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1. 개요
2025년 10월 23일 시행된 2025년 일본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2. 1라운드 지명
- 1라운드 지명은 각 구단이 드래프트를 신청한 전국의 모든 고교/대학/사회인야구 선수 중 딱 1명씩 지명하되, 복수 구단 중복 지명 시 추첨으로 결정한다.
| <rowcolor=#fff> 팀 | 1라운드 지명자 | 계약금 |
| | 마츠시타 아유토(호세이대학, 내야수) | 1억엔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 | 이시가키 겐키(켄다이타카사키고교, 투수) | 1억엔 |
| 치바 롯데 마린즈 | ||
| | 히라카와 렌(센다이대학, 외야수) | |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
| | 코지마 타이가(메이지대학, 포수) | 1억엔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 나카니시 마사키(아오야마가쿠인대학, 투수) | |
| 주니치 드래곤즈 | ||
| | 후지와라 소타(하나조노대학, 투수) | |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 타케마루 카즈유키(사기노미야 제작소, 투수) |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 | 후지카와 아츠야(노베오카가쿠엔고교, 투수) | |
| 오릭스 버팔로즈 | ||
| | 오다 코이치로(아오야마가쿠인대학, 내야수) |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
| | 오오카와 제이(메이지대학, 투수) |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 | 타테이시 마사히로(소카대학, 내야수) | |
| 한신 타이거스 | ||
| | 사사키 린타로(스탠포드 대학, 내야수) |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2.1. 중복 지명자 추첨
이 해의 드래프트에는 4명의 중복 지명자가 등장하여 4번의 추첨이 시행되었다.| <rowcolor=#fff> 선수 이름 | 포지션 | 지명 팀 |
| 이시가키 겐키 | 투수 | 치바 롯데 마린즈(교섭권 획득), 오릭스 버팔로즈 |
| 사사키 린타로 | 내야수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교섭권 획득),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 타테이시 마사히로 | 내야수 | 한신 타이거스(교섭권 획득), 히로시마 도요 카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히라카와 렌[재추첨] | 외야수 | 히로시마 도요 카프(교섭권 획득),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3. 2라운드 이후
3.1. 지명 방식
- 2라운드부터 모든 구단이 패스할 때까지, 혹은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의 총합이 120명이 될 때까지 지명한다.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에서 패스할 수 있다.
- 만약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가 120명이 안 될 시, 육성선수 드래프트를 시행한다. 만약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가 120명에 도달할 시, 아직 패스를 선언하지 않은 팀이 있다고 해도 드래프트가 강제종료된다.
- 지명방식은 짝수 라운드는 당해년도 순위의 역순, 홀수 라운드는 당해년도 순위대로 지명하는 방식.
- 양 리그가 1년마다 번갈아 가면서 지명 우선권을 얻는다. 전년도에는 퍼시픽 리그가 먼저 지명했기에 이번에는 센트럴 리그가 우선권을 얻는다.
3.2. 지명 결과
※표시는 지명 거부나 대학 진학, 사회인야구 진출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colbgcolor=#0091db><colcolor=#fff> RD | | | | | | | | | | | | |
| 야쿠르트 | 롯데 | 히로시마 | 세이부 | 주니치 | 라쿠텐 | 요미우리 | 오릭스 | DeNA | 닛폰햄 | 한신 | 소프트뱅크 | |
| 2 → | 마츠카와 레오(내) | 모리 카이토(투) | 사이토 타이치(투) | 이와키 하쿠오(투) | 사쿠라이 요리노스케(투) | 이토 타츠키(투) | 타와 렌(투) | 모리 하루키(투) | 시마다 슌야(투) | 에드폴로 케인(외)[3] | 타니하타 쇼고(내) | 이나가와 류타(투) |
| 3 ← | 야마자키 타이요(내) | 오쿠무라 라이토(투) | 카츠다 나루(내) | 아키야마 슌(외) | 시노자키 쿠니타다(투) | 시게나가 아키라(내) | 야마시로 쿄헤이(투) | 사토 류가(투) | 미야시타 아사히(내) | 오오츠카 루안(내) | 오카시로 타이세이(외) | 스즈키 고타(투) |
| 4 → | 마스이 쇼타(투) | 사쿠라이 유우야(내)[4] | 쿠도 타이키(투) | 호리코시 케이타(투) | 노토 키라무(외) | 오오사카에 토시야(포) | 미나카와 타케토(외) | 쿠보타 쿄스케(외) | 카타야마 히로미(투) | 한다 미나토(내) | 하야세 사쿠(투) | 사가라 마사토(투) |
| 5 ← | 스즈키 렌고(투) | 후지 하야토(투) | 아카기 세이야(투) | 요코타 소와(내) | 신보 마오(내) | 이토 타이세이(투) | 코하마 유토(내) | 타카야 슈(투) | 나루세 슈토(내) | 후지모리 카이토(포) | 노토 슈토(투) | 타카하시 타카노리(내) |
| 6 → | 이시이 타쿠미(내) | 오쿠무라 료지(포) | 니시카와 아츠무(내) | 카와다 유신(외) | 하나다 아사히(외) | 쿠타니 류(투) | 후지이 켄쇼(내) | 이시카와 케니(투)[5] | - | - | - | - |
| 7 ← | 이이다 류토(투) | 타나카 야마토(투) | 타카기 하야토(투) | - | - | 사카우에 쇼야(외) | - | 노가미 시키라(포) | - | - | - | - |
4. 육성선수 드래프트
4.1. 지명 방식
- 지명 선수가 120명 미만인 경우에 드래프트 종료 후에 이루어진다.
- 지명방식은 홀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의 역순, 짝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대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이 해에는 드래프트 지명 선수가 73명이었기 때문에 육성선수 드래프트를 진행한다.
4.2. 지명 결과
※표시는 지명 거부나 대학 진학, 사회인야구 진출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colbgcolor=#0091db><colcolor=#fff> RD | | | | | | | | | | | | |
| 야쿠르트 | 롯데 | 히로시마 | 세이부 | 주니치 | 라쿠텐 | 요미우리 | 오릭스 | DeNA | 닛폰햄 | 한신 | 소프트뱅크 | |
| 1 → | 코미야 유메(투) | 나카야마 유토(투) | 코바야시 유야(포) | 아라이 유이토(내) | 마키노 켄신(투) | 호로무라 다이타(외) | 토미시게 에이지로(투) | 미카타 하루토(외) | 시미즈 우타(내) | 츠네야 히로키(내) | 진구 류스케(투) | 이케다 칸타(포) |
| 2 ← | - | 타카하시 카이슈(투) | 키시모토 다이키(내) | 이마오카 타쿠무(내) | 이시카와 타이가(내) | 오오츠보 시온(외) | 하야시 키라(투) | 샤피로 마슈 이치로(투)[6] | - | 요코야마 토와(투) | 야마자키 쇼에이(외) | 에자키 아유무(내) |
| 3 → | - | 스기야마 료(외) | - | 사이토 케이신(투) | 미카미 아이스케(외) | 나카자와 타쿠마(투) | 마츠이 렌타로(포) | 나카니시 소타(내) | - | - | - | 오오야 류세이(투) |
| 4 ← | - | - | - | 하마오카 소타(투) | - | 카네코 쿄스케(내) | 코노 유사쿠(투) | 와타나베 잇세이(투) | - | - | - | 오오하시 레오(내) |
| 5 → | - | - | - | 히라구치 히로토(투) | - | 시마하라 타이가(포) | 치넨 타이세이(외) | - | - | - | - | 스즈키 타카히로(내) |
| 6 ← | - | - | - | 마사키 유마(투)[7] | - | - | - | - | - | - | - | 나가사키 렌타(투) |
| 7 → | - | - | - | 안도 킨토(내) | - | - | - | - | - | - | - | 에밀 세라노 프렌사(외)[8] |
| 8 ← | - | - | - | - | - | - | - | - | - | - | - | 오오야마 호쿠토(투) |
5. 여담
- 최대어 중 한 명이자 스탠포드 대학에 입단한 것으로 화제를 모은 사사키 린타로에 대해 지명이 나올 것인가가 관심사였는데, 1라운드에서 2팀이나 지명받았다. 다른 선수들과 달리 사사키의 이름이 호명되자 매우 큰 반응이 나오기도 했으며, 지명 후 오 사다하루가 사사키 본인과 전화를 하는 동시에 CBO인 조지마 겐지는 스탠포드대에 인사를 하러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일단 사사키[9]는 2026년 MLB 드래프트에도 지명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며, 만약 메이저 지명을 받게 될 시 정말 오랜만에 1픽을 날려먹는 상황이 나오게 된다.[10] 또한 소프트뱅크의 경우 3,4군에 선수가 넘쳐나는 바람에 육성이 지지부진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교섭기한인 내년 7월 말까지 입단 협상이 잘 진행되지 않을 시 진지하게 선수 본인의 입단 거부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1] NPB는 KBO와 다르게 드래프트가 열린 해를 이름에 붙인다.[재추첨] [3] 대한민국 국적. 아버지는 나이지리아인, 어머니는 대한민국 국적의 재일 한국-조선인이다. 작은 형인 에드폴로 킹은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 중이다.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본인은 일본 국적이 아니며 이로 인해 일본 대학 대표팀에서도 제외됐다고 밝힌 바 있는데, 후속 언론 보도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으로 밝혀졌다.[4] 태국 국적. 부모님 모두 태국인이다. 외조부는 일본인었지만 태국인이 귀화를 한 것인지 순혈 일본인이었는지 밝혀진 게 없다. 중학생이 될 무렵에 외조부의 성씨인 사쿠라이로 개성했다.[5] 미국(하와이)-일본 혼혈.[6] 미국-일본 혼혈.[7] 조치대학 출신 최초의 드래프트 지명자.[8] 주니치 드래곤즈를 포함한 일본의 3개 팀에서 뛰었던 도밍고 구스만의 아들. 주니치 OB의 주선으로 일본 유학을 와서 야구를 했다.[9] 게다가, 사사키는 아마추어 대학 선수의 영리활동을 허용한 NCAA의 NIL 규정과 캘리포니아주의 The Fair to Play Act(2021년 8월 31일 통과)으로 인하여 제한적 영리활동이 가능하다.[10] 가장 최근은 2011년 스가노 토모유키의 사례로, 알다시피 닛폰햄 입단을 거부하고 재수 후 2012년 드래프트에서 요미우리의 지명을 받고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허나 스가노의 입단 이후 요미우리는 일본시리즈 우승을 단 한 번도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거기다 요미우리는 포스팅 시스템에 굉장히 인색한 팀이라 적령기에 메이저리그 진출을 이루지 못하고 30대 후반이 되어서야 뒤늦게 메이저리그 무대를 밟았다. 본인이 입단을 거부했던 닛폰햄은 2016년에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고 포스팅에 관대한 구단이라는 점을 봤을 때 오히려 닛폰햄에 입단하는게 스가노 개인으로서는 더 나은 커리어를 쌓았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