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97년) ~ 26회(2022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 1997 말뫼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5회 | 2011 헤이렌베인 | ||
| 2회 | 1998 부다페스트 | 16회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
| 3회 | 1999 오버스트도르프 | 17회 | 2013 말뫼 | |||
| 4회 | 2000 보르미오 | 18회 | 2014 드레스덴 | |||
| 5회 | 2001 덴 하흐 | 19회 | 2015 도르드레흐트 | |||
| 6회 | 2002 그르노블 | 20회 | 2016 소치 | |||
| 7회 |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 21회 | 2017 토리노 | |||
| 8회 | 2004 주테르메이르 | 22회 | 2018 드레스덴 | |||
| 9회 | 2005 토리노 | 23회 | 2019 도르드레흐트 | |||
| 10회 | 2006 크르니차즈드루이 | 24회 | 2020 데브레첸 | |||
| 11회 | 2007 셰필드 | 25회 | 2021 그단스크 | |||
| 12회 | 2008 벤츠필스 | 26회 | 2022 드레스덴 | 취소COVID-19 | ||
| 13회 | 2009 토리노 | |||||
| 14회 | 2010 드레스덴 | |||||
}}}}}}}}} ||
| 종합 우승제 폐지: 27회(2023년)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7회 | 2023 그단스크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8회 | 2024 그단스크 | 500m | ||
| 1000m | 1000m | |||||||
| 1500m | 1500m | |||||||
| 29회 | 2025 드레스덴 | 500m | 회 | 500m | ||||
| 1000m | 1000m | |||||||
| 1500m | 1500m | }}}}}}}}} | ||||||
| ISU 쇼트트랙 주요 시니어 대회 역대 우승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 }}}}}}}}} | |||||||
| <colbgcolor=#AE1C28><colcolor=#ffffff> 옌스 판트바우트 Jens van 't Wout | |
| | |
| 출생 | 2001년 10월 6일 ([age(2001-10-06)]세) |
| 노르트홀란트 주 라렌 | |
| 국적 | |
| 국가대표 | 2019-20~2025-26 (7시즌) |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1500m |
| 가족 | 부모님, 형 멜러 판트바우트 |
| 링크 | |
1. 개요
네덜란드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며, 싱키 크네흐트의 뒤를 이은 네덜란드 남자 대표팀의 에이스이자 간판 스타이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옌스 판트바우트/선수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옌스 판트바우트/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수상 기록
| | ||
| 금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서울 | 혼성 2000m 계주 |
| 은메달 | 2024 로테르담 | 1500m |
| 동메달 | 2023 서울 | 500m |
| 동메달 | 2025 베이징 | 500m |
| | ||
| 금메달 | 2021 그단스크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그단스크 | 혼성 2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그단스크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그단스크 | 1500m |
| 금메달 | 2025 드레스덴 | 500m |
| 금메달 | 2025 드레스덴 | 1500m |
| 은메달 | 2023 그단스크 | 500m |
| 은메달 | 2023 그단스크 | 1000m |
| 은메달 | 2025 드레스덴 | 혼성 2000m 계주 |
| 은메달 | 2025 드레스덴 | 1000m |
| | ||
| 은메달 | 2019 몬트리올 | 3000m 계주 |
| | ||||
| 월드 투어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 종합 | 0 | 1 | 0 | 1 |
| 500 m 랭킹 | 0 | 0 | 1 | 1 |
| 1000 m 랭킹 | 0 | 1 | 0 | 1 |
| 1500 m 랭킹 | 0 | 0 | 1 | 1 |
| 합계 | 0 | 2 | 2 | 4 |
| 월드 투어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 500 m | 1 | 0 | 2 | 3 |
| 1000 m | 4 | 1 | 0 | 5 |
| 1500 m | 2 | 1 | 3 | 6 |
| 개인전 합계 | 7 | 2 | 5 | 14 |
| 5000 m 계주 | 2 | 2 | 2 | 6 |
| 2000 m 혼성 계주 | 6 | 4 | 1 | 11 |
| 계주 합계 | 8 | 6 | 3 | 17 |
| 메달합계 | 15 | 8 | 8 | 31 |
| 랭킹 + 메달 합계 | 15 | 10 | 10 | 35 |
|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 2021-22 | - | 14위 | 10위 | 21위 |
| 2022-23 | 9위 | 18위 | 11위 | 7위 |
| 2023-24 | 13위 | 25위 | 6위 | - |
| 2024-25 | 2위 | 3위[2] | 2위 | 3위 |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3] | ||||
2024-25 시즌 수상기록까지
2024-25 시즌 ISU 바이오에 랭킹기록 누락
4. 여담
- 2019년 이스라엘의 블라디슬라프 비카노프[4]와의 충돌로 큰 부상을 입어 턱에 큰 흉터가 생겼으며 두 개의 치아를 잃었다. 큰 트라우마가 될 수 있었음에도 그는 이 점을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로 삼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비카노프와도 같이 훈련하는 동료로서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만 2살 때 캐나다 온타리오로 이민을 갔었다고 하며, 12살이 되는 해에 네덜란드로 돌아왔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모국어가 네덜란드어가 아닌 영어라고 하며, 가족과도 거의 대부분 영어로 대화하고 생각하는 것도 영어로 한다고 한다. 하지만 네덜란드어를 불편해하거나 어려워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영어보다 상대적으로 구사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일 뿐, 일상 생활이나 훈련 중에 코치진 및 팀원들과 소통하는 것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5]
- 캐나다에 살면서는 아이스하키를 먼저 접했으나 워낙 거친 스포츠이다 보니 형과 같이 뇌진탕을 겪기도 했다고 하며, 부모님의 권유로 상대적으로 위험 부담이 덜한 쇼트트랙으로 전향하게 되었다고 한다. 쇼트트랙을 시작한 지 6개월 정도 됐을 때 네덜란드로 이사를 갔다.
- 연년생 형인 멜러 판트바우트도 쇼트트랙 선수이며 옌스와 사이가 굉장히 돈독하다고 한다. 옌스는 헝가리의 리우 샤오린 샨도르, 리우 샤오앙 형제처럼 대표팀에서 형과 함께 올림픽 무대에서 활약하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
- 형 멜러 판트바우트는 같은 국가대표로 활동한 셀마 파우츠마와 연인 관계이다.
- 본인은 조이 델트랍과 연인 사이이다.
- 어린 시절에 윌리엄 단지누와 친한 친구였다고 한다.
- 윌리엄 단지누의 어머니가 메이플 시럽을 매우 잘 만들어서 그걸 얻어 먹었다고 한다.
- 2024-25 월드 투어에서 같은 팀의 여자부 에이스 잔드라 벨제부르와 똑같이 남녀부 월드 투어 랭킹 2위를 차지했는데 공교롭게도 둘 다 950점을 기록했다.
[1]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2] 피에트로 시겔, 조르당 피에르질과 함께 공동 3위[3]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16개의 87%인 14개까지 표기[4] 네덜란드 대표팀에서 훈련하는 선수 중 한 명이다.[5] 언어 장벽 때문에 훈련에 어려움을 겪었던 선수는 캐나다의 코트니 사로가 있다. 사로는 퀘벡 출신이 아니라 프랑스어를 거의 전혀 하지 못해서 대표팀 생활 초기에 고생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