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0:24:36

FK 보되/글림트


파일:eliteserien_a_rgb.svg.png
20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7203c,#c3dcf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로센보르그 BK 로고.svg
파일:몰데 FK 로고.svg
파일:FK 보되/글림트 로고.svg
파일:볼레렝아 포트발 로고.svg
파일:SK 브란 로고.svg
파일:브뤼네 FK 로고.svg
파일:비킹 FK 로고.svg
파일:사네피오르 포트발 로고.svg
파일:사르프스보르그 08 FF 로고.svg
파일:스트룀스고세 IF 로고.svg
파일:크리스티안순 BK 로고.svg
파일:트롬쇠 IL 로고.svg
파일:프레드릭스타 FK 로고.svg
파일:하마르카메라테네 로고.svg
파일:FK 하우게순 로고.svg
파일:KFUM-카메라테네 오슬로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엘리테세리엔파일:덴마크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스웨덴 국기.svg 알스벤스칸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A 리가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비르스리가파일:핀란드 국기.svg 베이카우스리가
파일:페로 제도 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베스타데일드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메이스트릴리가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FK 보되/글림트 로고.svg
FK 보되/글림트
FK Bodø/Glimt
<colbgcolor=#f9de00><colcolor=#000> 정식 명칭 Fotballklubben Bodø/Glimt
별칭 Glimt, Superlaget
창단 1916년 9월 19일([age(1916-09-19)]주년)[1]
소속 리그 엘리테세리엔 (Eliteserien)
연고지 보되 (Bodø)
홈구장 아스미라 스타디온 (Aspmyra Stadion)
(8,200명 수용)
회장 헤게 레이르팔 잉에브릭트센 (Hege Leirfall Ingebrigtsen)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셰틸 크누트센 (Kjetil Knutsen)
UEFA 랭킹 36위 출처
공식 웹사이트 파일:FK 보되/글림트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우승 기록
엘리테세리엔 (1부)
(4회)
2020, 2021, 2023, 2024
1. 디비전 (2부)
(2회)
2013, 2017
노르웨이컵
(2회)
1975, 1993
구단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덴마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덴마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새미 스퀴테 (Sammy Skytte)
(2019-20, From FC 미트윌란, 약 4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휴고 베틀레센 (Hugo Vetlesen)
(2023-24, To 클뤼프 브뤼허 KV, 약 800만 €)

1. 개요2. 원정 지옥3. 최근 시즌
3.1. 2024-25 시즌3.2. 2025-26 시즌
4. 소속 선수

1. 개요

노르웨이축구단. 보되를 연고지로 하고 있다. 2020 시즌 엘리테세리엔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

한때 북부 노르웨이컵을 9회 우승을 기록하면서 하르스타 IL, FK 묄네르와 함께 최다 우승 타이 기록을 보유했다.[3]

2020년대부터 노르웨이의 강팀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이하게도 구단명 보되/글림트에 슬래시가 쓰여서 보되 지역, 글림트 지역 연합 축구단 등으로 추측하는 사람이 많은데 보되는 연고 지역명이고 뒤의 글림트(Glimt)는 노르웨이어로 '반짝인다'는 의미의 동사다. 노팅엄 포레스트의 노팅엄+포레스트 등과 같은 작명법. 따라서 구단 별명, 애칭도 글림트이며 유니폼이 노란색인 것도 반짝인다는 의미의 글림트와 관련 있다.

2. 원정 지옥

축구 팬들에게 잘 안 알려진 사실이지만 유럽 대항전 원정 지옥으로 유명한 팀이다. 나름 잘 나가는 명문 구단도 보되/글림트 원정서 물을 먹은 경우가 많다. 즉 유럽판 안방 챔피언.

명확한 이유는 밝혀진 게 없지만 팬들의 추측으로는 북유럽, 그것도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쪽에 위치해 있어[4] 추운 기온 적응이 힘드며 유럽 대부분에서 사용하는 천연 잔디가 아닌 인조 잔디를 사용하는데[5] 이로 인해 추위로 인해 수축되어 딱딱하게 얼어붙은 공이나 인조 잔디 덕분에 공이 평소와 다르게 튀고 나가 선수들이 경기 도중 애를 먹는 장면이 자주 연출된다. FC 포르투, 셀틱 FC, AS 로마 등도 유럽 대항전에서 고전한 적이 있다.

2024-25 UEFA 유로파 리그에서도 홈에서는 6승 2패로 호성적이지만 원정에서는 1승 2무 5패라는 초라한 성적을 기록하였고 토너먼트에서는 전패를 기록 중이다. 그러나 홈에서는 극강의 모습을 보이면서 대승을 거두고 원정에서는 라치오전을 빼면 1점 차로 막아 내면서 유로파 리그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토트넘을 상대로 홈원정 둘다 패배하며 탈락했다.

3. 최근 시즌

3.1. 2024-25 시즌

이번 시즌 유로파 리그는 원정 경기를 대부분 내주더라도 추위와 인조 잔디를 가진 홈에서 홈 어드밴티지를 극강으로 살리고 최대한 점수 격차를 벌리면서 합산으로 우위를 점하면서 대부분 승리를 챙기는 방식으로 살아남는 중이다. 리그 페이즈에서는 8강 직행권 바로 바깥의 9위를 했고 16강에서는 올림피아코스를 이겼다. 결국 2025년 4월 18일 유로파 리그 8강에서 우승 후보 SS 라치오를 상대로 승부차기 접전 끝에 승리를 거두는 이변을 일으키면서, 엘리테세리엔 소속으로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대항전 4강[6]에 진출하였다.

4강에서는 토트넘 홋스퍼 FC에 홈과 원정에서 모두 2점차로 완패하면서 탈락했다.

3.2. 2025-26 시즌

2025-26 UEFA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SK 슈투름 그라츠를 합계 6-2로 누르고 창단 최초로 리그 페이즈 진출에 성공했다.[7]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역대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팀 중 가장 북부에 위치한 팀이 되었다.[8] 토트넘과는 저번 시즌에 이어 홈에서 다시 맞붙는다.

4. 소속 선수


[1] #[2] 노르느르게(Nord-Norge, 노르웨이어로 북부 노르웨이) 구단의 첫 엘리테세리엔 우승이다. 이는 또한 최북단에 위치한 유럽 구단의 자국 리그 우승 기록이기도 하다.[3] 1963년부터 북부 노르웨이 구단의 노르웨이컵 출전이 허용되면서 북부 노르웨이컵은 1969년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다.[4] 원정 기준으로도 거리도 상당하거니와 무려 북위 66도 33분선 북극권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는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5] 인조 잔디를 사용하는 이유는 자본 문제나 원정팀을 힘들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며, 한랭 기후로 인해 축구장에 천연 잔디가 도저히 제대로 자라날 수가 없다보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이는 보되/글림트뿐 아니라 덴마크를 제외한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위치한 북유럽 리그들도 마찬가지다.[6] 8강까지는 상위 대회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로센보르그 BK가 1996-97 시즌에 진출했던 역사가 있다.[7] 노르웨이팀이 챔피언스 리그 본선에 출전한것은 2007-08 로센보르그 이후 17년만의 출전이다.[8] 동시에 역대 본선 진출팀 중 가장 동부에 위치한 팀도 새로 경신되었는데, 바로 카자흐스탄의 FC 카이라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