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1:20:41

Satisfactory

새티스팩토리에서 넘어옴

파일:satisfactory logo full color small.png
마일스톤 M.A.M. 연구 건물
대체 제작법 아이템 토착 생물
유체
자원 싱크
보너스 프로그램
게임 플레이 팁 업데이트 패치 노트
도전과제 지역
새티스팩토리
Satisfactory
<nopad> 파일:Satisfactory-header.jpg
<colbgcolor=#fa9549,#fa9549><colcolor=#010101,#010101> 개발 Coffee Stain Studios
유통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장르 오픈 월드, FPS, SF, 공장 게임, 건설 경영 시뮬레이션
출시 앞서 해보기
2019년 3월 19일
정식 출시
2024년 9월 11일
엔진 언리얼 엔진 5.3[1]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레딧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특징4. 평가5. 구성 요소6. 설정7. 8. 패치 노트9. 기타 이야기거리10. 외부 링크
10.1. 정보 제공 및 공장 설계 사이트

1. 개요

<rowcolor=#010101> 1.0 런치 트레일러

염소 시뮬레이터의 개발사로 잘 알려진 Coffee Stain Studios에서 개발한 3D 오픈월드 공장 건설 게임. 2019년 3월 19일 앞서 해보기로 발매됐었다. 에픽게임즈 스토어에서 12개월 간 독점 판매됐고, 2020년 6월 9일에는 Steam에도 출시됐다. 그리고 2024년 9월 11일 0시(대한민국 시간대 기준)에 1.0 버전으로 정식 출시했다.

한국어 번역은 공식적으로는 얼리 액세스 출시 당시부터 지원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최초 출시 당시 폰트 깨짐 현상 때문에 한국어를 비롯한 몇몇 언어는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그리고 2019년 8월 2일 금요일에 공개된 실험 버전 0.2.1.8 - Build 102736부터 한국어의 폰트 깨짐 현상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언어 번역을 제대로 지원하기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어 번역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어 번역은 유저 참여 한글화로, 직접 번역에 참여하거나 번역에 관련된 피드백을 남기고 싶다면 새티스팩토리 갤러리의 번역 피드백 공지를 참고하면 된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colbgcolor=#fa9549><colcolor=#010101> 시스템 요구 사항 (Windows)
<rowcolor=#ffffff>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운영체제 Windows 10 or later (64-Bit) Windows 11 or later (64-Bit)
CPU Intel Core i5-3570 3.4 GHz 4 Core Intel Core i5-12400
AMD Ryzen 5 5600X
RAM 8GB 16GB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650 / GTX 1050 Ti
AMD Radeon RX 470 / RX 570
NVIDIA Geforce RTX 2070
AMD Radeon RX 5700
하드디스크 20 GB 사용 가능 공간
추가사항 멀티 플레이를 위해서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3. 특징

새티스팩토리는 자원을 모아서 최종 부품을 만들고 그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주요 콘텐츠인 소위 말하는, 공장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프로젝트 어셈블리"를 완수하라는 명령을 받고 행성에 파견된 엔지니어이자 개척자로, 분포된 자원을 모아 기지를 만들고 허브에서 티어를 올리며 새로운 건축물과 제품을 해금하여 점차 자동화, 양산화를 통해 다른 행성에 파견될 개척자들을 위한 자원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이다.[2]

3D판 팩토리오라 불리기도 하지만 팩토리오는 건설과 디펜스 요소에 중점을 뒀다면 새티스팩토리는 건설과 탐험에 중점을 뒀다.

4.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파일:Windows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c/satisfactory|
91
]]


[[https://www.metacritic.com/game/pc/satisfactory/user-reviews|
8.9
]]

기준일:
2025-01-25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7273/satisfactory|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fc430a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9e00b4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4aa1ce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80b06a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7273/satisfactory|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478c77, #76c8ff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6c9059, #627f50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7273/satisfactory|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기준일:
2025-08-07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26870/#app_reviews_hash|압도적으로 긍정적 (9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26870/#app_reviews_hash|압도적으로 긍정적 (9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5. 구성 요소

5.1. 건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건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건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건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아이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토착 생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생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생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생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마일스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마일스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마일스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마일스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연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연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연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연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1. 하드 드라이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하드 드라이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하드 드라이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하드 드라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하드 드라이브 분석으로 대체 제작법을 획득할 수 있다.

5.6. 자원 싱크 보너스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자원 싱크 보너스 프로그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자원 싱크 보너스 프로그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자원 싱크 보너스 프로그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지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지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

  • FICSIT
  • 프로젝트 어셈블리
    FICSIT 주식회사가 주도하는 미래 식민지 건설 프로젝트. 게임 상에선 우주 엘리베이터 건설 후, 자원을 공급하여 어디론가 보내는 묘사가 나온다. 1.0 정발 이후에는 전송한 자원을 이용해 궤도에서 우주선을 조립하는 것으로 설정이 정립되었다.

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패치 노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tisfactory/패치 노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패치 노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tisfactory/패치 노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이야기거리

  • 에픽스토어에 최초로 등록된 얼리엑세스 독점작 중 하나였다. 그 때문에 공식 트위터에서도 이를 가지고 초기 판매량은 9장밖에 안 된다는 식의로 자학하는 다양한 트윗들을 올렸다. 가령 "판매된 게임 0장의 수익 88%는 0", "스팀에 입점하면 한장 사서 판매량 10장으로 맞추게 해달라" 등. 후에 진지하게 50만장 이상 팔렸다고 유튜브를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 자원 덩이나 자원 노드에서 자원을 채취할 때 도구로 내려찍는 동작을 통해 자원을 채취하는데 이 동작이 3번 내리찍고 한 박자 쉬는 동작인지라 We Will Rock You연상케한다.
  • Satisfactory는 알 수 없는 행성에서 자원을 채집하고 그 자원을 제련하고 가공하는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해 운송 벨트로 공장까지 스스로 옮기는 등 주요 특징이 팩토리오와 비슷해 개발 초기에는 많은 사람들에게 3D 팩토리오로 알려져 있었다.
  • 세 번째 메이저 업데이트 영상에서는 마지막에 Valve사 게임에서 볼 수 있는 특유의 로고 (미스터 밸브)를 따라하면서 스팀 발매를 예고했다. 다만 Coffee Stain 특유의 일정 없는 예고이다보니 아무리 빨라도 Epic Games와의 1년 독점 계약이 끝나는 3월에 바로 스팀 발매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개발자의 말에 따르면, 3월에 바로 나오기는 어려우며, 어떻게서든 2020년 안에는 스팀에 발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State of Update 3, Steam, and Dedicated Servers 이후 발매 일자가 한국시간 기준 2020년 6월 9일 새벽 2시로 확정되었다. 하지만 당시 데티케이티드 서버는 나오지 않았으며 업데이트 5에서 추가됐다.
  • 새티스팩토리의 개발사인 Coffee Stain은 트위치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새티스팩토리의 차후 업데이트 내용이나, 공지사항, Q&A등을 하고 있으니 관심있는 사람들은 들어가 보는걸 추천한다.(매주 화요일)
  • 도전과제의 원문 명칭은 전부 영미권에서 유명한 미디어 프로그램이나 서브컬처 쪽 패러디이다. 예를 들어 철로 5km는 레일로드 타이쿤이고, 파이프라인 5km는 파이프 드림이고, 대체 제작법은 마스터셰프인 식. 한국어 번역에서는 일부 명칭들이 원문의 의도를 전혀 알 수 없는 평이한 방식으로 번역되었으나, 오히려 한국식으로 현지화가 잘 된 번역도 있다.
  • 색상 커스터마이저의 견본 배색도 전부 뭔가의 패러디이다. 예를 들어 견본 7번은 에반게리온 초호기, 견본 9번은 에반게리온 2호기, 견본 10번과 18번은 과거 미국에서 유행했던 '크루저 스타일'인 식.[3] 참고로 18번은 FICSIT의 마스코트인 체킷의 이미지 컬러이기도 하다.
  • 트레일러가 꽤나 병맛스럽다. 예를 들면 노래를 틀고서는 도마멍멍이에게 핵 노벨리스크를 덕지덕지 붙인다거나 열차 두 대가 충돌하여 화물칸이 날아갔음에도 저 멀리서 흐뭇하게(?) 지켜보는 등 염소 시뮬레이터를 만든 개발사답게 병맛 요소가 조금씩 있다. 정식 트레일러도 기괴하게 배치된 컨테이너 밸트로 여전한 병맛을 보여주었다. 정식 트레일러에서는 그동안 새티스 팩토리 아래의 얼리 엑세스 문구를 빌드 건으로 지워버렸고, 1.0 스팀 이미지에는 새티스팩토리 유저들이 기피하는 나사 제작 라인[4]에 앉아있는 모습을 올려놓았다.
  • 상호작용이 많은 게임이다보니 아무래도 버그가 많다. 사전 출시 기간이 상당히 길었음에도 1.0 정식 출시 이후에도 버그가 많아서 업데이트가 수시로 올라옴에도 아직도 버그가 있다. 1.0 업데이트 직후 화력 발전소가 석탄 입력을 안받아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는 버그가 터지고 게임 진행이 불가능해지자 핫픽스로 빠르게 수정되었다. 그나마 개발자들이 게임에 애정을 가지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것을 이유로 비판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10. 외부 링크

10.1. 정보 제공 및 공장 설계 사이트

  • 새티스팩토리 상호작용 지도 - 새티스팩토리 전역 지도를 보여주는 웹사이트. 자신의 세이브 파일을 업로드하여 아직 찾지 못한 자원과 공장 전경도를 알아낼 수 있고 채굴기나 원유 펌프가 이미 배치된 자원 노드, 회수된 파워 슬러그같은 자원은 희미하게 표시된다.
  • 세이브파일 3D 시각화 - 위의 평면 전역 지도와는 다르게 3D로 세이브파일을 보여주는 웹사이트. 오브젝트 하나하나 JSON 파일로 추출또한 가능하다.
  • 새티스팩토리 계산기 - 공장 최적화를 도와주는 웹사이트, 필요한 자원을 입력하면 가용한 대체 제작법을 기초로 생산법을 알려준다. 설정에 따라 공장의 규모 등이 달라지지만 내부의 공장을 직접 설계할 수는 없다.
  • 새티스그래프토리 - 자원을 처음 채굴하는 채굴기부터 시작해서 공장을 설계하고 최종적인 결과 생산량이 어떠한지, 그리고 공장 내 각 시설마다 효율이 어떠한지를 알려주는 웹사이트. 원하는 생산품을 입력해 공장을 보여주는게 아닌 직접 공장을 설계해서 생산품이 얼마나 나오는지를 미리 보여주므로 위의 계산기와는 반대되지만 '공장을 직접 설계'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첫 번째 메이저 업데이트 전인 가장 초기 버전의 내용만 반영되어 있어 노벨리스크나 핵연료봉같은 후에 추가된 아이템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
  • Satisfactory Modeler(스팀) 스팀에 있는 새티스팩토리 공정 계산 프로그램. 공장 요소들을 배치하고 자원 결과값이나 필요 자원값을 입력하면 필요한 공장 수와 나머지 자원량을 계산해주는데 마인드맵처럼 작동하여 쓰기 쉬운 편이다.

[1] 앞서 해보기 시기부터 계속 엔진 업데이트를 단행해 왔으며, 2023년 6월에 업데이트된 0.8 버전부터 언리얼 엔진 5로 전환했다.[2] 베타 버전에서는 플레이어와 같은 행성에 추가로 파견될 개척자들을 위해 행성 식민화 계획의 초석을 마련하라는 명령이었다.[3] 크루저 스타일의 경우 D.Va의 전설 스킨인 복고풍 스킨의 원 명칭이 'Cruiser'인 것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덧붙여 D.Va의 메카의 원래 색깔이 다름 아닌 크루저 핑크 배색이다.[4] 유저들이 나사를 기피하는 이유는 나사를 사용하는 제작법에서의 요구량이 많아서 입출력의 부담이 가중되고 생산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컨베이어 벨트 Mk.3 운송량이 분당 270개인데 이걸 나사가 들어가는 생산 라인에 투입하면 라인 1개만 겨우 돌릴 수 있어서 매니폴드 방식의 최적화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