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21:25:56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경주마에 대한 내용은 슈퍼 크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 우마무스메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URA | 아오하루배 | 클라이맥스 | 그랜드 라이브 | 그랜드 마스터즈 | 프로젝트 L'Arc | U.A.F. | 대풍식제
이벤트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 (애니메이션) (WINNING LIVE)
| 도주 시스터즈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일섭갤 | 한섭갤 | 트레센갤 | 채널 | 사건 사고 | 원화가 트위터 논란 | 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 (전개 (10월 이후)간담회환불 소송 사건)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 한자 표기 | 라이브
}}}}}}}}}}}} ||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목록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 color=#373a3c,#dddddd>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페셜 위크.png
]]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일런스 스즈카.png
]]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토카이 테이오.png
]]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루젠스키.png
]]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후지 키세키.png
]]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오구리 캡.png
]]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골드 쉽.png
]]
스페셜 위크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토카이 테이오 마루젠스키 후지 키세키 오구리 캡 골드 쉽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보드카.png
]]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와 스칼렛.png
]]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이키 셔틀.png
]]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그래스 원더.png
]]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아마존.png
]]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맥퀸.png
]]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엘 콘도르 파사.png
]]
보드카 다이와 스칼렛 타이키 셔틀 그래스 원더 히시 아마존 메지로 맥퀸 엘 콘도르 파사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티엠 오페라 오.png
]]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브라이언.png
]]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심볼리 루돌프.png
]]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그루브.png
]]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그네스 디지털.png
]]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세이운 스카이.png
]]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마모 크로스.png
]]
티엠 오페라 오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심볼리 루돌프 에어 그루브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세이운 스카이 타마모 크로스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파인 모션.png
]]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와 하야히데.png
]]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야노 탑건.png
]]
[[맨하탄 카페|
파일:프로필 이미지 맨하탄 카페.png
]]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미호노 부르봉.png
]]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라이언.png
]]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아케보노.png
]]
파인 모션 비와 하야히데 마야노 탑건 맨하탄 카페 미호노 부르봉 메지로 라이언 히시 아케보노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유키노 비진.png
]]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라이스 샤워.png
]]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이네스 후진.png
]]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그네스 타키온.png
]]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어드마이어 베가.png
]]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이나리 원.png
]]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위닝 티켓.png
]]
유키노 비진 라이스 샤워 아이네스 후진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이나리 원 위닝 티켓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샤커.png
]]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이신 플래시.png
]]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렌짱.png
]]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와카미 프린세스.png
]]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골드 시티.png
]]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바쿠신 오.png
]]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시킹 더 펄.png
]]
에어 샤커 에이신 플래시 카렌짱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골드 시티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시킹 더 펄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신코 윈디.png
]]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윕 토쇼.png
]]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슈퍼 크릭.png
]]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마트 팔콘.png
]]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젠노 롭 로이.png
]]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토센 조던.png
]]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카야마 페스타.png
]]
신코 윈디 스윕 토쇼 슈퍼 크릭 스마트 팔콘 젠노 롭 로이 토센 조던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타이신.png
]]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니시노 플라워.png
]]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하루 우라라.png
]]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뱀부 메모리.png
]]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코 페가수스.png
]]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블러스 선데이.png
]]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치카네 후쿠키타루.png
]]
나리타 타이신 니시노 플라워 하루 우라라 뱀부 메모리 비코 페가수스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미스터 시비.png
]]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이쇼 도토.png
]]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도베르.png
]]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이스 네이처.png
]]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킹 헤일로.png
]]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치카네 탄호이저.png
]]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이쿠노 딕터스.png
]]
미스터 시비 메이쇼 도토 메지로 도베르 나이스 네이처 킹 헤일로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이쿠노 딕터스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파머.png
]]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타쿠 헬리오스.png
]]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트윈 터보.png
]]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토노 다이아몬드.png
]]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키타산 블랙.png
]]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치요노 오.png
]]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시리우스 심볼리.png
]]
메지로 파머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트윈 터보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키타산 블랙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아르당.png
]]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야에노 무테키.png
]]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츠루마루 츠요시.png
]]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브라이트.png
]]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데어링 택트.png
]]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로렐.png
]]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탑 로드.png
]]
메지로 아르당 야에노 무테키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데어링 택트 사쿠라 로렐 나리타 탑 로드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야마닌 제퍼.png
]]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푸리오소.png
]]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트랜센드.png
]]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스포와르 시티.png
]]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노스 플라이트.png
]]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심볼리 크리스 에스.png
]]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니노 김렛.png
]]
야마닌 제퍼 푸리오소 트랜센드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노스 플라이트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타니노 김렛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이치 루비.png
]]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라모누.png
]]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애스턴 마짱.png
]]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토노 크라운.png
]]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슈발 그랑.png
]]
[[비르시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르시나.png
]]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블로스.png
]]
다이이치 루비 메지로 라모누 애스턴 마짱 사토노 크라운 슈발 그랑 비르시나 비블로스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단츠 플레임.png
]]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케이에스 미라클.png
]]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정글 포켓.png
]]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노 리즌.png
]]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틸 인 러브.png
]]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코파노 리키.png
]]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홋코 타루마에.png
]]
단츠 플레임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정글 포켓 노 리즌 스틸 인 러브 코파노 리키 홋코 타루마에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원더 어큐트.png
]]
[[삼손 빅(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삼손 빅.png
]]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운즈 오브 어스.png
]]
[[로이스 앤드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로이스 앤드 로이스.png
]]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츠라기 에이스.png
]]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네오 유니버스.png
]]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미라클.png
]]
원더 어큐트 삼손 빅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로이스 앤드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2px"]]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네오 유니버스 히시 미라클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탭 댄스 시티.png
]]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두라멘테.png
]]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라인 크라프트.png
]]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세자리오.png
]]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메사이어.png
]]
[[데어링 하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데어링 하트.png
]]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오르페브르.png
]]
탭 댄스 시티 두라멘테 라인 크라프트 세자리오 에어 메사이어 데어링 하트 오르페브르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젠틸돈나.png
]]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윈 바리아시옹.png
]]
젠틸돈나 윈 바리아시옹
[ 삭제된 우마무스메 ]
{{{#!wiki style="margin:-16px -11px -16px" 부에나 비스타 딥 임팩트 킹 카메하메하
}}}||}}}}}}}}}

파일:우마무스메_슈퍼크릭(교복).png
마음껏 응석 부리렴~
후훗, 착하다 착하다♪
Super Creek
スーパークリーク
슈퍼 크릭[1]
유우키 카나
5월 27일
168cm
약간 증가 (이유는 비밀)
B97 · W61 · H91
어떤 이야기도 잘 들어주고, 포용하고 위로해 주며 응석도 잘 받아주는 우마무스메.
그로 인해 가끔 사람을 어리광쟁이로 만들고, 자신도 함께 어리광쟁이가 될 때도 있지만 모성의 힘은 어마어마하다.
자신의 성장보다는 라이벌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며 기쁨을 느끼는 타입.
오구리 캡, 타마모 크로스의 좋은 라이벌.

1. 개요2. 캐릭터 소개3. 애플리케이션
3.1. 프로필3.2. 인게임 정보3.3. 작중 행적
3.3.1. 개인 스토리3.3.2. 육성 스토리
3.4. 기타 정보
3.4.1. 비밀3.4.2. 1컷 만화
4. 애니메이션
4.1. TVA 1기4.2. OVA BNW의 맹세4.3. 우마욘
5. 코믹스6. 라이브 시어터
6.1. 솔로6.2. 그룹
7. 기타

[clearfix]

1. 개요

후훗. 앞으로도 많이 도울게요.
샘플 보이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모티브는 동명의 경주마 슈퍼 크릭.

2. 캐릭터 소개

공식 이미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승부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_슈퍼크릭(승부복).png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원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우마무스메_슈퍼크릭(원안).png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무대의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우마무스메_슈퍼크릭(무대의상).png }}}}}}}}}}}}

원본 경주마 슈퍼 크릭비와 하야히데와 함께 명마들 중에서 대두로 손꼽힌다.[2] 본작에서는 대두 대신 거유가 되었으며,[3] 비와 하야히데히시 아케보노 등과 더불어 원본마의 머리 크기가 가슴 크기에 반영되었다는 설의 유력한 후보자이기도 하다. 다만, 생각보다 몸매가 부각되는 묘사는 잘 보이지 않고, 남들을 돌보고 챙기려는 모성 넘치는 캐릭터성이 더 강조된다. 그리고 C94에서 공개된 설정집에서, 승부복 원안의 스웨터가 동정을 죽이는 옷으로 유명한 홀터넥 스웨터라는 것이 공개되었다. 링크 그러나 인게임에서는 승부복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는데, 땋아도 허리까지 오는 긴 머리 때문에 잘 드러나지 않지만 겉옷 안에 받쳐입은 옷은 여전히 등이 훤히 드러나 있다.

우마욘의 본인 편에서 타마모 크로스에게 본의 아니게 어그로를 끈 것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좋은 어머니' 이미지로 그려지는 경향이 있다. 이런 특유의 온화한 성품은, 원본 경주마 슈퍼 크릭의 대단히 침착했던 성격이 반영된 설정으로 보인다. 다만 뱀부 메모리 관련 에피소드에서 모브 선도부 멤버들을 모성으로 세뇌(...)하는 에피소드가 나오기도 하는 등, 점차 2차 창작에서의 광기의 어머니 기믹도 본편에 역수입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기타 문단 참조.

3. 애플리케이션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24 「슈퍼 크릭」

3.1. 프로필

초기 해방
포근한 모성으로 치유해주는 상냥한 언니
우후후, 슈퍼 크릭이에요~ 모두의 미소를 위해서라면 열~심히 노력할 거예요. 맡겨만 주세요♪
고등부
릿토 생활관
친밀도 랭크 1
168cm
약간 증가 (이유는 비밀)
5월 27일
친밀도 랭크 2
다른 사람 돌보기
그림 그리기[4]
친밀도 랭크 3
귀 청소가 특기지만 남에게 받는 것은 어렵다.
어린 아이를 잘 달랜다.
친밀도 랭크 4
좌우 모두 25.5cm
친밀도 랭크 5
집에서 운영하는 탁아소는 가정적인 분위기로 호평이다.
[쉬폰 리본 머미] 슈퍼 크릭
당사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응석은 받아주지 않는다.
본가인 탁아소의 아이들과 찍은 단체 사진
트레이너가 안전한 곳에 있는지 확인한다.
[자우화영] 슈퍼 크릭
「가르쳐줬으면 좋겠어」라는 부탁을 받은 과목
곤충에 대해 조금 박식하다.
사탕같은 자그마한 과자, 반창고

3.2. 인게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작중 행적

3.3.1. 개인 스토리

개인 스토리에서도 모성애가 넘칠 정도로 돌보기를 좋아하는 성격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집안이 탁아소를 했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한다.[5] 주인공 트레이너와 처음 만났을 때 부터 주인공이 칠칠치 못함을 느꼈는지 선발할 우마무스메를 못찾아 풀죽은 주인공을 따로 찾아와 위로해주고, 선발 레이스에서 뛰어난 성적을 보이며 여러 트레이너들의 스카우트 제의를 받지만, 주인공 트레이너가 좋다며 그와 계약을 맺는 모습을 보인다.[6] 이 때 다른 트레이너가 저런 무명 트레이너를 고르냐며 따지지만, 전혀 개의치 않고 슈퍼 크릭과 트레이닝을 하던 중 한 일류 트레이너가 슈퍼 크릭에게 어울리는 트레이너가 누구인지 겨뤄보자며 슈퍼 크릭의 담당 권한을 걸고 승부를 걸기까지 한다.[7] 그리고 크릭 본인도 주인공을 앞으로도 계속 돌봐주고 싶으니까라는 각오로 이기고, 앞으로도 승부를 많이 이겨서 주인공을 훌륭한 트레이너로 만들어준다고 하기까지 한다(...).

타마모 크로스의 관점에서 강압적인 일류 트레이너보다는 주인공 트레이너의 훈련 메뉴가 슈퍼 크릭에게 더 잘 맞는다고 한 것을 보면 서로 궁합은 잘 맞는 모양.

3.3.2. 육성 스토리

육성 스토리에서는 자신이 최고가 돼서 트레이너가 최고임을 증명하기 위해 레이스에 나선다. 그러는 중 당대의 히어로인 타마모 크로스, 오구리 캡과 라이벌 구도가 되면서 스스로 악역을 자칭하게 된다.[8] 하지만 그녀의 레이스가 우마튜브에 올라오기 시작하면서 지명도가 올라서 나중에는 팬들에게 인정받는다.

시나리오 내내 라이벌과의 분위기도 상당히 좋으며 상대방을 생각해서 악역 쪽에 서기도 한다[9]. 물론 이는 상대방과 대회 팬들을 위한 연기로, 훗날 연기라는 걸 들킨[10] 이후에는 트레이너의 성장이 목표라며 원래 모습을 보인다. 다만 트레이너가 엮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텐노상(봄) 때 타마모 크로스가 도발한다고 트레이너를 걸고 넘어졌다가[11] 이때만큼은 진지해진 크릭에게 탈탈 털렸다.[12] 나중에 사과하러 온 것은 덤.

클리어 이후의 엔딩에서는 레이스 이후에 스트레스가 쌓이기 시작하는 것을 트레이너가 열심히 케어해주는 것으로 나오는데, 트레이너와 함께 오구오구(でちゅね)~ 놀이를 하는 등 열심히 트레이너를 돌보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으로 나온다. 심지어 목욕까지 같이 하려고 했던 것 같은데, 이건 너무 나갔다 싶었는지 트레이너에게 제지당한다.

3.4. 기타 정보

3.4.1. 비밀

슈퍼 크릭
슈퍼 크릭의 비밀 ①
사실은 떡을 둥글게 잘 빚는다.
슈퍼 크릭의 비밀 ②
사실은 아버지 영향을 받아 골프에 대해 잘 안다.[13]

3.4.2. 1컷 만화

1컷 만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슈퍼 크릭 ①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어리광 받아주고 싶어
파일:1컷 만화 슈퍼 크릭.jpg
}}}}}}}}} ||

4. 애니메이션

4.1. TVA 1기

6화 A 파트에서 등장. 제 33회 푸드 파이트에서 오구리 캡, 타마모 크로스와 도넛먹기 경쟁을 벌이는데 도넛을 집다가 실수로 오구리 캡의 접시에 자기가 먹어야 할 도넛을 던져 넣는 일이 터지며 비디오 판독 결과 실격. 다만 저 둘이 다 먹었을 때도 아직 다 못 먹고 남긴 채였기에 실격 이전에 애초부터 우승하지도 못했고, 정작 오구리 캡은 슈퍼 크릭의 몫까지 모조리 먹어치우며 우승했다.[14]

EXTRA R에서는 위 멤버들과 함께 윈터 드림 트로피에 출주하는 오구리 캡을 응원한다.

한편 이 때는 캐릭터성이 확립되기 전이었는지 맹하고 모성애 넘치는 게임판과는 다르게 소심하지만 승부욕에 불타는 성격으로 나온다.[15]

4.2. OVA BNW의 맹세

국화상 승리팀
팀 B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라이스 샤워.png
]]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치카네 후쿠키타루.png
]]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야노 탑건.png
]]
[[맨하탄 카페|
파일:프로필 이미지 맨하탄 카페.png
]]
라이스 샤워

(1992)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997)
마야노 탑건

(1995)
맨하탄 카페

(2001)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슈퍼 크릭.png
]]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맥퀸.png
]]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와 하야히데.png
]]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브라이언.png
]]
슈퍼 크릭

(1988)
메지로 맥퀸

(1990)
비와 하야히데
(1993)

(닥터 스톱)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000000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대리)
←팀 N 팀 W→


축제 중 치유 귀청소방을 운영했으며, 원본마가 국화상 우승이라는 공통 분모를 지닌 비와 하야히데의 B팀 소속으로 나온다.

4.3. 우마욘

최종화인 12화에서 골드 쉽이 기획한 금선 장애물 코스를 타마모 크로스, 히시 아마존과 함께 달린다.

첫 장애물인 밀가루에서 사탕찾기에서, 얼굴에 밀가루를 묻히는 게 쑥스러웠는지 사탕만 찾아내려고 요염하게 밀가루를 불어내면서 호평을 받지만, 얼굴을 밀가루에 처박고 사탕을 찾은 나머지 둘에 비해 좀 늦춰진다.

파일:sperhousewife.png
두 번째 장애물인 의상 갈아입기에서는, 앞치마와 장바구니 조합의 젊은 새댁 의상을 입게 된다. 차라리 벌칙 의상이라고 해야 할 나머지 둘에 비하면[16] 가장 무난한 의상.[17] 그래서인지 레이스가 끝난 후 타마모 크로스와 히시 아마존은 골드 쉽을 죽일 기세로 추격하지만, 본인은 만족한 듯 싱글거리며 즐기고 있다.

18화에서도 평소에도 절약정신으로 식단을 조절하며 적게먹는 타마모 크로스와, 그런 타마모 크로스를 신경쓰게된 오구리 캡 앞에 인사하며 나타난다. 무슨일이냐고 묻자 오구리 캡이 17화때 상황을 설명하는데, 슈퍼 크릭이 편식하면 안된다고 하며 타마모 크로스에게 밥을 먹이려고 하자[18] 타마모 크로스에게 놀리는 거냐며 뭇매를 당한다. 이걸 본 오구리 캡은 평소의 모습답다며 밥을 계속 먹는 건 덤.

5. 코믹스

5.1. 우마욘

원본마가 라이벌 관계였던 오구리 캡, 타마모 크로스, 그리고 이나리 원이 전부 우마무스메에 나와서인지 상당히 자주 출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10화의 자기소개 편에서 등장하고, 내용상으로는 타마모 크로스편과 이어진다. '타마모 크로스가 더 많이 먹었으면 좋겠다'는 오구리 캡의 이야기를 듣고 편식하는 줄 착각해서[19], 아이 다루듯 손수 밥을 먹여주려고 몸을 굽히다가 커다란 가슴이 부각되는 바람에 타마모 크로스에게 어그로가 끌렸다.(...)

27화 이나리 원편에서는 타마모 크로스와 달리는 이나리 원을 보고 오구리 캡과 함께 엄마 미소를 지었다가 둘에게 "우리가 이래봬도 너희 라이벌이다!"라고 한 소리 듣는다.

34화에서도 이 조합으로 등장. 오구리 캡과 이나리 원이 "큰 경기 전에 자신감을 좀 붙이자"며 경기 일정을 너무 타이트하게 짜는 걸 보고 "왜 그렇게 무리하느냐"며 걱정하지만, 사실 그 일정의 원인이 자기라서[20] 한 소리 듣는다. 1989년 텐노상(가을)에서 슈퍼 크릭에게 둘이 패한 것을 소재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37화에서는 니시노 플라워와 함께 등장. 크릭의 스커트가 찢어진 걸 본 니시노 플라워가 이를 수선해주고 크릭은 니시노 플라워의 머리를 쓰다듬어주는 훈훈한 이야기인데, 어째서인지 제목은 모성 대결.(...)

5.2.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라이브 시어터

6.1. 솔로

<rowcolor=#fff> 앨범 재킷 곡명 상세
파일:우마무스메07.png ふんわりSlowly
포근히 Slowly

6.2. 그룹

<rowcolor=#fff> 앨범 재킷 곡명 상세
파일:우마무스메07.png PRESENT MARCH♪
  • 첫 수록 : STARTING GATE 07
  • 작사 : | 작곡, 편곡 :
  • 가창 우마무스메 : 하루 우라라,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슈퍼 크릭
  • 비고 : 팀레이스 메인 화면에서 Instrumental 버전이 재생

7. 기타

온화하고 편안한, 모성이 느껴지는 누님 우마무스메. 어느 누구든 응석을 받아주는 포용력 가득한 성격과 체형. 그러나 그런 치유 파워와는 반대로, 레이스에서는 경이적인 스태미너로 적을 압도한다. 취미는 「장래 유망한 신참 트레이너를 한 사람 몫을 하게 키우는 것」으로,[21] 입후보하는 트레이너가 끊이지 않는 것 같다... 오구리 캡, 이나리 원과는 급우이자 라이벌.
초기 설정
  • 게임에서 등장한 승부복 모델링이 원안과 비교해 대폭 변경된 우마무스메 중 하나. 푸른색의 겉옷을 덧입고 나오게 되었다. 이로써 게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중 히시 아마존과 함께 원안에서 디자인이 가장 큰 폭으로 바뀐 캐릭터가 되었다.[22]현재는 서포트 카드에서나마 옛 승부복의 모습을 볼수있다.
  • 캐릭터의 온화한 성격에 맞췄는지, 슈퍼 크릭은 등장 캐릭터들 중에서도 말하는 속도가 유난히 느린 편이다. 주로 같이 다니는 타마모 크로스는 말하는 속도가 빠른 편인지라 특히 부각되는 편.
  • 작중 룸메이트는 나리타 타이신. 둘의 원본 경주마는 모두 주전 기수가 타케 유타카였고, 최초의 G1 우승을 타케 기수와 함께 했다. 슈퍼 크릭은 타이신의 육성 스토리에도 간간히 얼굴을 비춘다. 타이신의 체구가 워낙 작다보니[23] 게임 내 회화를 보면 타이신이 안쓰러웠는지 크릭이 이것저것 챙겨먹이려 하고, 타이신도 성격상 처음에는 퉁명스럽게 반발하지만 풀이 죽어 시무룩해지는 크릭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약해져서 결국은 다 받아주는 모양. #
  • 다른 캐릭터들과의 이벤트에서도 종종 보이지만, 특히 육성 스토리에선 슈퍼 크릭의 모성애가 지나친 나머지 우마무스메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알고 보면 숨겨진 광기 캐릭터로 평가받는 경우가 잦다. 어느 정도냐면 천하의 골드 쉽이 어찌 못하고, 그 마이페이스에 고고하기로 악명이 높은 메지로 라모누조차 당황하게 만드는 캐릭터가 바로 슈퍼 크릭. 대체 오구오구(데쮸네) 놀이가 뭔지 감도 안 잡힐 정도. 덕분에 개그성 2차 창작물에서도 단골로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데, 본편의 모성애 기믹을 극단적으로 강화시켜 성인 캐릭터까지 아기처럼 취급하며 돌보는 것을 즐기는 광기 캐릭터로 주로 그려진다. 피해자가 모성애에 감화된 나머지 아예 아이 수준으로 돌아가는 작품도 있는데, 예를들면 스페셜 위크엄마가 셋으로 늘어난다. 그런데 뱀부 메모리 실장 이후 공식에서 대놓고 크릭에게 유아퇴행 당하는 우마무스메들이 나오는 스토리를 내보냈다. #

    주로 얽히는 캐릭터는 본편에서도 관련 이야기로 자주 얽힌 사이인 주인공 트레이너와 룸메이트 나리타 타이신, 그리고 타마모 크로스. 특히 타마모 크로스는 슈퍼 크릭과 주로 엮이는 캐릭터들 중에서도 특히 체구가 작고 독보적으로 어려 보이는 외모인데다[24] 우마욘 애니메이션에서 유치원생 복장을 입은 에피소드가 나온 것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아예 마망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일본 쪽에서는 달리는 니시마츠야(走る西松屋)[25]라는 별명이 붙었다. 또한 실제로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지만 2차창작에선 "비켜! 내가 엄마라구요!"라는 입버릇이 멋대로 붙어버렸다.
  • 어머니 속성 캐릭터 답게(?) 기수가 상당히 높다. 동기인 오구리 캡이 비와 하야히데에게 존대를 받으며, 바로 1기수 위인 타마모 크로스가 부회장인 에어 그루브에게 존대를 받는다.
파일:사복_슈퍼크릭.gif* 인게임 사복 복장은 가슴부분에 리본이 달린 분홍색의 블라우스 + 별세개가 달린 목걸이 + 옅은 푸른색의 롱스커트 + 리본으로 포인트를 준 분홍색 펌프스 하이힐 조합으로 조신하게 나온다.
  • 승부복 색상은 실제 슈퍼 크릭의 마주인 키쿠라 마코토의 마주복 색상에서 따왔다.
파일:super creek.jpg*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에서는 프리티 더비와는 달리 오구리 캡과 마찬가지로 진지한 모습이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물론 중간 중간 개그컷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신데렐라 그레이가 실제 역사를 기반으로 내용을 진행하고 있다보니 진지하게 경기에 임하는 모습이 부각된 편이다. 프리티 더비 성분이 증발(...)한 신데그레 답게 광기어린 표정도 장난스럽게 언급되는 마마 네타로는 사실상 아예 없다고 봐도 좋고, 숙적들에게 보여주는 강렬한 호승심에서 나오는 표정으로 표현되는 편이다. 사실 이것도 신데그레 작가의 비하인드 스토리에 따르면 원래는 더 광기 넘치는 표정인데 편집부에서 자제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


[1] 애니플러스에서는 '슈퍼 크리크'로 번역했다.[2] 다만 극중에서도 머리 크기를 캐릭터성으로 삼은 비와 하야히데와 달리, 슈퍼 크릭은 머리 크기와 관련해 별다른 언급이 없다.[3] 담당 성우유우키 카나같은 속성이다.[4] 그런데 우마무스메 공식 트위터에서 슈퍼 크릭 본인이 그린 그림이 공개되면서, 저게 대체 어딜 봐서 못 그린 그림이냐며 기만자 취급을 받기도 한다. #[5] 같은 탁아소 출신인 타마모 크로스도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쓰다듬으려 하는 등 탁아소에서는 큰언니 역할을 했다고 한다. 타마모와도 친하며, 타마모를 부르는 애칭은 "타마쨩"[6] 이는 기수인 타케 유타카가 국화상에서 탈 말을 고르려 마방을 돌아보던 중, 직접 그의 옷을 잡아당겨 자신을 타게 했다는 일을 오마주 한 것으로 보인다. 1992년 JRA 히어로 열전에는 아예 '역지명'이라고 소개되어 있다.[7] 승부까지는 주인공도 승낙을 하지만, 슈퍼 크릭을 걸고 하자는 것에는 망설인다, 하지만 슈퍼 크릭이 주인공과 함께하는 자신이 최고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그 조건을 수락하고 승부 전 긴장하는 트레이너를 오히려 격려해 주는 등 어른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8] 원본 경주마 슈퍼 크릭도 89년 가을 텐노상에서 오구리 캡에게 승리한 후 압도적인 오구리 캡의 팬덤에게 빌런 취급받았다. 기수 타케 유타카는 비난하는 편지를 수도 없이 받았을 정도.[9] 경기 전에 트레이너에게 연습 겸 악당다운 대사를 하기도 하는데 생각보다 잘한다(...). 거의 매도 수준. 물론 너무 심했다면서 앞으로는 더 약하게 하겠다고 한다.[10] 지명도가 높아진 후 팬들이 우마튜브(...)에서 슈퍼 크릭의 예전 경기들을 보고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었다고 한다.[11] 레이스에서 압살해서 트레이너를 재기 불능(...)으로 만들어준다고 했다.[12] 이런 모습 또한 원본마 슈퍼 크릭을 고증한 것이기도 한데, 원본마는 먼저 시비를 걸고 다니는 성격은 아니지만 다른 말들이 시비를 걸면 물러서지 않고 맞서싸우는 성질을 갖고 있었다.[13] 원본 경주마 슈퍼 크릭의 주전 기수 타케 유타카는 기수 생활 초기부터 골프를 시작해 실력이 상당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를 반영한 설정으로 보인다.[14] 원본마 오구리 캡 항목에도 있는 1988년 제 33회 아리마 기념 경기 패러디. 실제로 슈퍼 크릭은 1펄롱 남겨둔 상황에서 메지로 듀렌의 진로를 방해하여 실격. 말이 진로방해지 영상을 보면 아예 밖으로 밀어버렸다고(...) 해도 과하지 않다.[15] 참고로 이것도 나름대로 고증이다. 실제 슈퍼 크릭은 먼저 싸움을 거는 성격은 아니었지만 프라이드가 높아서 걸려온 싸움은 100% 받았다고 한다. #[16] 타마모 크로스는 유치원생복, 히시 아마존은 마법소녀 복장이었다.[17] 평소 모성애가 넘치는 성격(TVA 1기에서는 이 성격이 확립되기 전이라 승부욕이 있는 성격이 부각되었다)인지라 의상하고 가장 잘 어울리기도 하다.[18] 이때 슈퍼 크릭의 가슴이 출렁이는 장면이 실제로 있는데, 타마모 크로스가 슈퍼 크릭의 가슴이 출렁이는걸 보고 발끈한다(...).[19] 사실 타마모 크로스는 자기도 많이 먹고는 싶은데, 힘들게 살았던 어린 시절 생활 습관 때문에 몸이 따라주지 않는 것이었다.[20] 둘이 입을 모아 "오늘 너한테 져서 그런다!"라고 말한다.[21] 원본 경주마 슈퍼 크릭은 데뷔 2년차 신인 기수였던 타케 유타카의 첫 G1(국화상) 우승을 함께 하고, 그가 명기수로 성장하는 계기가 된 말이다. 이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22] 아이러니하게도 이 둘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승부복이 화려하거나 과감하게 변경된 캐릭터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상의가 긴팔이던 원안에서 아예 옆이 훤히 뚫린 민소매로 변경된 위닝 티켓, 원안보다 화려한 꽃잎 모양 스커트에 민소매 상의로 바뀐 니시노 플라워가 있다.[23] 신장만 봐도 크릭은 등장 우마무스메들 중에서도 장신에 속하는 168cm, 타이신은 반대로 단신인 145cm라 23cm나 차이가 난다. 몸의 굴곡 쪽은 말할 것도 없고...그래서 스토리 등에서 같이 서 있는 경우, 둘의 체격차는 거의 엄마와 딸 수준으로 차이가 난다.[24] 나리타 타이신도 타마모 크로스 못지않게 체구가 작고 앳된 외모의 소유자이지만, 이쪽은 비와 하야히데, 위닝 티켓과 함께 BNW 트리오로 주로 엮이다보니 타마모 크로스에 비해 슈퍼 크릭과 엮이는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25] 일본의 대표적인 아동복 전문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