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22:16:58

음절 문자

문자 체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문자
미해독 문자
해독 문자
그림 문자/표의 문자
상형 문자
표어문자 음절 기반 표어문자
자음 기반 표어문자
표음 문자 분절 문자 아부기다 모음 기반 아부기다
종성-다이어크리틱 기반 아부기다
초성 기반 아부기다
아브자드
알파벳 대체 알파벳
비자질 알파벳
음절 구조 알파벳
자질 알파벳
특수 알파벳 장거리 신호
지문자
촉각 알파벳
음절 문자 반음절 문자 }}}}}}}}}


1. 개요2. 예시3. 반음절 문자4. 음절 문자에 해당되는 문자의 종류

1. 개요

/ Syllabary

음절이 하나의 글자에 대응하는 체계의 문자. 즉, 하나의 글자가 자음 + 모음의 음가를 가지며, 이는 각 글자가 자음이나 모음을 구현하는 음소 문자와는 구별된다. 즉, 하나의 글자를 자음과 모음으로 나눌 수 없다.

기존의 음절이 표현하지 못하는 언어에서 도입한다면 새로운 문자를 몇십 개씩 추가해야 된다. 만약에 미케네 문명이 붕괴하지 않고 존속했다면 유럽 문명권에서 선형문자 B에서 기원된 음절 문자들이 지배해 라틴 문자하고 다르게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기타 등등 수많은 언어들이 새로운 선형문자를 추가로 만들어야 했을 테고, 수천 년 뒤 유럽 언어에 그 여파가 고스란히 남았을 것이다. 물론 그으즈나 캐나다 원어민 음절 문자처럼 기존 문자를 약간씩 변형하는 방식으로 수많은 바리에이션을 만들어 낼 수는 있지만, 그 또한 추가적인 교육이 더 필요한 일이다. 그렇다면 프랑스어나 라틴어 어원인 단어는 생전 듣도 보도 못한 선형문자가 튀어나와서 읽어보지도 못하고 틀리는 상황이 벌어졌을 수도 있고,[1] 외국어 공부를 하면서 라틴어 사전만큼 크고 두꺼운 문자 사전을 별도로 끼고 다녀야 됐을 수도 있다. 덤으로 현대 중국어의 발음 재구 문제처럼 과거의 음운론 연구가 몇 배는 더 어려워졌을 수도 있다.

비슷한 것으로 보조 모음 부호로 모음을 구현하는 아부기다가 있다.

2. 예시

일본어가나가 대표적. 일본어는 모음이 5개(장모음까지 하면 10개)로 그 수가 적고, 극도로 개음절 지향적인 언어이기 때문에 음절 수가 매우 적어(약 100개) 음절 문자를 발달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외래어 발음의 표기에서는 아부기다적인 요소도 있다. [예]

고대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쓰였던 쐐기 문자 일부[3]미케네 그리스어(기원전 16세기-12세기)의 표기 체계인 선형문자 B(Linear B)가 음절 문자였으며, 미노아 문명(기원전 18세기-15세기)의 선형문자 A(Linear A)도 음절 문자에 약간의 표의 문자를 섞어 쓰는 체계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선형문자 A의 해독은 2019년 기준 아직 완료되지 않아 확정할 수 없다.

이 외에는... 몇몇 희귀 언어들이 간혹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인이 접할 수 있는 언어들 중에는 사실상 보기 힘들다.

북아메리카의 체로키인들이 쓰는 체로키 문자 역시 음절 문자이다. 생김새만 보면 라틴 문자와 비슷하여 음소 문자처럼 보이기도 한다.

한글은 음소 문자이지만 모아쓰기 때문에 음절 문자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음소 문자와 음절 문자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문자는 극히 드물다.

3. 반음절 문자

반음절 문자란 음절 문자와 음소 문자의 속성이 혼합된 문자 체계를 말한다. 일부 음절은 음소별로 나눠 적고, 다른 일부 음절은 분리하지 않고 음절에 고유한 문자를 할당하는 체계이다.

반음절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는 극소수다. 이베리아반도 지역에서 고대 로마 세력의 도래로 라틴 문자가 쓰이기 이전에 고히스파니아 제어(Paleohispanic languages)를 표기하는 데 쓰였던 문자들 몇 종류 외에는 사례가 거의 전무하며, 그마저도 현대에는 사멸하였다. 고히스파니아 문자들은 지중해 문화의 영향을 받아 페니키아 문자를 토대로 그리스 문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하였는데, 유형론적으로는 일반적인 고히스파니아 반음절 문자 계열과 타르테소스 문자(Tartessian script)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는 그리스 문자처럼 별도의 모음 기호를 갖추고 있고, 파열음이 아닌 자음 음소를 나타내는 기호도 갖추고 있어 파열음이 아닌 자음과 모음이 결합한 음절은 일반적인 음소 문자 방식으로 표기하나, 파열음(/g, k, b, p, d, t/)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은 음절별로 하나의 별도 기호를 할당하여 표기하였다. 타르테소스 문자(고대 이베리아 서남부에서 사용)는 이상의 고히스파니아 반음절 문자처럼 파열음이 아닌 자음+모음 음절은 음소 문자 방식으로 표기하고, 파열음+모음 음절에서 모음에 따라 파열음 음소의 표기가 달라지기는 하였지만, 파열음 음소와 별도로 모음 음소도 표기되었다.

4. 음절 문자에 해당되는 문자의 종류



[1] 당장 표의 문자인 한자만 보더라도 일반적인 교양을 지닌 한국인은 중국어 백화문에서 사용되는 한자를 읽을 수 없고, 표준적인 교육을 받은 일본인은 광동어 표기에 쓰이는 고유 한자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예] /f/가 들어간 외래어를 표기할 때, Fu는 フ이고, fa-fi-fu-fe-fo는 ファ-フィ-フ-フェ-フォ이다.[3] 쐐기 문자는 단순히 그 형태에만 주목한 명칭이어서 표기 방식이 하나로 결정되지는 않는다. 후기에 사용된 쐐기 문자는 아브자드(우가리트 문자)이거나 로마자(고대 페르시아 문자)인 것도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