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2 17:43:20

엘도라도 익스프레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화객선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연안 화객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colbgcolor=#004D98> 제주도 <colbgcolor=#aaaaaa> 목포 퀸제누비아 · 퀸제누비아2
진도 산타모니카[상추자도]
완도 송림블루오션[하추자도], 실버클라우드, 한일 골드스텔라
고흥(녹동) 아리온제주
삼천포 오션 비스타 제주
울릉도 포항(영일만) 뉴씨다오펄
울진(후포) 울릉썬플라워크루즈(운휴)
흑산도 신안(압해도) 뉴드림
덕적도 인천 코리아익스프레스

[상추자도] 제주특별자치도 추자면 경유[하추자도] 제주특별자치도 추자면 경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국제 화객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colbgcolor=#004D98> 인천 <colbgcolor=#aaaaaa> 중국 랴오닝성 잉커우시 ARAFURA LILY
중국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XIN YU JIN XIANG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 XIN XIANG XUE LAN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 비룡(BIRYONG)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 NEW GOLDEN BRIDGE VII
중국 산둥성 룽청시(스다오) HUADONG PEARL VIII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ORIENTAL PEARL ⅥII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NEW GOLDEN BRIDGE V
중국 화베이성 톈진시 TIAN REN
중국 장쑤성 롄윈강시 HARMONY YUN GANG
평택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 OCEAN BLUE WHALE
중국 산둥성 룽청시 MV ORIENTAL PEARL VIII
중국 장쑤성 롄윈강시 ZI YU RAN
중국 산둥성 르자오시 RIZHAO ORIENT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 NEW GRAND PEACE
군산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 GUNSAN PEARL
속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ORIENTAL PEARL VI
동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EASTERN DREAM
일본 돗토리현 사카이미나토
부산 일본 후쿠오카 뉴 카멜리아
일본 시모노세키 성희호 · 하마유호
일본 오사카 팬스타 미라클
}}}}}}}}}}}}}}} ||
엘도라도 익스프레스
Eldorado Express
파일:eldorado_ex.png
선박정보
종류 쌍동 쾌속선
운항 노선 포항시 포항항 ~ 울릉군 도동항
취항일 2023년 7월 8일
선급 KRS0C / KRM0C
건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Incat-logo.svg (인캣 조선)
진수년도 2023년 2월 18일
여객 정원 970명
적재용량 248m2(제곱미터)
운항사 (주)대저페리
모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항항
IMO 식별번호 9975959 [1]
제원
전장 76.7m
선폭 20.6m
흘수 2.35m
추진력 캐터필러 C280-16 엔진 4기(Caterpillar C280-16 Marine Diesel Engine x4) 6000kwh x 4
서비스 속도 45 kts (시속 약 83.3㎞)
최고 속도 50.2 kts (시속 약 93㎞)
총톤수 3,158톤

1. 개요2. 특징

1. 개요

기존 포항~도동 노선을 운항하다 2020년에 퇴역한 썬플라워호를 대체하기 위해 대저건설이 인캣 조선에 신규 주문한 파랑 관통형 쌍동여객선.
인캣 홈페이지 대저해운 홈페이지

울릉도까지 소요시간은 2시간 50분으로 모든 여객선 중 가장 빠르고, 날씨가 좋을 때는 2시간 40분이 걸릴 때도 있다.

처음에는 선명 공모전을 진행하여 2022년 7월경 '썬이스트' 라는 이름으로 선박이름이 선정되었으나 다른 선박이 먼저 그 이름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대저페리에서 선명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고자 '엘도라도 익스프레스'라는 선명으로 최종 결정하였다.

5월 12일부터 호주 호바트 연안 앞바다에서 감항성 및 성능테스트 시운전을 하였으며, 1995년 당시 세계 최강 성능이라고 알려진 기존 썬플라워호가 화물 100톤을 실고 운항테스트를 했을 때, 49.6노트를 기록했었는데 엘도라도 익스프레스호는 같은 조건으로 비교했을 때 화물 100톤을 실고 무려 50.2노트를 달성하여, 총톤수 3,000톤 이상 여객선 중에서 다시 한 번 세계 최고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모든 테스트를 통과 후 대저페리 인수팀은 5월 22일 호바트항 출발하였으며, 5월 26일 호주 글래드스톤 ,5월 29일 파푸아뉴기니, 6월 2일 필리핀 다바오, 6월 7일 대만 가오슝을 거쳐서 6월 9일 오전 9시께 대저페리 전 임직원의 환영을 받으며 무사히 포항에 입항했고, 인수팀은 모든 입국 절차와 검역을 거친 후 포항 땅에 하선할 수 있었다.

포항에 도착 후 포항~울릉 간 항로 시험운항을 거쳐서, 2023년 7월 8일 본격 취항했다.#

2025년 모기업 대저건설이 현금 유동성 악화로 인한 법정관리를 신청한데 이어 대저페리도 자금 문제[2]로 대출 상환이 지연되면서 대주단에 의해 선박이 압류될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최근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로 운항결손금을 받을 수 있게 돼 앞으로는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선사인 대저페리도 이번 결정을 통해 울릉군과 경북도의 부족한 지방 재정 여건을 고려하고 2023년에 발생한 결손금 30억원을 수령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2. 특징

  •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초쾌속 여객선
  • 포항~울릉 항로를 25년간 운항하고 2020년 3월 퇴역한 썬플라워호 제작사 '인캣 태즈매니아 조선소' 에서 보완 설계
  • 높은 파도에 강한 파랑 관통형 쌍동 여객선으로 멀미율 크게 감소
  • 인캣 조선소의 단독 기술인 객실과 선체를 완전 분리하는 설계 적용으로 여객의 쾌적함 향상
  • 선체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선체가 가볍고 부식에 매우 강함
  • 이코노미클래스, 비지니스클래스, 퍼스트클래스석 및 부대시설 등 배치로 고객 편의 향상


[1] 인캣 조선소 넘버: HULL099[2] 울릉군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설상가상으로 울릉군청에서 운항횟수 미달을 이유로 운항결손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