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0:03:29

알코르(항성)

알코르
Alcor
파일:imㅈㅈㅈㅈage.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13h 26m 14s
적위 54° 51′ 50.8″
별자리 큰곰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A: A형 주계열성
B: M형 주계열성
분광형 A: A5V
B: M3.5V
거리 81.72 광년
반지름 A: 1.846 태양반경
B: ?
질량 A: 1.84 태양질량
B: 0.25 태양질량
평균 온도 A: 8,221K
B: ?
운동 시선속도 - km/s
자전 속도 228 km/s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9.6 Km/s
절대 등급 2.00
광도 A: 14.03 태양광도
B: ?
명칭
알코르, 80 Ursae Majoris, BD+55 1603, CCDM J13240+5456D, GC 18155, HD 116842, HIP 65477, HR 5062, PPM 34021, SAO 28751, WDS J13239+5456C

1. 개요2. 상세3. 찾는 방법4. 관련 문서

1. 개요


알코르 / Alcor

북두칠성을 이루는 중 하나인 미자르의 옆에 붙어있는 별을 말하며, 한문으론 사조성(死兆星), 시험성(試驗星)이라고 부른다.

2. 상세

파일:1717317222286.jpg
미자르와 이 별은 겉보기쌍성이어서 실제 두 별간의 거리는 매우 멀지만[2], 두 별이 아주 밀접하게 붙어 있는 것처럼 보여서 제대로 구분하기 힘들다.

정확하게는 미자르는 별 4개가, 알코르는 별 2개가 얽혀 있는 다중성계이다. 즉 눈으로 보이기에는 한 개, 시력이 좋은 사람들에게는 두 개의 별이지만 실제로는 6개의 별이 있고 A-A' a-a' B-b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A-A' a-a'까지는 미자르, B-b는 알코르) A와 A' 는 미자르의 대부분으로서 두별의 중심을 기준으로 맞돌고 있는 쌍성이고 a와 a'또한 마찬가지로 맞돌고 있고 이 4개의 별은 가까이 있어서 한개의 별빛으로 합쳐서 보인다. 반면 알코르 또한 별 두개가 쌍성으로 맞돌고 있으나 앞선 미자르와는 거리차이가 있어 보통사람에게는 별 6개가 하나로 보이고 시력이 좋은 사람들에게는 별빛이 미자르와 알코르 두개로 나뉘어 보이는 것이다.[3]

맑은 날 시력이 좋은 사람이 본다면 이 둘을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고대 로마에서는 징병때 이 사조성이 보이느냐 안보이느냐로 시력검사를 했고 합격한 사람만 병사로 지원할 수 있었다.근데 보인다고 거짓말 치면 끝 아닌가?

동양 천문학에서는 보성(輔星)이 대체로 알코르라고 여겨진다. 참고로 북두칠성의 여섯 번째 별, 자루 쪽에서 두 번째 별(미자르)은 중국 천문학에서는 개양(開陽)이라고 불렀다. 즉 개양과 사조성이 쌍성인 것. 이 두 별을 구분하려면 시력이 1.5 이상이어야 했다.

미자르와 알코르의 고유운동은 이들이 함께 움직인다고 추측하게 하는데, 이들이 실제로 중력으로 묶여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가이아 우주 망원경연주시차 분석에서는 미자르와 알코르 사이의 거리가 0.36±0.19 pc로 이전에 알려졌던 것보다 가까울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3. 찾는 방법

찾아보고 싶다면 손잡이 끝에서 두 번째 별인 미자르 옆을 어두운 밤하늘에서 잘 바라보자. 그러나 요즘에 보려면 빛이 전혀 없는 시골로 나가야만 할 것이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남동쪽의 밝게 빛나는 별은 미자르이다.[2] 두 별은 지구, 태양 사이의 거리보다 1만 6천배나 떨어져 있다.[3] 사실 시력이 좋지 않아도 적절한 조건에서는 주변시를 사용해 희미한 잔상 정도를 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