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학 Basic Medicin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9BF66><colcolor=#fff>미생물학 | 기생충학(임상기생충학) · 면역학 · 미생물학 · 열대의학 |
병리학 | 병리학 · 임상병리학 · 종양학 · 해부병리학 (진단세포학 · 조직병리학 · 법의학) | |
생리학 | 생리학 · 신경과학 | |
생화학 | 틀:분자생물학&생화학 | 분자생물학 · 생화학 · 세포생물학 · 유전학 | |
약리학 | 틀:약리학 | 약리학 · 약동학 · 약력학 | |
예방의학 | 틀:예방의학 | 공중보건학 · 역학 · 예방의학 · 의료관리학 · 직업의학 · 환경의학 | |
인문의학 | 생명윤리 · 의료법학(의료법) · 의료경영학 · 의료행정학 · 의사학 | |
해부학 | 발생학 · 조직학 · 신경해부학 · 해부학 | |
기타 분야 | 성과학 · 심리학 · 의공학 · 의학교육학 · 행동과학 | }}}}}}}}} |
1. 개요
Brown.박사의 임상 기생충학(Basic Clinical Parasitology) 1975년도 저 |
임상기생충학(臨床寄生蟲學, Clinical Parasitology) 이란 기초의학의 한 분야로써 일반적인 기생충학과는 달리 기생충을 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학문이다.
2. 상세
학문의 분류로 따지면 더 큰개념인 '임상미생물학(Clinical microbiology) '중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미생물(microorganism)은 세균(bacteria), 바이러스(Virus), 진균(fungus), 기생충(protozoa)를 아우르는 말이나 실재 자연과학을 가르치는 이과대학이나 일반에서 미생물학에 의미는 미생물에서 세균을 하위 분류라 하지않고 (미생물? 그럼 세균 !) 동일하게 보는 경향이 있는듯 하다. 그러나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나 임상병리학을 전공한 임상병리사는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을 임상기생충학, 임상바이러스학(Clinical Virology), 임상진균학Clinical mycology)으로 따로 나누어 조금 더 깊게 가르친다.[1] |
다음은 임상기생충학이 중점적으로 관심을 갖는 것 들이다.
원충류 | 선충류 | |
장내 및 관강기생 원충 | 장내 기생선충 | |
혈액 및 조직기생 원충 | 혈액 및 조직기생 선충 | |
조충류 | 흡충류 | |
장내 기생조충 | 장, 간 및 폐 기생 흡충 | |
장외 기생조충 | 주혈흡충 | |
인체 해충으로서의 절지동물 | 검사 및 진단방법론 | |
곤충강 | 기생충질환의 진단 및 예방 | |
거미강 | 기생충검사법 및 질환의 치료 |
보통 의학을 전공한 의사 , 임상병리학(Medical Laboratory Science) [2] 을 전공한 임상병리사, 수의학 을 전공한 수의사 가 배우는 과목이다.
일반적인 기생충학(ex. 명명법 혹은 분류법, 생활사, 숙주, 충란, 구조) 적 지식을 활용하여 임상검사(임상증상[3], 도말표본에서 나온 충란과 성충, 외과적 수술중에 나온 기생충)를 시행하고 진단하며 치료를 위한 약물을 결정한다.
[1] 수강신청을 하든 안하든 자유이지만 국가시험을 치기위해선 한번쯤은 들어야되는 과목 중 하나이다.[2] 舊 C.P[3] 예를들면, 얼마전 민물회를 먹었는데 갑자기 배가 아프고 구역질이나며 설사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