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오용국 吳龍國 | |||
<colbgcolor=#ADFF2F><colcolor=#000> 출생 | 1905년 10월 28일 | ||
전라남도 대정군 우면 신효동 (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효동)[1]# | |||
사망 | 1968년 10월 11일 (향년 62세[2]) | ||
북한[3] 일대 | |||
본관 | 군위 오씨[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DFF2F><colcolor=#000> 학력 | 제주공립농업학교[5]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 / 학사) | |
최종 당적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1 | ||
경력 | 제주도 서귀면사무소 회계원 제주농회 서기 제주도 안덕면장 제주도 서귀면장 서귀면 효돈수리조합장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 제헌 국회의원(남제주군 선거구)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2. 생애
1905년 10월 28일 전라남도 대정군 우면 신효동(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효동)에서 아버지 오방률(吳邦律, 1864. 11. 26 ~ 1949. 7. 12)과 어머니 양천 허씨 허선(許善, 1879. 5. 2 ~ 1960. 11. 2)[6] 사이의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7] 아버지 오방률은 대정현의 향반으로 전라도 대정현 유향소(留鄕所)의 별감(別監)이었다. 제주공립농업학교(현 제주고등학교), 일본 도쿄제국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도쿄제국대학 졸업 후 귀국하여 1924년 서귀면에 양원사숙(養源私塾)을 설립하고, 제주도 서귀면 회계, 제주농회 서기 등을 역임했다. 1938년에는 제주도 안덕면장, 1939년부터 1940년에는 제주도 서귀면장을 지냈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잠사업을 경영했다.
8.15 광복 후 서귀면 효돈수리조합장,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제주도 남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8년 6월 2일 헌법기초위원에 선임되며, 헌법을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동년 8월 반민족행위처벌법 기초위원에 선임되며 훗날 이 법을 토대로 만들어지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10월 29일 여순사건으로 피해 받는 지역과 4.3사건으로 피해받는 제주도에 위문공연과 위문품을 보내달라 청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제주도 남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강경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6.25 전쟁이 일어나자 납북되었다.
한편, 1962년 6월 8일 동아일보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세월 53회에는 그의 납북 이후의 행적이 잘 기록되어 있는데, 오용국은 납북 직후 최린·손진태·백관수·서정희·현상윤·고원훈·정인보·백붕제·김상덕·강○택(姜○澤)·형덕기(刑德基)·이담(李潭)·김창덕(金昌德) 등과 함께 반동분자로 낙인찍혔다고 한다. 죽음의 세월 7회
휴전협정 체결 후 그는 같은 제헌 국회의원 출신인 김경도와 함께 평양시의 어느 도자기 공장으로 보내져 일을 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 직업총연맹 회의에서 신랄한 사상비판을 받았고, 이에 그는 홧김에 자신을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되려 '무식한 자들'이라고 욕을 했다고 한다. 결국 그는 곧 평양시 연화동 근처의 어느 창고 같은 병영에 수용되었고, 그곳에 있던 30여명의 남성들과 함께 평안북도 철산군에 있는 광산 강제노동수용소에 보내져 탄광 광부로서 중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당시 같이 일하던 사람들의 대다수는 1956년 8월 종파사건을 전후로 완전히 숙청된 남조선노동당원들로 수천명에 이르렀다. 그 수용소의 노동반장은 유독 오용국에 대하여 밤낮으로 계획 수량을 완수하지 못한다고 욕설을 퍼부었으며, 상부에 보고하여 식량배급을 줄이고 감봉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했는데, 실제로 6개월의 감봉을 당했고 일당 7백그램의 식량에서 1백그램으로 식량배급이 줄여지기도 했다.
오용국은 이에 보복심으로 가득찼고, 어느 비가 몹시 퍼붓던 날 곡괭이로 노동반장의 허리를 수 차례 내리찍어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그는 곧 내무서원에 체포되어 어디론가 연행되었고, 이후의 생사는 알 수 없게 되었다.
3. 둘러보기
파일:제주특별자치도 구 휘장.svg 제주도 제헌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북제주 갑 | 북제주 을 | 남제주 |
공석 | 양병직 | 오용국 | |
* 북제주 갑 홍순녕 사망 (1949.12.23.) | |||
제2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ADFF2F><tablebgcolor=#ADFF2F>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ADFF2F><tablebgcolor=#ADFF2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홍성하 | 이영준 | 지청천 | 김도연 | 김상돈 |
김동원 | 최국현 | 신익희 | 이진수 | 서정희 | |
조중현 | 신현모 | 최석화 | 홍길선 | 이재학 | |
원용균 | 홍범희 | 장기영 | 황호현 | 원장길 | |
최헌길 | 이만근 | 김교현 | 송필만 | 유진홍 | |
임석규 | 이상돈 | 나용균 | 김종문 | 백관수 | |
조한백 | 홍희종 | 이석주 | 정해준 | 진직현 | |
이정기 | 정광호 | 정균식 | 서우석 | 김종선 | |
김문평 | 이정래 | 조국현 | 김준연 | 김용현 | |
장홍염 | 김상호 | 조영규 | 김상순 | 최윤동 | |
서상일 | 백남채 | 박종환 | 김상덕 | 최석홍 | |
허정 | 한석범 | 박해극 | 최봉식 | 이원홍 | |
오용국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