달 | 2018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 | 500m |
4.1. 월드 투어 성적
| | ||||
| 500 m 1위 | 2022-23 시즌, 2023-24 시즌 | |||
| 1000 m 1위 | 2024-25 시즌 | |||
| | ||||
| 월드 투어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 종합 | 0 | 1 | 1 | 2 |
| 500 m 랭킹 | 2 | 1 | 0 | 3 |
| 1000 m 랭킹 | 1 | 0 | 0 | 1 |
| 합계 | 3 | 2 | 1 | 6 |
| 월드 투어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 500 m | 13 | 1 | 1 | 15 |
| 1000 m | 2 | 3 | 6 | 11 |
| 1500 m | 0 | 0 | 1 | 1 |
| 개인전 합계 | 15 | 4 | 7 | 26 |
| 3000 m 계주 | 12 | 2 | 2 | 16 |
| 2000 m 혼성 계주 | 5 | 5 | 1 | 11 |
| 계주 합계 | 17 | 7 | 3 | 27 |
| 메달합계 | 32 | 11 | 11 | 54 |
| 랭킹 + 메달 합계 | 35 | 13 | 12 | 60 |
|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 2019-20 | - | 23위 | - | - |
| 2021-22 | - | 6위 | 4위 | 9위 |
| 2022-23 | 8위 | 1위 | 11위 | 30위 |
| 2023-24 | 3위 | 1위 | 12위 | 8위 |
| 2024-25 | 2위 | 2위 | 1위 | 8위 |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4] | ||||
2024-25 시즌 수상기록까지
5. 여담
- 좋아하는 선수는 그녀의 팀 선수들과 여동생이다.
- 한국에서는 영어식으로 읽은 '산드라 벨제보어'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한국 팬들은 주로 '벨제'라고 부른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1500m 여자 결승 경기에서 5위로 결승선 통과 이후 최민정에게 다가가 축하해주는 모습을 보였다.
- 동생 미헬러 벨제부르도 쇼트트랙 선수이다. 두 자매가 모두 경기에 넥워머를 착용하고 나와 쇼트트랙 팬들 사이에서는 넥워머 시스터즈라는 호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미헬러도 2022-23 시즌 시니어 국가대표에 승선하면서 언니와 같은 팀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 고모인 모니크 벨제부르는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에 시범 종목으로 열린 쇼트트랙 선수로 출전하여 500m 금메달, 1000m 동메달, 1500m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는 500m 결승에 진출하였지만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1994년 동계 올림픽 출전을 위해 훈련하던 중 부상을 입어 하반신 마비가 되었고 그 후로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모니크의 남매들도 모두 쇼트트랙 선수였는데, 마르크[7]와 시모너 벨제부르[8] 또한 1992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적이 있다. 아무쪼록 스케이트에 재능이 있는 집안임은 틀림없다.
- 2024-25 월드 투어에서 같은 팀의 남자부 에이스 옌스 판트바우트와 똑같이 남녀부 월드 투어 랭킹 2위를 차지했는데 공교롭게도 둘 다 950점을 기록했다.
6. 둘러보기
[include(틀:기네스 등재 기록, TitleEn=Fastest speed skating [short track] 500 m(Female), TitleKr=가장 빠른 500m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여자), Link=http://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speed-skating-short-track-500-m-(women), Who=잔드라 벨제부르, What=41.416, Where=미국 솔트레이크시티, When_Y=2022년, When_MD=11월 16일)]| 잔드라 벨제부르의 수상 이력 | ||||||||||||||||||||||||||||||||||||||||||||||||||||||||||||||||||||||||||||||||||||||||||||||||||||||||||||||||||||||||||||||||||||||||||||||||||||||||||||||||||||||||||||||||||||||||||||||||||||||||||||||||||||||||||||||||||||||||||||||||||||||||||||||||||||||||||||||||||||||||||||||||||||||||||||||||||||||||||||||||||||||||||||||||||||||||||||||||||||||||||||||||||||||||||||||||||||||||||||||||||||||||||||||||||||||||||||||||||||||||||||||||||||||||||||||||||||||||||||||||||||||||||||||||||||||||||||||||||||||||||||||||||
| ||||||||||||||||||||||||||||||||||||||||||||||||||||||||||||||||||||||||||||||||||||||||||||||||||||||||||||||||||||||||||||||||||||||||||||||||||||||||||||||||||||||||||||||||||||||||||||||||||||||||||||||||||||||||||||||||||||||||||||||||||||||||||||||||||||||||||||||||||||||||||||||||||||||||||||||||||||||||||||||||||||||||||||||||||||||||||||||||||||||||||||||||||||||||||||||||||||||||||||||||||||||||||||||||||||||||||||||||||||||||||||||||||||||||||||||||||||||||||||||||||||||||||||||||||||||||||||||||||||||||||||||||||
[1] 네덜란드어 x 발음 (/ɪks)를 한글 표기하면 'ㅋㅅ'에 가깝다. v가 어두에 올 경우에는 ‘ㅍ, 프’로 적는다.[2] 동생도 네덜란드 쇼트트랙 국가대표이다.[3]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4]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15개의 80%인 12개까지 표기[5] 정확하게는 페이스 쉘드다.[6] 헬멧의 이름은 바이저 헬멧[7] 잔드라의 아버지이다.[8] 고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