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按舞家 / Choreographer다양한 매체 등의 공연을 위해, 주제에 맞게 안무를 각색, 고안하고, 무용수에게 춤을 가르치는 예술가의 일종. 댄서가 갖는 직업군 중의 하나다.
춤을 비롯한 신체 활동이 들어가는 공연 매체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으로, 정통 무용·뮤지컬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며 백댄서, 아이돌 안무 제작 등 직접적인 지도 교사로서의 모습도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보컬 트레이너의 댄스 버전.[1]
예전에는 뮤지컬이나 정통 무용극에서나 활용하는 직업이었지만, 아이돌 관련 산업이 커지면서 대형 엔터테인먼트사에 소속되거나 독립 스튜디오를 차리는 안무가들도 많아지고 있다.
주로 전직 댄서·무용수·아이돌 등이 나이를 먹으면 일선에서 물러나서 하는 직업이라는 통념이 있었으나, 전문 안무가들도 나오고 현역에 있으면서도 안무가로서 활동하는 등 현재는 그러한 통념이 많이 사라졌다. 안무 저작권료 면에서도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편이다.
2. 유명 안무가
여배우 셜리 맥클레인이 밥 포시, 마이클 키드, 레스터 윌슨 등의 전설적인 브로드웨이 안무가들의 안무 성향에 대해 설명하는 동영상. 맥클레인의 설명에 따르면 밥 포시는 손동작 하나도 틀리면 안 되는 완벽주의자이며, 마이클 키드(7인의 신부 안무가)는 미국 서부시대와 프랑스의 공연무용에 영향을 받아 역동적이고 활기찬 안무를 주로 구사했다 한다. 레스터 윌슨(토요일 밤의 열기 안무가)은 브로드웨이와 헐리우드에서 흑인 무용을 메인스트림에 합류시킨 선구자들 중 한 명. 마지막으로 나오는 알란 존스는 한국에선 별로 알려지지 않은 안무가다. 에미상을 세 번 받은 유명 안무가지만 주로 멜 브룩스와 함께 작업했고 우리나라에 멜 브룩스 영화가 그다지 잘 알려져있지 않기 때문.
2.1. 국내 유명 안무가
- 구슬기(Jerri Coo) - 전 JYP엔터테인먼트 연습생이자 SBS 영재 육성 프로젝트 99%, 슈퍼스타K에 출연
- 권재승
- 김설진
- 김수연 Rina(Zumba 한국 ZES)
- 김예환
- 김화영
- 노제(no:ze) -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WAYB 소속
- 리아킴(Lia Kim) -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 대표
- 리안(Rian) -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라치카 소속
- 리정(Leejung) -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YGX 소속
- 메이제이 리(May J Lee)
- 미나명(Mina Myeong)
- 바다(Bada Lee) - 팀 BEBE의 리더 스트릿 우먼 파이터 2 출연
- 바타(Vata)
- 배윤정
- 백구영
- 백지훈(Jrick Baek) - 제로백 크루의 리더이자 최근 중국에 거대 엔터테인먼트 설립
- 벅키(BUCKEY) - 마네퀸, 네스티샷
- 손성득
- 심재원
- 시미즈(Simeez) -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라치카 소속
- 아이키
- 영제이(Young-J) - 저스트 절크 크루 수장, 저스트 절크 대표
- 우태
- 유준선 - 오마이걸 유아의 오빠
- 이정윤
- 장혜린(Girin Jang) - 소울댄스 스튜디오의 설립자
- 정구성
- 제이호(J-Ho) - 저스트 절크 크루 부단장
- 최영준
- 최재희(Jay) - 플레이 더 얼반 대표
- 최혜진 - 전 YG엔터테인먼트 소속 댄서, 퍼펙트 제이 댄스 스튜디오 아카데미 운영
- 캐스퍼(댄서) - 현 SM엔터테인먼트 소속 안무가, 비 엠비셔스 출연자
- 하유빈(Cheshir)
- 해니 킴 - Team Magnolia의 수장
- 홍영주
- 효진초이(Hyojin Choi)
2.2. 해외 유명 안무가
- Bam Martin
- 밥 포시(Bob Fosse): 토니상 아홉 개[2], 프라임타임 에미상 세 개, 오스카상 한 개, 황금종려상 한 개를 비롯해 평생 상에 묻혀 산 거물 안무가이자 영화감독. 특히 1973년에 오스카상, 에미상, 토니상을 싹쓸이한 것으로 유명하다. 시카고와 캬바레가 이 사람 안무이다.
당연히 밥 포시 본인도 전설적인 무용가이다. 2분 30초부터 그의 춤이 등장하는데, 어디서 많이 본 안무와 비슷하다.
- Brian Friedman[3]
- Ian Eastwood
- Keone Madrid
- Jblaze
- JoJo Gomez
- Jonte Moaning[4]
- Lyle Beniga
- Mariel Madrid
- Matthew Christopher Bourne: 세계적으로 유명한 안무가로, 백조의 호수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알려진 안무가.
- Parris Goblin
- Riehata
- Shaun Evaristo[5]
- Shay
- Toby Deedaran
- Tony Testa
- Ysabelle Capitule
- 水野 幹子(MIKIKO)
- 田中泯(Min Tanaka)
- 持田 将史(s**t kingz의 리더이다.)
- 仲宗根 梨乃(Rino Nakasone)
- Momo (모모)
- Akanen (아카넨)
- $ayaka (사야카)
- Yumeri (유메리)
3. 안무가 배경 애니메이션 및 드라마 작품
- 보고 또 보고 - 박기풍 예명은 박예도
4. 관련 문서
[1] 물론 안무가가 아닌 댄서(프리스타일 댄스 배틀을 전문적으로 하는 댄서 등)도 댄스 트레이닝을 해줄 수 있다.[2] 포시는 안무가로서 세상에서 가장 많은 토니를 받은 사람이다. 한 개인으로 포시보다 많은 토니를 받은 사람은 해롤드 프린스 정도인데(21개), 프린스는 감독 겸 제작자였기 때문에 두 분야 모두에서 상을 받는 일이 많았기에 그렇다.[3]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히트곡 안무를 거의 모두 담당했던 안무가로 유명. 지금도 현역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며 엄청난 고난이도 무브로도 유명하다. 공중에서 수직으로 한 바퀴 돈뒤 그대로 땅에 착지하는 동작이 대표적인 시그니처 무브.[4] 흑인 남성 댄서로, 특이한 건 엄청난 하이힐을 신고 드랙퀸스러운 화장과 옷을 즐겨입는다는 점이다. 특이한 외견답게 춤도 살벌하게 추는데, 바운스를 거의 관절을 털어내듯이(...) 주거나 간단한 동작도 몸을 훨씬 더 꺾어서 크게 표현하는 등 평범한 댄서들은 제대로 따라하기 힘든 수준의 표현력을 자랑한다. # 한국에서는 주로 블랙핑크의 안무를 담당.[5] 태양의 솔로곡 안무를 담당했던 안무가로 유명. 보통 라일과 숀 둘이 함께 작업한 경우가 많다. 'WHERE U AT' 뮤직비디오에서 태양 뒤에서 춤을 추는 사람들이 이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