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06:05:50

송백헌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송백헌
宋百憲 | Song Baek-Hun
<bgcolor=#fff,#191919> 파일:송백헌.jpg
<colbgcolor=#01499d><colcolor=#fff> 출생 1935년 9월 1일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
사망 2021년 1월 9일 (향년 85세)
충청남도 논산시 부창동[1] 둘째아들 부부 분갓집.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관 은진 송씨[2] (恩津 宋氏)
본적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평산리[3]
원적 한성부 마포[4]
충청남도 대덕군 회덕면 회덕리[5]
거주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가족 배우자 김용희(전직 초등학교 교장 출신.)
슬하 3남
학력 충남대전공업고등학교 (졸업)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 / 학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 / 석사 수료)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박사)
경력 대전고등학교 교사
대전공업고등전문학교 전기학과 부교수
충북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문인총연합회 회장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1. 개요2. 생애3. 저서4. 수상

1. 개요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국어국문학자, 문학평론가.

2. 생애

우암 송시열의 직계 10대손으로 1935년 9월 1일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에서 태어 났다. 충북 옥천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이후 충남 대전에서 성장하였다.

충남대전공업고등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다. 강경상업고등학교, 대전사범학교, 충남고등학교 등에서 국어교사를 지냈다.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전고등공업전문학교[6] 전기학과 부교수, 충북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를 거쳐서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정년을 마쳤다.

연구 분야는 현대소설로 농민문학, 역사소설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80여 명에 달하는 박사 제자들을 지도하였다.

문교부·교육부 검인정 교과서 『문학』의 공저자로 참여했으며, ‘대전학(大田學)’ 연구에 매진하여 그에 관한 논저를 남겼다. 충남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대전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연구위원(계약직 가급 공무원)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3. 저서

  • 《진실과 허구》
  • 《우리 문학과 그 현장》
  • 《한국근대역사소설연구》
  • 《서포 가문 행장》
  • 《계용묵 문학 작품집》
  • 《한국문학사조론》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 《행복은 별자리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 《유니버시티와 멀티버시티》
  • 《고등학교 검인정 교과서 문학》
  • 《천년 고을 회덕 이야기》
  • 《선비 고을 유성 이야기》
  • 《은진 송씨 세적사》
  • 《은진 송씨 우암문정공파 세적록》
  • 《광산 김씨 허주공파 세적록》
  • 《교주 해설 한글 송씨가전》

4. 수상

  • 2011년, 대전광역시장 표창
  • 2003년, 제10회 한성기 문학상
  • 1989년, 제1회 대전직할시 문화상(문학부문) 대전직할시장상
  • 1988년, 서울올림픽 기장(대회장) 체육부 장관
  • 1980년, 제1회 대전직할시 문화상(문학 부문)

[1] 둘째아들 부부의 분갓집이 있는 지역구.[2] 우암 송시열 선생의 직계 10대손.[3] 송백헌 아버지의 고향이다.[4]서울특별시 마포구. 송백헌 친할아버지의 고향이다.[5]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송백헌 큰아버지의 고향이다.[6]한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