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 | 내셔널리그 과거 참가 구단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2c292a; margin:-5px -1px -11px" | ||||
고양 | 서울 | 수원 | 안산 | |
예산 | 용인 | 울산 | 이천 | |
내셔널리그 참가 구단 | ☆ K리그 진출 구단 | |||
충주 | 홍천 | |||
K리그 과거 참가 구단 | ||||
K3·4리그 과거 참가 구단 | ||||
구 K3리그 |
<colcolor=#ffffff> | |
서울시청 | |
정식 명칭 | 서울시청 축구단 |
영문 명칭 | Seoul Football Club |
소속 리그 | 한국 내셔널리그 |
창단 | 1976년[1] |
해단 | 2003년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구단명 변천 | 서울시청 축구단 (1976~2003) |
홈구장 변천 | 동대문운동장 (23,500석) 효창운동장 (15,194석) 목동종합운동장 (15,127석) |
운영 법인 | 서울특별시체육회 (1976~2003) |
구단 형태 | 시민 구단 |
최종 구단주 | 이명박 (서울특별시장) |
최종 대표이사 | |
최종 단장 | |
최종 감독 | 권오손[2] |
최종 주장 | |
용품 스폰서 | |
셔츠 프린팅 | |
상징색 | |
유니폼 | 홈 남색, 원정 흰색 |
마스코트 | |
웹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했던 축구단. 목동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한국 내셔널리그에 참가했다.2. 역사
1946년에 창단했지만 한국 전쟁의 여파로 1950년에 해체되었다. 이후 1975년 1월 15일에 재창단했고 7월에 서울특별시청에서 박종환을 초대 감독으로 발표했다.2002년 FIFA 월드컵을 계기로 프로화를 추진했지만 서울특별시청에서 비인기 종목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변이 넓은 축구단과 배구단을 해체하기로 결정하면서 2003년을 끝으로 해체되었다고 흔히 알려져 있다. 여기에 FC 서울 안티들은 FC 북패 연고 이전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음모론을 제기했는데,
서울시청 축구단은 이름만 서울시청이었지 실제로는 서울시립대학교에 체육 특기생으로 진학한 선수로 구성된 구단이었다. 이는 같은 시기 해체된 서울시청 배구단도 동일했다. 그러나 체육 특기자 제도 개정으로 1999년 입학생을 마지막으로 체육 계열 학과가 없는 대학은 체육 특기생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선수 수급이 끊어졌다. 그 상태에서 기존 프로 및 실업 축구단에서 외면 당했던 선수를 받아들이는 형식으로 2003년까지 근근히 연명했던 것이다. 즉 1999년에 바로 해체되어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었다.
해체 후 서울특별시에서 여자 축구단 창단을 결정하면서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이 서울시청 운영 축구단의 계보를 잇고 있다.
이강조 前 광주 상무 불사조 감독, 최인영 前 국가대표 골키퍼가 이곳 출신이다.
3. 둘러보기
서울특별시청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ae193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남자 양궁 | 남자 육상 | 남자 복싱 | 자전거 |
남자 체조 | 스피드 스케이트 | 여자 펜싱 | 여자 축구 | |
쇼트트랙 | 탁구 | 여자 핸드볼 | 남자 정구 | |
철인 3종 | 핀 수영 | 여자 사격 | 남자 조정 | |
여자 태권도 | 당구 | 남자·여자 컬링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