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티란누스 Asiatyrannus | |
| | |
| 학명 | Asiatyrannus xui Zheng et al., 2024 |
| 분류 |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 목 | 용반목Saurischia |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 과 | †티라노사우루스과Tyrannosauridae |
| 아과 | †티라노사우루스아과Tyrannosaurinae |
| 속 | †아시아티란누스속Asiatyrannus |
| 종 | |
| |
| |
| 골격도 |
| |
| 복원도 |
1. 개요
중생대의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 끝자락에 아시아에 서식했던 수각류. 속명의 뜻은 '아시아의 폭군'. 종명인 쉬이는 고생물학자인 쉬싱(徐星)의 이름을 땄다.2. 연구사
화석은 2017년 중국 난슝층에서 발견되었다. 완모식표본의 뒷다리 비골을 바탕으로 골조직학적 분석을 해본 결과 해당 개체는 약 13살로 추정되며, 성장이 거의 끝나가는 아성체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후대에 나타난 티라노사우루스류지만 덩치가 매우 작은 편이었는데 전체 몸길이가 대략 3.5~4m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두개골 화석 |
| 분포도 |
용각류 지앙시티탄, 간난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류 첸저우사우루스, 테리지노사우루스류 난쉬웅고사우루스, 오비랍토르류 반지, 코리토랍토르, 통티안롱, 후아난사우루스, 소형 악어류 지앙시수쿠스 등과 공존했으며 천적인 첸저우사우루스를 피해 주로 오비랍토르류 같은 소형 공룡들을 잡아먹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