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8 22:18:18

아놀드 뵈클린


<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아놀드 뵈클린
Arnold Böcklin
파일:아놀드 뵈클린.jpg
출생 1827년 10월 16일
스위스 바젤 리크
사망 1901년 1월 16일 (향년 73세)
이탈리아 왕국 피에솔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화가

1. 개요2. 생애3. 유명작품
3.1. 죽음의 섬3.2. 바이올린을 켜는 죽음과 함께 있는 자화상

1. 개요

아놀드 뵈클린은 죽음과 신화를 몽환적 분위기 속에서 표현한 걸로 유명한 스위스상징주의 화가이다. 특히 그가 그린 다섯 점의 죽음의 섬[1]은 여러 후기 상징주의 화가[2], 낭만주의 작곡가[3]에게 영향을 주었다. 생전엔 중부 유럽에서 상당한 명성을 얻었으나, 사망 후에는 현대 미술의 확산으로 그의 그림이 구식으로 보이게 되며 생전과 같은 명성을 누리진 못했다.[4]

2. 생애

스위스 바젤 중상류층 가정[5]에서 태어났고 어려서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였다. 1845년, 18세의 뵈클린은 독일 뒤셀도르프 예술대학[6]에서 풍경화가인 요한 빌헬름 슈리머(Johann Wilhelm Schirmer)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졸업 후엔 중부 유럽을 중심적으로 돌아다니며 그림을 그렸다.[7] 1853년엔 안젤라라는 여인과 결혼하여 14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그중 8명이 뵈클린보다 먼저 사망했다. 말년엔 뇌졸중을 여러번 겪으며 움직이기도 힘들 정도로 쇠약해졌고, 결국 1901년 1월 16일 이탈리아 피에솔레에서 사망했다.[8] 이탈리아 피렌체 남쪽 교외에 있는 알로리 묘지(Cimitero degli Allori)에 묻혔다.

3. 유명작품

3.1. 죽음의 섬

파일:Arnold_Böcklin_-_Die_Toteninsel_III_(Alte_Nationalgalerie,_Berlin).jpg
위 그림이 뵈클린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1883년 작 " 죽음의 섬(Die Toteninsel)"[9]이다. 자신의 어린 딸 마리아가 묻힌 이탈리아 피렌체의 공동묘지(Cimitero degli inglesi, Cimitero Porta a' Pinti and Cimitero Protestante)[10]에서 그린 그림이다.[11] 한가운데의 바위섬은 그리스 이오니아 제도코르푸에 있는 작고 푸른 섬 폰티코나시(Pontikonisi)이다.[12] 작은 나룻배에서 흰 옷을 입은 사람들 앞의 흰색 물체는 관이고, 섬 안은 애도를 의미하는 사이프러스 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여담으로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직접 이 그림을 보고 감동해 교향시 죽음의 섬(교향시)를 만들었다..

3.2. 바이올린을 켜는 죽음과 함께 있는 자화상

파일:Arnold_Boecklin-fiedelnder_Tod.jpg
위 그림은 1872년 작 "바이올린을 켜는 죽음과 함께 있는 자화상(Self-Portrait with Death Playing the Fiddle)"이다. 위 작품은 인간이 삶의 유한함과 죽음의 본질을 늘 의식하고 그것을 정면으로 마주할 때 비로소 위대하고 영원한 예술이 탄생할 수 있다는 뵈클린의 깊은 예술 철학을 드러낸다고 여겨지는 작품이다.[13] 그림 속에서 화가 뵈클린은 붓과 팔레트를 든 채 작업을 잠시 멈추고 있고, 바로 뒤의 어둠 속 해골이 섬뜩한 미소를 지으며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있다. 이 그림이 단순히 공포스러운 것을 넘어 깊은 울림을 준다 여겨지는 이유는 해골이 단순한 공포가 아닌 예술가에게 영감을 불어넣는 뮤즈처럼 묘사되기 때문이다.[14] 특히 바이올린의 현이 1개인데, 이는 죽음의 멜로디는 복잡하고 화려한 것이 아니라,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단조롭게 근원적이며 필연적인 운명의 소리임을 암시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이 죽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을 이해함으로써 비로소 진정한 예술적 영감을 얻을 수 있음을 묘사했다고 여겨진다.[15]
[1] 몽환적인 분위기를 내뿜으며 뵈클린의 대표작으로 지칭되는 작품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아돌프 히틀러, 블라디미르 레닌 등이 수집을 희망하기도 했다.[2] 막스 클링거 (Max Klinger), 구스타프 클림트 (Gustav Klimt),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í)[3] 프란츠 리스트 (Franz Liszt),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Sergei Rachmaninoff)[4] Clegg, Elizabeth (2003). "Böcklin, Arnold". Grove Art Online.[5] 그의 아버지는 샤프하우젠의 오래된 가문 출신으로 실크 무역에 종사했다.[6] 당시 유럽에서 명성이 높았던 예술학교 중 하나이다.[7] "Böcklin, Arnold". In Chisholm, Hugh (ed.).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4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07–108.[8] Hargreaves, Milton. Visions Beyond the Horizon: The Vionder Of Arnold Böcklin. London: Westbridge Arts Press, 1987, pp. 214–217[9] 6가지의 버전이 있고, 위의 그림은 1883년 그린 세번째 버전이다. 각 버전은 여기서 확인하자.[10] 스위스 개신교회에서 1827년 설립했다.[11] 6개의 버전 중 처음 3개의 버전이 마리아가 묻힌 묘지에서 그려졌다.[12] Harrison, Max (2005), Rachmaninoff,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 159.[13] 뵈클린은 14명의 자녀 중 8명을 먼저 떠나보내며 평생 동안 죽음의 그림자 곁에서 살았다.[14] Stratham, Eleanor. Shadows and Symbols: Decoding the Language of Late Romantic Painting. New York: Calder & Wynn, 1994, pp. 115[15] Morrissey, Julian R. The Painter’s Twilight: Aesthetic Philosophy in the Works of Arnold Böcklin and His Contemporaries. Cambridge: Alderford University Press, 2002, pp.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