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2 16:21:06

미자르


큰곰자리의 항성
바이어 명명법
ε UMa
큰곰자리의 A형 주계열성
ζ UMa
큰곰자리의 다중성
η UMa
큰곰자리의 B형 주계열성
ζ UMa
미자르
Mizar
파일:미자르.png
옆에 있는 밝은 항성은 알코르이다.

파일:미자르 설명.png
미자르 A와 B를 분리하여 본 결과.
관측 정보
위치 적경 A: 13h 23m 55.543s
B: 13h 23m 56.330s
적위 A: +54° 55′ 31.30″
B: +54° 55′ 18.56
별자리 큰곰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Aa: A형 주계열성
Ab: A형 주계열성
Ba: A형 주계열성
Bb: A형 주계열성-A형 준거성
분광형 Aa, Ab: A2Vp
B: kA1h(eA)mA7IV-V[1]
거리 83 광년
반지름 Aa, Ab: 2.4 태양반경
B: ? 태양반경
질량 Aa: 2.2224±0.0221 태양질량
Ab: 2.2381 ± 0.0219 태양질량
B: 2.1 태양질량[2]
평균 온도 A: 9,000±200 K
B: 8,425 K
운동 시선속도 -6.31 km/s
공전주기 Aa-Ab: 20.5386일
Ba-Bb: 175.55일
이심률 Aa-Ab: 0.5415 ± 0.0016
Ba-Bb: 0.46
나이 3억 7000만 년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2.23
절대 등급 +0.32
광도 33.3±2.1 태양광도
명칭
미자르, ζ UMa, 79 Ursae Majoris, BD +55 1598, CCDM J13240+5456, HIP 65378, WDS J13239+5456
큰곰자리 제타1(Aa-Ab): GC 18133, HD 116656, HR 5054, PPM 34007, SAO 28737
큰곰자리 제타2(B): GC 18134, HD 116657, HR 5055, SAO 28738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1. 개요

미자르 / Mizar

미자르(큰곰자리 제타, ζ UMa)[3]는 지구로부터 83 광년 떨어진 다중성계이다.

북두칠성의 손잡이 끝에서부터 두 번째 별이며, 겉보기 쌍성 알코르와도 함께 알려져 있다.

2. 상세

파일:1717317222286.jpg
미자르는 안시쌍성인 알코르와 6개의 항성들이 포함되는 6중성계를 형성하고 있다.
미자르 Aa와 Ab는 큰곰자리 제타1 항성계을 구성하며, 분광학적으로 구별이 가능한 쌍성계다.[4] 두 별의 질량은 거의 동일하여, 각각의 질량이 상대방 질량의 오차범위 내에 있다.[5] 두 별 모두 화학적으로 독특한 특성을 가진 A형 주계열성들을 의미하는 Ap별로 분류된다.

미자르 Ba와 Bb는 큰곰자리 제타2 항성계를 구성한다. 주성이 짝별에 비해 훨씬 밝아서 주성의 분광선과 궤도운동만을 관측할 수 있지만, 전체 분광형은 kA1h(eA)mA7IV-V으로, 칼슘 K선이 관측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미자르와 알코르는 좋은 하늘에서 맨눈으로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옛날 고대 로마에선 병사들의 시력 테스트로 미자르·알코르를 분간하는 시력 측정법이 있었다고 한다.

큰곰자리 운동성단의 일원이다.

미자르와 알코르의 고유운동은 이들이 함께 움직인다고 추측하게 하는데, 이들이 실제로 중력으로 묶여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가이아 우주 망원경연주시차 분석에서는 미자르와 알코르 사이의 거리가 0.36±0.19 pc로 이전에 알려졌던 것보다 가까울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3. 관련 문서


[1] 미자르 Ba와 Bb의 개별적인 분광형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2] 주성의 궤도운동만 관찰되므로 각각의 질량은 알 수 없고, 질량함수만 구할 수 있다. 이 값은 질량함수를 기반으로 추정한 질량의 합이다.[3] 알코르는 큰곰자리 g(g UMa)라는 별도의 바이어 명칭을 갖고 있다.[4] 두 별의 분광선과 그 이동을 각각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별의 궤도운동이 갖는 시선방향 성분을 모두 검출해 각각의 궤도요소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해 각각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5] 정확히는 1시그마 신뢰구간이다. 천문학을 비롯한 자연과학에서 어떤 측정값의 오차범위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1시그마 신뢰구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오차범위 안에 있을 확률은 68%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