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Sancta Agnes(291 - 304)
1. 개요
축일은 1월 21일. 영미식으로는 아그네스, 이탈리아에선 아녜제(Agnese) 또는 이네스(Ines)라고도 한다.2. 상세
4대 순교 성녀[1] 중 한 사람이기도 하며, 이름처럼 정결한 신앙생활 때문에 후세에 오며 동정녀의 상징처럼 굳어졌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평소에 뭇 남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지만 흔들리지 않았고, 박해를 받을 때 매음굴에 갇혔지만 천사가 머리카락을 라푼젤급으로 확 길러주고 흰 옷을 입혀줘서 아무도 그녀를 건드리지 못했다.그 광경에 무릇 변태들이 겁에 질렸다가 한 용자 변태가 나서서 덮치려고 했지만, 그는 아녜스를 건드리기도 전에 즉사해버렸다. 음란한 시선으로 훔쳐보기만 하던 찌질한 변태는 장님이 되는 일이 벌어졌다. 관리들이 이 사실을 알고 뭔일이냐며 갈구자, 아녜스는 "천사가 지켜줬다"면서 전구의 기도를 올려서, 죽은 변태를 되살리고 장님이 된 변태를 다시 눈뜨게 하였다. 이런 아녜스를 불길 속으로 집어던졌지만, 불들이 알아서 피해주는 기이한 일까지 벌어졌다. 결국 다시 끌려와 참수당하여 동정으로 순교했다.
생몰년도가 사실이라면 그녀는 고작 14살도 채 되지 않은 시기에 남자들이 꼬이고, 매음굴에 던져지고, 참수당한 게 되어버린다.
가톨릭 순교 소설 '파비올라'에서는 여주인공 파비올라의 사촌 동생 설정으로 나온다. 이 때 파비올라의 아버지가 아녜스에게 "결혼 적령기니 좋은 상대를 찾아보라"고 권하며, 딸 파비올라를 가리키며 "저렇게 노처녀로 살지 말라"며 딸을 디스한다. 참고로 파비올라의 설정상 나이는 20세.
아뉴스 데이의 아뉴스(Agnus)와 어감이 비슷하며 실제 어원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 때문에 아녜스 성녀를 표현한 성화에는 어린양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
2.1. 여담: 20세기의 아녜스
그런데 이와 비슷한 사례가 실제 확인되는 근대 역사 기록에 남아있다. 아녜스의 이야기는 구전되고 여러 사가를 거치면서 과장이 곁들여졌을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까다로운 시선으로 볼 수 있어도, 아녜스보다도 어린 11살 소녀가 20세기에 시성까지 된 이 사례는 이탈리아 경찰/사법당국의 사건기록과 의료기록까지 있었기 때문에 빼도박도 못하는 진짜 이야기이다.이탈리아 시골마을에 살았던 마리아 고레티(1890년 10월~1902년 7월)는 이웃 청년 알렉산드로 세레넬리로부터 성폭행을 당할 위기에 몰리자, 가해자에게 "이러면 진짜 큰 죄가 된다"면서 저항하다 칼에 난자당하여 중상을 입고 끝내 선종했다. 마리아의 이야기는 비록 아녜스의 이야기처럼 멀쩡한 눈이 멀었다거나 한 건 아니었으나, 30년형을 선고받은 세레넬리[2]는 감옥에서의 첫 3년간 불량스러운 태도로 뻗대던 중 마리아 고레티가 백합을 모아 건네주며 자신을 위해 기도해주는 꿈을 꾼 후, 마음을 고쳐먹고 참회의 길로 들어선다.
세레넬리는 30년형을 마친 후 아직 살아있던 마리아의 어머니 아순타 고레티를 찾아가 용서를 빌고, 아순타에게도 용서를 받아, 남은 평생을 수도원에서 기도하며 살았다고 전해진다. 비오 12세 교황은 1947년 있었던 시복식에서 아순타에게 다가가 함께 눈물을 흘렸고, 3년 후 시성식에서는 마리아를 일컬어 "20세기의 아녜스"라 하였다. 가해자였던 세레넬리도 노년의 나이로 참석했으며, 마리아의 시성식은 어머니가 딸의 시성식에 참석하는 사상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다.
[1] 아녜스(1월 21일), 아가타(2월 5일), 세실리아(11월 22일), 루치아(12월 13일).[2] 세레넬리는 범행 당시 아직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성인이면 무기징역감인 범죄로 30년형을 선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