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10:11:59

시미니가구아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태양계
Solar System
\ | 太陽系'''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8px"
항성
행성
<nopad> 지구형 행성

<nopad> 목성형 행성 [A]

소행성/소행성체 왜행성/왜행성 후보 천체 [B]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아폴로 소행성군 ·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소행성대 1 세레스 · 2 팔라스 · 4 베스타 외 다수
켄타우로스족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카이퍼대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134340 명왕성 (카론 등 5개) · 90482 오르쿠스
하우메아족 136108 하우메아 (히이아카 · 나마카)
큐비원족 15760 알비온 · 136472 마케마케 (S/2015 (136472) 1) · 50000 콰오아 (웨이워트) · 120347 살라시아 · 307261 마니
산란 분포대 136199 에리스 (디스노미아) · 225088 공공 · 55565 아야 · 174567 바르다 · 532037 시미니가구아 · 2018 VG18
세드나족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성간 천체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 3I/아틀라스
오르트 구름
구조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기타
가설상의 천체 벌컨, 티케, 네메시스, 제9행성
각주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왜행성
Dwarf Planet
\ | 矮行星'''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8px"
IAU 공식 왜행성
<rowcolor=#fff> 2006년 8월 24일 재분류·분류
{{{#!wiki style="margin: -16px -11px" 1
세레스
134340
명왕성
136199
에리스
}}}
<nopad> 2008년 7월 11일 분류 <nopad> 2008년 9월 17일 분류
136472
마케마케
136108
하우메아
IAU 비공식 왜행성
50000
콰오아q
왜행성 후보 천체
225088
공공d
90377
세드나d
90482
오르쿠스d
120347
살라시아
307261
마니
208996
아클리스
55565
아야
174567
바르다
532037
28978
익시온
20000
바루나
229762
90568
고이브뉴
55637
우니
145452
리토나
10
2017 OF201
각주
q: IAU2022년-2023년 연례보고서에서 왜행성으로 분류되었다.
d: 왜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시미니가구아
532037 Chiminigagua
<bgcolor=#04070A> 파일:2013 FY27.png
촬영: Hubble Space Telescope (NASA, 201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05050> 발견
임시 명칭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2013 FY27
발견 일시 2013년 3월 17일
채드윅 트루히요, 스콧 S. 셰퍼드
최초의 사전 발견 2011년 3월 15일
Pan-STARRS 1
물리적 특징
구분 해왕성 바깥 천체
산란 분포대
지름 742(±81) km
평균 온도 19K(−254°C)
분광형 V–R =0.56 ± 0.03
R–I =0.52 ± 0.03
겉보기 등급 22.5 (의 위치)
절대 등급 3.15±0.03
반사율 0.150-0.215 (기하학적)
위성 1개
궤도 특성
궤도 장반경 58.786 AU (87억 9426만 km)
원일점 82 AU (122억 6703만 km)
근일점 35.572 AU (53억 2149만 km)
궤도 경사각 33.121°
이심률 0.3949
공전 주기 450.43년 }}}}}}}}}
1. 개요2. 상세3. 둘러 보기

1. 개요

2013년 발견된 산란 분포대의 소행성체. 이름은 콜롬비아 무이스카 문명의 창조신에서 따왔다.

2. 상세

파일:치과나 가봐.png
스콧 S. 셰퍼드 박사팀이 발견한 산란 분포대 천체로, 현재 59 AU 너머에 있는 태양계 내 소천체들 중에서도 절대 등급이 공공 바로 다음이며, 2019년 9월 현재 해왕성 바깥 천체들 중에서 9번째로 밝은 천체이다. 자전 주기는 불명확하며 이는 자전 주기가 매우 길거나 자전축이 지구를 향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표면은 약간 붉은 빛을 띈다.

2019년 기준으로 겉보기 등급은 22.1등급이며,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근일점 접근 시기는 2201년 9월이 될 예정이다.

2018년 1월 위성을 발견했으며, 모천체보다 약 3.0(±0.2)등급 가량 희미하기에 같은 표면 밝기를 가졌다는 가정 하에서는 약 190 km의 크기를 가진다.[1] 위성의 궤도를 조사하기 위해 2018년 5월~7월 사이에 후속 관측을 했지만 결과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만약 위성의 궤도 주기와 평균 거리 등이 알려지면 두 천체의 질량과 밀도를 대략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2025년 8월 기준으로 관측 호(Observation arc)는 5,093일, 궤도의 불확실성 매개변수는 3이다.

3. 둘러 보기

큐비원족
{{{-1 {{{#fff
고전적 카이퍼 벨트 천체'''}}}}}}
Classical Kuiper-belt Object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8px"
15760
알비온
20000
바루나
50000
콰오아
55565
아야
55636
55637
우니
136472
살라시아
136472
마케마케
145452
리토나
307261
마니
486958
아로코트
532037
}}}}}}}}}
MPC 지정 번호 순 소행성체(Minor Planet) 찾기
532036 2013 FW25[2] 532037 시미니가구아 532038 2013 FB28[3]

[1] 다만 명왕성카론처럼 표면 밝기가 다를 가능성도 있다.[2] 궤도 장반경이 2.2755603 AU, 궤도 경사각이 7.63036°인 소행성대 천체[3] 궤도 장반경이 45.921649 AU, 궤도 경사각이 15.66753°인 큐비원족 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