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아틀레틱 클루브 정규 시즌 | ||||
2024-25 시즌 | → | 2025-26 시즌 | → | 2026-27 시즌 |
아틀레틱 클루브 2025-26 시즌 | |
회장 | 욘 우리아르테 (Jon Uriarte) |
감독 |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Ernesto Valverde) |
주장 | 이냐키 윌리암스 (Iñaki Williams) |
부주장 | 이니고 레쿠에 (Iñigo Lekue) |
결과 | |
| 8위 8전 4승 1무 3패 (9득점 9실점, GD 0) |
| 리그 페이즈 진행 중 2전 0승 0무 2패 (1득점 6실점, GD -5) |
| 32강 진출 0전 0승 0무 0패 (0득점 0실점, GD +0) |
| 4강 진출 0전 0승 0무 0패 (0득점 0실점, GD +0) |
시즌 성적 | 승률 40% 10전 4승 1무 5패 (10득점 15실점, GD -5) |
최다 득점 | 이냐키 윌리암스 외 (1득점) |
최다 도움 | 니코 윌리암스 (2도움) |
최다 출전 | 우나이 시몬 (10G - 900분) |
1. 개요
아틀레틱 클루브의 2025-26 시즌을 정리한 문서.2.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아틀레틱 클루브 2025-26 시즌 스쿼드 | |||||||||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비고 | ||||
1 | | GK | 우나이 시몬 | Unai Simón | 1997년 6월 11일 | |||||
2 | | DF | 안도니 고로사벨 | Andoni Gorosabel | 1996년 8월 4일 | |||||
3 | | DF | 다니 비비안 | Dani Vivian | 1999년 7월 5일 | |||||
4 | | DF | 아이토르 파레데스 | Aitor Paredes | 2000년 4월 29일 | |||||
5 | | DF | 예라이 알바레즈 | Yeray Álvarez | 1995년 1월 24일 | |||||
6 | | MF | 미켈 베스가 | Mikel Vesga | 1993년 4월 8일 | |||||
7 | | FW | 알렉스 베렝게르 | Álex Berenguer | 1995년 7월 4일 | |||||
8 | | MF | 오이안 산세트 | Oihan Sancet | 2000년 4월 25일 | |||||
9 | | FW | 이냐키 윌리암스 | Iñaki Williams | 1994년 6월 15일 | 주장 | ||||
10 | | FW | 니코 윌리암스 | Nico Williams | 2002년 7월 12일 | |||||
11 | | FW | 고르카 구루세타 | Gorka Guruzeta | 1996년 9월 12일 | |||||
12 | | DF | 헤수스 아레소 | Jesús Areso | 1999년 7월 2일 | |||||
13 | | MF | 우나이 벤세도르 | Unai Vencedor Paris | 2000년 11월 15일 | |||||
14 | | DF | 에므리크 라포르트 | Aymeric Laporte | 1994년 5월 27일 | |||||
15 | | DF | 이니고 레쿠에 | Iñigo Lekue | 1993년 5월 4일 | 부주장 | ||||
16 | | MF | 이니고 루이스 데갈라레타 | Iñigo Ruiz de Galarreta | 1993년 8월 6일 | |||||
17 | | DF | 유리 베르치체 | Yuri Berchiche | 1990년 2월 10일 | |||||
18 | | MF | 미켈 야우레기사르 | Mikel Jauregizar | 2003년 11월 13일 | |||||
19 | | DF | 아다마 보이로 | Adama Boiro | 2002년 6월 22일 | |||||
20 | | MF | 우나이 고메스 | Unai Gómez | 2003년 5월 25일 | |||||
21 | | FW | 마로안 산나디 | Maroan Sannadi | 2001년 2월 1일 | |||||
22 | | FW | 니코 세라노 | Nico Serrano | 2003년 3월 5일 | |||||
23 | | FW | 로베르트 나바로 | Robert Navarro | 2002년 4월 12일 | |||||
24 | | MF | 베냐트 프라도스 | Beñat Prados | 2001년 2월 8일 | |||||
25 | | FW | 우르코 이세타 | Urko Izeta | 1999년 9월 29일 | |||||
26 | | GK | 미켈 산토스 | Mikel Santos Linares | 2004년 11월 1일 | |||||
27 | | GK | 알렉스 파디야 | Álex Padilla | 2003년 9월 1일 | |||||
30 | | MF | 알레한드로 레고 | Alejandro Rego Mora | 2003년 6월 11일 | |||||
34 | | DF | 존 데 루이스 | Jon De Luis Sueskun | 2003년 8월 5일 | |||||
구단 정보 | ||||||||||
감독: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 구장: 에스타디오 산 마메스 | ||||||||||
출처: 아틀레틱 빌바오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2일 |
3. 정규 시즌
3.1. 라리가 EA SPORTS FC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틀레틱 클루브/2025-26 시즌/리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틀레틱 클루브/2025-26 시즌/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UEFA 챔피언스 리그
<rowcolor=#fff,#fff> 포트 1 상대 | 포트 2 상대 | ||||||
홈 | 원정 | 홈 | 원정 | ||||
| 파리 생제르맹 (PSG)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BVB) | | 아스날 FC (ARS) | | 아탈란타 BC (ATA) |
<rowcolor=#fff,#fff> 포트 3 상대 | 포트 4 상대 | ||||||
홈 | 원정 | 홈 | 원정 | ||||
| 스포르팅 CP (SPO) | | SK 슬라비아 프라하 (SLA) | | 가라바흐 FK (QAR) |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NEW) |
아틀레틱 클루브는 지난 시즌 라리가 4위의 성적을 기록하였기에 이번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을 얻었으며 지난 시즌까지 UEFA 클럽 계수 26.75p[1]를 확보하여 UEFA 클럽 랭킹 62위를 확정하며 4포트로 배정되었다.
아틀레틱 클루브는 이번 시즌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추첨 단계에서 같은 스페인 클럽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주로 중계 페어링으로 묶였으나 리즈 페이즈 7차전인 아탈란타 BC와의 원정 경기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스페인 현지 시간 기준 같은 날에 경기한다. 이는 지난 시즌 스페인 클럽의 UEFA 계수 상승의 영향으로 라리가의 이번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분배 기준이 5장으로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시즌 라리가의 성적으로 아틀레틱 클루브에 이은 리그 5위의 성적으로 출전권을 얻은 비야레알 CF와는 많은 매치 데이에서 같은 날에 경기한다.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의 제약 조건은 다음과 같다.
제약 조건 1. 같은 협회(국가) 소속 클럽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없다.
ex) 아틀레틱 클루브는 같은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에 속하는 FC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CF,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및 비야레알 CF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없다.
제약 조건 2. 매치 상대로 만나는 특정 협회(국가) 소속 클럽은 최대 2클럽까지 가능하다.
ex) 아틀레틱 클루브는 같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에 속하는 SSC 나폴리,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아탈란타 BC, 유벤투스 FC 중 최대 2팀까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있다.
위의 제약 조건 하에 리그 페이즈 8경기를 소화하고 1~8위는 16강전에 직행하며 9위~24위까지는 플레이오프 방식을 통해 나머지 8팀을 가리게 된다. ex) 아틀레틱 클루브는 같은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에 속하는 FC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CF,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및 비야레알 CF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없다.
제약 조건 2. 매치 상대로 만나는 특정 협회(국가) 소속 클럽은 최대 2클럽까지 가능하다.
ex) 아틀레틱 클루브는 같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에 속하는 SSC 나폴리,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아탈란타 BC, 유벤투스 FC 중 최대 2팀까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있다.
리그 페이즈 9위 또는 10위 팀이 23위 또는 24위 팀과 경기를 갖으며 11~12위 팀은 21~22위 팀과 홈 & 어웨이 방식으로 16강 진출을 위한 플레이오프를 거치는 방식.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해 16강 플레이오프에서 만나는 두 팀의 리그 페이즈 합산 순위 조합은 32위, 33위 또는 34위만이 가능하며 이 범위를 벗어날 수 없다.
한편, 지난 시즌부터 변경된 UEFA 클럽 계수 산정 방식은 기존의 챔피언스 리그 체제에서보다 더욱 많은 포인트를 얻도록 설계된 바 있는데 이는 이전 조별 리그를 대체하는 리그 페이즈에서의 경기 수가 이전보다 증가하였으며 기본 획득 포인트의 증가 및 리그 페이즈 순위에 따른 추가 부여 포인트의 생성으로 풀이된다.
이렇게 지난 시즌부터 변경된 UEFA 클럽 계수의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은 큰 틀의 계산 방식을 따른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참고. UEFA 클럽 계수 산정 방식
계산 원칙 1. 승리 시 2p, 무승부 1p 획득
이전의 계산 방식과 동일하게 리그 페이즈(조별 리그)단계와 토너먼트 단계에서 승리 시 2p, 무승부 1p를 획득하나 16강 플레이오프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후술.
계산 원칙 2. 기본 포인트의 변경
《기존》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시 기본 4p 및 16강 진출시 5p가 부여.
《변경》본선 진출시 자동 획득 포인트 삭제. 다만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의 8경기 합산 최종 순위에 따라 1위부터 24위를 차지한 클럽은 순위에 따라 1위 12p부터 1순위 하락시 0.25p씩 차감 획득. 이러한 계산 방법에 따라 리그 페이즈 24위 팀은 6.25p를 획득하며 리그 페이즈 탈락 단계인 25위부터 36위 팀은 동일하게 기본 포인트인 6p를 획득.
계산 원칙 3. 토너먼트 단계 진출에 따른 보너스 포인트
《1》 리그 페이즈 8위 이내의 성적으로 16강전에 직행하면 1.5p를 보너스 포인트로 획득.
《2》1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리그 페이즈 순위 9위~24위 16개 클럽은 리그 페이즈 8위 이상의 성적으로 이미 16강전에 진출한 8개 클럽과 경기 수에 따른 형평성 문제가 발생. 이에 16강 플레이오프 경기에서는 포인트 획득 불가. (단, 16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는 8팀에게는 리그 페이즈 8위 이내의 팀과 똑같은 1.5p를 추가로 부여)
《3》16강전 이후 각 토너먼트 단계에서 승리하는 클럽은 개별 경기에서 얻는 포인트와 별개로 상위 토너먼트 단계 진출에 대한 1.5p의 추가 포인트 획득.
위의 방식에 의해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의 전적과 순위를 기준으로 획득하는 UEFA 계수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전의 계산 방식과 동일하게 리그 페이즈(조별 리그)단계와 토너먼트 단계에서 승리 시 2p, 무승부 1p를 획득하나 16강 플레이오프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후술.
계산 원칙 2. 기본 포인트의 변경
《기존》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시 기본 4p 및 16강 진출시 5p가 부여.
《변경》본선 진출시 자동 획득 포인트 삭제. 다만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의 8경기 합산 최종 순위에 따라 1위부터 24위를 차지한 클럽은 순위에 따라 1위 12p부터 1순위 하락시 0.25p씩 차감 획득. 이러한 계산 방법에 따라 리그 페이즈 24위 팀은 6.25p를 획득하며 리그 페이즈 탈락 단계인 25위부터 36위 팀은 동일하게 기본 포인트인 6p를 획득.
계산 원칙 3. 토너먼트 단계 진출에 따른 보너스 포인트
《1》 리그 페이즈 8위 이내의 성적으로 16강전에 직행하면 1.5p를 보너스 포인트로 획득.
《2》1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리그 페이즈 순위 9위~24위 16개 클럽은 리그 페이즈 8위 이상의 성적으로 이미 16강전에 진출한 8개 클럽과 경기 수에 따른 형평성 문제가 발생. 이에 16강 플레이오프 경기에서는 포인트 획득 불가. (단, 16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는 8팀에게는 리그 페이즈 8위 이내의 팀과 똑같은 1.5p를 추가로 부여)
《3》16강전 이후 각 토너먼트 단계에서 승리하는 클럽은 개별 경기에서 얻는 포인트와 별개로 상위 토너먼트 단계 진출에 대한 1.5p의 추가 포인트 획득.
<가정>-A 클럽 = 리그 페이즈 6위(5승 2무 1패, 승점 17) = 5승과 2무로 12p + [12p - (6위 - 1위) x 0.25p)]+ 1.5p[2] = 24.25p
<가정>-B 클럽 = 리그 페이즈 14위(4승 2무 2패, 승점 14) = 4승과 2무로 10p + [12p - (14위 - 1위) x 0.25p)]+ 0p = 18.75p
<가정>-C 클럽 = 리그 페이즈 19위(3승 3무 2패, 승점 12) = 3승과 3무로 9p + [12p - (19위 - 1위) x 0.25p)]+ 0p = 16.5p
<가정>-D 클럽 = 리그 페이즈 26위(2승 3무 3패, 승점 9) = 2승과 3무로 7p + 6p + 0p = 13p
이후의 토너먼트 단계의 진출에 대한 가정에 따라 추가 획득하는 포인트를 합산하면 다음과 같다. B는 토너먼트 다음 단계 진출 시 얻는 보너스 포인트를 의미.<가정>-B 클럽 = 리그 페이즈 14위(4승 2무 2패, 승점 14) = 4승과 2무로 10p + [12p - (14위 - 1위) x 0.25p)]+ 0p = 18.75p
<가정>-C 클럽 = 리그 페이즈 19위(3승 3무 2패, 승점 12) = 3승과 3무로 9p + [12p - (19위 - 1위) x 0.25p)]+ 0p = 16.5p
<가정>-D 클럽 = 리그 페이즈 26위(2승 3무 3패, 승점 9) = 2승과 3무로 7p + 6p + 0p = 13p
<가정>-A 클럽 = 리그 페이즈 6위 이후 16강 직행 + 16강 1승 1무로 승리 + 8강 1무 1패로 탈락.
<가정>-B 클럽 = 리그 페이즈 14위 이후 16강 플레이오프 승리 + 16강 1승 1무로 승리 + 8강 1승 1패로 승리 + 4강전 1승 1패로 탈락.
<가정>-C 클럽 = 리그 페이즈 19위 이후 16강 플레이오프 승리 + 16강 2승으로 승리 + 8강 1승 1무로 승리 + 4강전 1승 1패로 승리 + 결승전 패배.
<가정>-B 클럽 = 리그 페이즈 14위 이후 16강 플레이오프 승리 + 16강 1승 1무로 승리 + 8강 1승 1패로 승리 + 4강전 1승 1패로 탈락.
<가정>-C 클럽 = 리그 페이즈 19위 이후 16강 플레이오프 승리 + 16강 2승으로 승리 + 8강 1승 1무로 승리 + 4강전 1승 1패로 승리 + 결승전 패배.
클럽 | 리그 페이즈 누계 | 16강 P.O | 16강 진출 B | 16강 | 8강 진출 B | 8강 | 준결승 진출 B | 준결승 | 결승 진출 B | 결승 | 포인트 누계 |
A 클럽 | 22.75p | - | 1.5p | 3p | 1.5p | 1p | - | - | - | - | 29.75p |
B 클럽 | 18.75p | 1.5p | - | 3p | 1.5p | 2p | 1.5p | 2p | - | - | 30.25p |
C 클럽 | 16.5p | 1.5p | - | 4p | 1.5p | 3p | 1.5p | 2p | 1.5p | 0p | 31.5p |
2025년 8월 29일(한국 시간대 기준) 모나코의 그리말디 포럼에서 이번 시즌 UCL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의 추첨식이 진행되었으며 아틀레틱 클루브는 <포트-4>에서 가장 먼저 추첨되었다. 2025/26 UCL 리그 페이즈 추첨식.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추첨(ATH의 추첨은 1:01:50 부터)
아틀레틱 클루브는 <포트-1>의 파리 생제르망 FC와 홈 경기를 가지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상대로는 원정을 떠나야 하는 일정을 확정지었다. <포트-2>에서는 아스날 FC를 홈으로 불러들여 리그 페이즈 첫 경기를 갖고 이탈란타 BC를 상대로는 이탈리아 원정에 나서게 되었다.
또한 <포트-3>에서는 포르투갈의 스포르팅 CP 및 체코의 SK 슬라비아 프라하를 상대하게 되었으며 <포트-4>에서는 아제르바이잔의 가라바흐 FK와 잉글랜드의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을 상대로 맞대결을 벌인다. 다행히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연고로 하는 가라바흐와의 경기는 홈 경기로 배정되었다. 라리가 일정이 빡빡하기에 다행인 부분.
3.2.1. 리그 페이즈
|
포트 1 상대 | 포트 2 상대 | 포트 3 상대 | 포트 4 상대 | ||||
<colbgcolor=#0232ff><rowcolor=#fff> 홈 | <colbgcolor=#00008B> 원정 | <colbgcolor=#0232ff> 홈 | <colbgcolor=#00008B> 원정 | <colbgcolor=#0232ff> 홈 | <colbgcolor=#00008B> 원정 | <colbgcolor=#0232ff> 홈 | <colbgcolor=#00008B> 원정 |
파리 생제르맹 FC MD-6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MD-2 | 아스날 FC MD-1 | 아탈란타 BC MD-7 | 스포르팅 CP MD-8 | SK 슬라비아 프라하 MD-5 | 가라바흐 FK MD-3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MD-4 |
아틀레틱 클루브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 ||||||||
- | 리그 페이즈 | |||||||
스테이지 | MD-1 | MD-2 | MD-3 | MD-4 | MD-5 | MD-6 | MD-7 | MD-8 |
팀 | ARS | BVB | QAR | NEW | SLA | PSG | ATA | SPO |
경기장 | H | A | H | A | A | H | A | H |
득점 | 0 | 1 | ||||||
실점 | 2 | 4 | ||||||
결과 | 패 | 패 | ||||||
승점 | 0 | 0 | ||||||
GD | -2 | -5 | ||||||
순위 | T30 | 34 |
리그 페이즈 상대 추첨 이후 2025/26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의 일정도 대부분 확정되었다. 아틀레틱 클루브는 9월 3번째 주 잉글랜드의 아스날 FC를 상대로 첫 경기에서 나서며 10월 초에는 독일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첫 원정에 나선다.
이후 10월 4주에는 아제르바이잔의 가라바흐 FK를 홈으로 불러들여 3차전을 가지며 11월 초에는 잉글랜드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를 상대로 원정에 나선다. 이어 11월 마지막 주에는 체코 프라하 원정에 나서 SK 슬라비아 프라하를 상대하고 2주 후인 12월 2주째에는 프랑스의 파리 생제르망 FC를 상대로 홈에서 6차전에 나선다.
이후 라리가 겨울 휴식기 직후인 2026년 1월 3주에는 이탈리아 원정에 나서 아탈란타 BC를 만나며 리그 페이즈 마지막 경기인 8차전은 2026년 1월 28일 홈에서 포르투갈의 스포르팅 CP를 상대한다. 중부 유럽인 독일과 체코에 각각의 원정이 있으며 이탈리아 및 잉글랜드로 한 번씩 원정에 나서는 일정.
이어 9월 2일(이하 스페인 현지 시각)에는 UEFA 측에 이번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할 명단을 제출하였으며 ATH,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출전 명단 25명 선수 대부분이 지역 훈련 선수(클럽 훈련 선수와 협회 훈련 선수)의 요건을 충족하는 아틀레틱 클루브는 25명의 명단을 확정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클럽 훈련 선수와 협회 훈련 선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UEFA 챔피언스리그 규정》中 UEFA 챔피언스리그 규정 참고
31조 04항
어떤 클럽도 시즌 동안 A 목록[3]에 25명을 초과하여 선수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최소 8자리는 "지역 훈련 선수" 전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어떤 클럽도 A 목록에 있는 이 8자리에 4명을 초과하여 "협회 훈련 선수"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A 목록에는 "지역 훈련" 자격을 갖춘 선수와 "클럽 훈련" 또는 "협회 훈련" 여부를 명시해야 합니다.
31조 05항
"지역에서 훈련받은 선수"(lokal ausgebildeter Spieler, 영어식 표현으로는 locally trained player이며 이른바 홈 그로운 충족 선수를 말한다.)는 "클럽에서 훈련받은 선수"[4]이거나 "협회에서 훈련을 받은 선수"[5]입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며 이번 시즌 UEFA 측에 제출한 이번 시즌 챔피언스 리그 출전 명단은 다음과 같다.31조 04항
어떤 클럽도 시즌 동안 A 목록[3]에 25명을 초과하여 선수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최소 8자리는 "지역 훈련 선수" 전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어떤 클럽도 A 목록에 있는 이 8자리에 4명을 초과하여 "협회 훈련 선수"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A 목록에는 "지역 훈련" 자격을 갖춘 선수와 "클럽 훈련" 또는 "협회 훈련" 여부를 명시해야 합니다.
31조 05항
"지역에서 훈련받은 선수"(lokal ausgebildeter Spieler, 영어식 표현으로는 locally trained player이며 이른바 홈 그로운 충족 선수를 말한다.)는 "클럽에서 훈련받은 선수"[4]이거나 "협회에서 훈련을 받은 선수"[5]입니다.
<colbgcolor=#e3001b><colcolor=#fff> 아틀레틱 클루브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명단(A) | |
GK (2명) | • 1 우나이 시몬 • 27 알렉스 파디야 |
DF (9명) | • 2 안도니 고로사벨 • 3 다니 비비안 • 4 아이토르 파레데스 • 12 헤수스 아레소 • 15 이니고 레쿠에 • 17 유리 베르치체 • 19 아다마 보이로 • 34 존 데 루이스 • 38 안데르 이사기레 |
MF (10명) | • 6 미켈 베스가 • 7 알렉스 베렝게르 • 8 오이안 산세트 • 10 니코 윌리암스 • 16 이니고 루이스 데갈라레타 • 18 미켈 야우레기사르 • 20 우나이 고메스 • 23 로베르트 나바로 • 24 베냐트 프라도스 • 30 알레한드로 레고 |
FW (4명) | • 9 이냐키 윌리암스 • 11 고르카 구루세타 • 21 마로안 산나디 • 22 니코 세라노 |
3.2.1.1. MD1 vs 아스날 FC (홈, 0:2 패)
에스타디오 산 마메스 (빌바오) | ||
주심: | ||
관중: 51,059명 | ||
| 0 : 2 | |
아틀레틱 클루브 | 아스날 FC | |
- | | 72'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 (A. 레안드로 트로사르) 87' 레안드로 트로사르 (A.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 |
3.2.1.2. MD2 vs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원정, 4:1 패)
BVB 슈타디온 도르트문트 (도르트문트) | ||
주심: 시몬 마르치니악 | ||
관중: 81,365명 | ||
| 4 : 1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아틀레틱 클루브 | |
28' 다니엘 스벤손 (A. 카림 아데예미) 50' 카니 추쿠에메카 (A. 세루 기라시) 82' 세루 기라시 (A. 마르셀 자비처) 90+1' 율리안 브란트 (A. 막시밀리안 바이어) | | 61' 고르카 구루세타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마르셀 자비처 |
3.2.1.3. MD3 vs 가라바흐 FK (홈, : )
에스타디오 산 마메스 (스페인, 빌바오) | ||
주심: | ||
관중: , 명 | ||
| : | |
아틀레틱 클루브 | 가라바흐 FK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미정 |
3.2.1.4. MD4 vs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원정, -:-)
세인트 제임스 파크 (잉글랜드, 뉴캐슬어폰타인) | ||
주심: | ||
관중: N/A명 | ||
| : |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아틀레틱 클루브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미정 |
3.2.1.5. MD5 vs 미정 (홈/원정, -:-)
3.2.1.6. MD6 vs 미정 (홈/원정, -:-)
3.2.1.7. MD7 vs 미정 (홈/원정, -:-)
3.2.1.8. MD8 vs 미정 (홈/원정, -:-)
3.3. ![파일:코파 델 레이 로고.svg]()
코파 델 레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26 코파 델 레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26 코파 델 레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1. 32강 VS 미정
3.4.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3.4.1. 4강 VS 바르셀로나 (중립, -:-)
2026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4강 | |||
| 아틀레틱 클루브 (Athletic Club) | | 바르셀로나 (Barcelona) |
2026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4강전 2026. xx. xx.(?) 00:00 (UTC+9) | ||
() | ||
주심: | ||
관중: 명 | ||
| - : - | |
아틀레틱 클루브 | FC 바르셀로나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King of the Match: |
[1] 2020/21 시즌 - p, 2021/22 시즌 - p, 2022/23 시즌 - p, 2023/24 시즌 - p, 2024/25 시즌 26.75p[2] 16강 직행 보너스[3] 최초 등록하는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유로파 리그 또는 UEFA 컨퍼런스 리그의 출전 명단을 말한다. 이후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하면 명단을 바꾸어 등록이 가능하다.(B 목록)[4] 아틀레틱 클루브에서 유스팀을 포함, 15세~21세 중 3시즌 이상을 충족하는 선수를 말한다. 단, 15세~21세를 도과하는 중 시즌이 시작하거나 종료되는 경우 해당 시즌은 요건 충족 기간에 산입.[5] 아틀레틱 클루브 이외의 다른 스페인의 축구 클럽을 말한다. 연령 및 시즌 기준은 ATH의 경우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