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9:46:49

안녕 주피터

안녕 주피터 (1984)
さよならジュピター
<nopad> 파일:안녕 주피터.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
감독 고마츠 사쿄(총감독)
하시모토 코지(감독)
카와키타 코이치(특기감독)
각본 고마츠 사쿄
원작 고마츠 사쿄
제작 다나카 토모유키
고마츠 사쿄
주연 미우라 토모카즈
오노 미유키
오카다 마스미
히라타 아키히코
모리시게 히사야
촬영 하라 카즈미(본편)
에구치 켄이치(특촬)
음악 하네다 켄타로
주제곡 마츠토야 유미
「VOYAGER〜日付のない墓標」
제작사 도호영화
배급사 도호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84년 3월 17일
상영 시간 129분

1. 개요2. 예고편3. 평가4. 소설판5. 기타6. 외부 링크

1. 개요

1984년 개봉한 일본SF 특촬 영화. 유명 SF 작가 고마츠 사쿄가 원작/각본/제작/총감독의 1인 4역을 맡았다. 소설판까지 포함하면 1인 5역.

우주개발이 한창인 2125년 태양을 향해 날아오는 소형 블랙홀이 발견되고, 이를 막기 위해 태양화 작업이 진행중이던 목성을 폭파시켜 블랙홀의 궤도를 변경시키려 한다는 내용. 여기에 고대부터 지구를 찾아왔던 외계인이라든가 목성을 내버려둬야 한다는 과격파 환경보호단체 "주피터 교단" 등이 엮긴다.

2. 예고편


3. 평가

<nopad> 파일:IMDb 로고.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2.5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2.6 / 5.0


평가는 별로 좋지 않은 편이다. 한 번에 너무 많은 이야기를 담으려다가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 버린데다가 예산도 충분하지 않았고, 원래 감독을 맡기로 했던 모리타니 시로[1]가 사망하는 등의 악재가 겹쳐 영화의 완성도가 많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4. 소설판

파일:seiunprize.jpg
성운상 일본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70년)
제2회
(1971년)
제3회
(1972년)
제4회
(1973년)
제5회
(1974년)
『霊長類南へ』
츠츠이 야스타카
『継ぐのは誰か?』
고마츠 사쿄
『石の血脈』
한무라 료
『鏡の国のアリス』
히로세 타다시
일본침몰
고마츠 사쿄
제6회
(1975년)
제7회
(1976년)
제8회
(1977년)
제9회
(1978년)
제10회
(1979년)
『おれの血は他人の血』
츠츠이 야스타카
나나세 다시 한 번
츠츠이 야스타카
『サイコロ特攻隊』
칸베 무사시
『地球・精神分析記録』
야마다 마사키
『消滅の光輪』
마유무라 타쿠
제11회
(1980년)
제12회
(1981년)
제13회
(1982년)
제14회
(1983년)
제15회
(1984년)
『宝石泥棒』
야마다 마사키
『火星人先史』
카와마타 치아키
키리키리인
이노우에 히사시
안녕 주피터
고마츠 사쿄
적은 해적・해적판
칸바야시 쵸헤이
제16회
(1985년)
제17회
(1986년)
제18회
(1987년)
제19회
(1988년)
제20회
(1989년)
전투요정 유키카제
칸바야시 쵸헤이
더티페어의 대역전
타카치호 하루카
『プリズム』
칸바야시 쵸헤이
은하영웅전설
다나카 요시키
『バビロニア・ウェーブ』
호리 아키라
제21회
(1990년)
제22회
(1991년)
제23회
(1992년)
제24회
(1993년)
제25회
(1994년)
『上弦の月を喰べる獅子』
유메마쿠라 바쿠
『ハイブリッド・
チャイルド』
오오하라 마리코
『メルサスの少年』
스가 히로에
『ヴィーナス・シティ』
마사키 고로
『終わりなき索敵』
다니 고슈
제26회
(1995년)
제27회
(1996년)
제28회
(1997년)
제29회
(1998년)
제30회
(1999년)
기신병단
야마다 마사키
『引き潮のとき』
마유무라 타쿠
성계의 문장
모리오카 히로유키
적은 해적・A급의 적
칸바야시 쵸헤이
『彗星狩り』
사사모토 유이치
제31회
(2000년)
제32회
(2001년)
제33회
(2002년)
제34회
(2003년)
제35회
(2004년)
굿럭 전투요정
유키카제

칸바야시 쵸헤이
영원의 숲
스가 히로에
『ふわふわの泉』
노지리 호스케
『太陽の簒奪者』
노지리 호스케
『第六大陸』
오가와 잇스이
제36회
(2005년)
제37회
(2006년)
제38회
(2007년)
제39회
(2008년)
제40회
(2009년)
에리얼
사사모토 유이치
『サマー/タイム/
トラベラー』
신죠 카즈마
일본침몰 제2부
고마츠 사쿄
다니 고슈
도서관 전쟁
아리카와 히로
세기말 하모니
이토 케이카쿠
제41회
(2010년)
제42회
(2011년)
제43회
(2012년)
제44회
(2013년)
제45회
(2014년)
구인 사가
쿠리모토 카오루
『去年はいい年に
なるだろう』
야마모토 히로시
『天獄と地国』
고바야시 야스미
죽은 자의 제국
엔조 도
이토 케이카쿠
『コロロギ岳から
木星トロヤへ』
오가와 잇스이
제46회
(2015년)
제47회
(2016년)
제48회
(2017년)
제49회
(2018년)
제50회
(2019년)
『オービタル・クラウド』
후지이 다이요
『원수성역』
카지오 신지
울트라맨 F
고바야시 야스미
『나중 일은 될 대로
되라지!』
미야우치 유스케
『零號琴』
토비 히로타카
제51회
(2020년)
제52회
(2021년)
제53회
(2022년)
제54회
(2023년)
제55회
(2024년)
『天冥の標』
오가와 잇스이
『星系出雲の兵站』
하야시 조지
달과 라이카와
흡혈공주

마키노 케이스케
『マン・カインド』
후지이 다이요
『プロトコル・オブ・
ヒューマニティ』
하세 사토시
『グラーフ・
ツェッペリン
あの夏の飛行船』
타카노 후미오
}}}}}}}}}}}}}}} ||


고마츠 사쿄가 1980년에서 1982년까지 잡지 '주간 산케이(週刊サンケイ)'에서 영화의 소설판을 연재했다. 소설쪽은 영화보다는 비용이나 분량면에서 자유롭다보니 이도저도 아니게 된 줄거리나 영화에선 거의 보여주지 못했던 미래사회의 모습 등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었고, 혹평받던 영화와는 달리 이쪽은 성운상을 수상하는 등 많은 호평을 받았다.

5. 기타

1977년 스타워즈의 개봉으로 당시 일본에서는 SF붐이 일고 있었다. 도호에서는 고마츠 사쿄에게 이러한 붐에 편승할 영화의 원작제공을 의뢰했는데, 스타워즈 아류작이 아닌 본격적인 SF 영화를 만들고 싶었던 고마츠 사쿄가 도호를 설득해 이 영화가 탄생한 것이다.[2]

일본 영화 최초로 모션 컨트롤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본격적인 컴퓨터 그래픽스를 도입하는 등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던 영화다. 하지만 흥행실패로 제작비도 못건지면서 이것들은 고스란히 빚이 되었다. 메카 디자인은 스튜디오 누에에서 맡았다.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게리온에 등장하는 제3신동경시(Tokyo-3)는 이 영화의 우주선 "TOKYO-III"의 오마주. 신 에반게리온 극장판 𝄇에선 주제곡 「VOYAGER〜日付のない墓標」가 사용되기도 했다.

6. 외부 링크



[1] 고마츠 사쿄 원작의 영화 일본침몰의 감독[2] 고마츠 사쿄가 별개의 기획으로 빠지면서 대신 제작된 영화는 '혹성대전쟁(惑星大戦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