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르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수령 |
| <rowcolor=#D73541> 궁극 오르그 백귀환 → 센키 |
| 대간부 - 하이니스 듀크 | ||
| 슈텐 | 우라 | 라세츠 |
| 하구레 하이니스 락샤사 | ||
| 간부 - 듀크 오르그 | ||
| 츠에츠에 | 야바이바 | 로우키 |
| 프로플라 | 큐라라 | 도로도로 |
| 오르그 삼형제 | ||
| 괴인 |
| 바론 오르그 |
| 전투원 |
| 오르겟토 |
| ← 론다즈 패밀리 우주인군 쟈칸쟈 → | }}} | ||
1. 개요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에 나오는 악의 조직.2. 특징
| 오르그의 본거지 |
| |
| 매트릭스 |
설정상 일본의 요괴인 오니라는 악귀 일족들. 천 년 전의 선대 가오레인저와 싸우다 봉인되었으며 1000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충동의 파동을 느낀 이후 다시 등장하여 인간을 습격한다. 지하 동굴 '매트릭스'라는 깊은 계곡 속 동굴을 거처(본거지) 로 삼아 '오르그 마스터'라는 존재를 섬긴다.
보스인 오르그 마스터를 필두로 최고위 간부 '하이니스 듀크', 중간 간부 '듀크 오르그', 1회성 괴인 '바론 오르그', 그리고 전투병인 오르겟토로 분류된다. 극장판 한정으로 하구레 하이니스 듀크도 등장.
머리에 달린 뿔이 특징으로, 오르겟토를 제외하면 뿔의 갯수에 따라 계급이 나뉜다.[1] 바론 오르그는 둘 이상의 뿔[2], 듀크 오르그 이상은 외뿔[3]이며 하이니스 듀크는 뿔의 크기가 대체로 일반 듀크 오르그들보다 큰 편이다. 이 뿔이 부러지면 오르그는 급격하게 약해진 끝에 결국 사망하게 된다.[4]
시시 카게루가 이들과 대화를 시도하려고 했으나 오르그는 마음이 없기 때문에 실패했는가 하면(철사 오르그)[5], 처음부터 계획적으로 접근한 오르그에게 기만당한 적도 있다.(구리스마스 오르그)
'오르그 시드'라는 씨앗을 통해 거대화가 가능한데, 주로 죽은 오르그의 잔해에 뿌리거나 오르그 시드를 먹어서 거대화를 할 수 있다.
최종 보스인 센키가 가오레인저에게 퇴치된 이후 뒤쪽에서는 유일하게 살아남았던 오르그인 츠에츠에, 야바이바도 매트릭스로 피신했다가 매트릭스가 무너지면서 그 안에서 사망하고, 이후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VS 가오레인저에서 모종의 이유[6]로 살아있었던 츠에츠에랑 야바이바는 츄오보즈와 쟈칸자에게 협력해 가오레인저와 허리케인저를 없애려 하지만 실패하고 둘 다 가오레인저와 허리케인저의 손에 최후를 맞음으로써 오르그는 악의 조직으로도 종족으로도 완전히 멸망한다.
미국판 파워레인저 와일드포스에서는 원작과 달리 후반부 진드랙스(원작의 야바이바)는 톡시카(원작의 츠에츠에)를 부활시킨 뒤 마음을 고쳐먹고 톡시카의 주도로 둘이서 납치된 셰일라 공주[7]의 위치를 파워레인저에게 알려준다. 파워레인저들이 넥서스(원작의 매트릭스)의 방어막을 해제하자 직접 들어가 셰일라 공주를 구출하며 레인저들과 화해한 뒤 자신들을 위한 여행을 떠나겠다며 극에서 퇴장한다. 최종 보스인 마스터 오그도 레인저들에게 패하여 쓰러진 후에는 에필로그에서 젠아쿠(원작의 로우키)가 재등장하여 또 다른 자신이라 할 수 있는 메릭과 함께 여행을 떠나면서 원작과는 달리 악의 조직으로서는 와해되지만 종족의 명맥은 유지하게 된다.
3. 계급
- 하이니스 듀크(Highness Duke / ハイネスデュークオルグ) / 제너럴 오르그 / 장군 오르그 (General Org) - 오르그의 최고 간부로 이 작품의 중간 보스. 뿔은 듀크 오르그와 동일하게 외뿔이나 미묘하게 더 크다. 수장 오르그 마스터를 섬기며 그 뜻을 듀크 오르그에게 전달해준다. 모티브는 빛의 삼원색 + 얼굴의 이목구비.[8] 이름은 유명한 오니(일본 요괴)나 불교 전승의 악귀들에게서 따왔다.[9]
- 듀크 오르그 / 귀족 오르그 (Duke Orgs / デュークオルグ) - 오르그의 간부로 하이니스 듀크를 보좌하는 외뿔인 계급. 중간 관리직과 같아 가오레인저의 말로는 어중간한 중간 관리직이라고 한다. 여기에 야바이바와 츠에츠에가 있다. 미국판 와일드포스에서는 원작의 야바이바 포지션의 진드랙스의 남동생 저글로(원작의 저글링 오르그: 바론 오르그 신분)가 듀크 오르그로 승진했다.
- 바론 오르그 (Baron Orgs / バロンオルグ) - 오르그의 충동이 각각 물건들을 본떠서 태어난 괴인. 뿔은 2개 이상인 것이 특징으로, 비교적 낮은 계급의 오르그. 직역하자면 남작 오르그로 된다. 뿔의 종류는 어떤 경우는 한 쌍의 뿔이 있는가 하면, 셋 이상의 뿔도 있고, 제각각의 여러 뿔들이 있는가 하면 좌우배치가 동일한 뿔들도 있다.
4. 구성원
| 계급 | 이름 | 배우&성우 / 국내판 성우 | |
| 수령 | 신 | 오르그 마스터 | - |
| 궁극 오르그 | 센키 | 고리 다이스케 / 송준석 | |
| 백귀환 | 카토 세이조 / 심정민 | ||
| 대간부[10] | 하이니스 듀크 / 제너럴 오르그 | 슈텐 | 이나다 테츠 / 최한 |
| 우라 | 니시와키 타모츠 / 홍승표 | ||
| 라세츠 | 시바타 히데카츠 & 니시카와 히로미 / 심정민 & 이미나 | ||
| 하구레 하이니스 | 락샤사 | 이이즈카 쇼조 | |
| 간부 | 듀크 오르그 | 츠에츠에 | 사이토 레이 / 이재현, 김필진[11] |
| 야바이바 | 사카구치 코이치 / 박서진, 김정은[12] | ||
| 로우키 | 타케모토 에이지 / 곽윤상 | ||
| 프로플라 | 이시카와 히데오 / 서원석 | ||
| 큐라라 | 아스카이 유타카 / 임하진 | ||
| 도로도로 | 마스타니 야스노리 / 위훈 | ||
| 오르그 삼형제 | 제우스 오르그 | 미야케 켄타 / 시영준 | |
| 포세이돈 오르그 | 미즈키 이치로 / 김호성 | ||
| 하데스 오르그 | 야마가타 유키오 / 홍승표 | ||
| 괴인 | 바론 오르그 | 서원석, 심정민, 임하진, 이미나, 곽윤상 | |
| 전투원 | 오르겟토 | - | |
- 고키
성우는 오카모토 요시노리. 고라쿠엔 유엔치 스테이지 쇼에서만 나옥 악역 및, 스테이지 쇼의 최종 보스. 오르그 마스터의 카게무샤로, 장군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모습에 걸맞게 검을 무기로 사용한다. 하이니스 듀크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슈텐도 그의 명령은 따른다.
- 센키[13]
고라쿠엔 유엔치 스테이지 쇼에서만 나온 악역으로, 고키의 부하. 창을 무기로 사용한다.
5. 오프닝 소개 장면
| 오르그 오프닝 소개 장면 | |
| 1 ~ 14화 | 15 ~ 30화[14] |
| | |
| 31화[15] | 32 ~ 33화[16] |
| | |
| 34 ~ 35화[17] | 36 ~ 49화 |
| | |
| 50 ~ 51화[18] | |
| | |
6. 같이 보기
| 수령‧여간부‧거대화 전담‧거대 소환수 전담‧전투원‧메카 |
[1] 과학전대 다이나맨의 쟈신카 제국도 꼬리의 갯수로 계급이 나뉜다.[2] 물론 뿔의 종류는 천차만별이자 각양각색이다. 어떤 경우는 좌우방향이 동일한 한 쌍의 뿔이 있는 가 하면, 어떤 경우는 세가지 또는 네가지의 뿔이 있고, 어떤 경우는 뿔의 배치가 다른 방향에 있거나 아무렇게나 있는 여러 뿔들이 있는가 하면, 어떤 경우는 가지런하게 놓여있는 여러 뿔들도 있다.[3] 작중 "외뿔오르그"라고 불린다.[4] 작중 부활한 로우키와 츠에츠에가 이런 식으로 죽었다.[5] 미국판 와일드포스에서는 야바이바 포지션의 진드랙스가 마스터 오르그에게 이렇게 울분을 토한다.[6] 어떻게 살아났는지는 불명이지만, 애초에 가오레인저가 츠에츠에와 야바이바를 쫓아가 확인사살하려고 한 적이 없기에 그냥 매트릭스가 무너졌을 때에 사실 죽지 않았고 크게 다쳐서 그간 활동을 하지 않았다고 할 수도 있다.[7] 원작서는 츠에츠에가 궁극 오르그의 심장을 완성시키던 찰나 테톰과 후타로가 난입한다.[8] 슈텐은 빨강 + 눈, 우라는 초록 + 귀 + 코, 라세츠는 파랑 + 입.[9] 미국판 와일드 포스에서는 의학계 용어로 대체되었다. 슈텐은 레티낙스, 우라는 네이저, 라세츠는 맨딜로크.[10] 실상 세 하이니스 듀크가 오르그의 진짜 수령이다. 괜히 센키가 본인을 지고를 넘어선 궁극의 하이니스라고 말하는 게 아니다.[11] 애니박스 극장판 더빙 한정.[12] 애니박스 극장판 더빙 한정.[13] 아이러니하게도 본작의 진 최종 보스랑 동명이인이다.[14] 슈텐이 사망하여 제외되었으며 우라가 추가되었다.[15] 우라가 천 년의 사기로 강화되어 외형이 변경되었다.[16] 우라가 사망하여 제외되었으며 라세츠의 등장이 예고되었다.[17] 라세츠가 추가되었다.[18] 라세츠가 사망하여 제외되었으며 츠에츠에, 야바이바도 제외되었다. 그리고 센키가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