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01:22:49

뿔 전사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파일:elden-ring-shadow-of-the-erdtree-logo.png
파일:EldenRingdeco2(RGB)(noise_scale)(Level3)(tta)(x1.500000).png]]
등장인물 · 지역 · 보스
'''뿔 전사'''
파일:1000013575.jpg
등장 지역<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묘지 평원
탑의 도시 벨라트
라우프의 옛 유적
미드라의 저택
에니르 일림
1. 개요2. 상세
2.1. 신조 전사2.2. 신수 전사

1. 개요

엘든 링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에 등장하는 인간형 몬스터.

2. 상세

큰 체구에 흉조처럼 뿔이 나있는 가면 투구를 쓴 전사. 탑의 도시 벨라트, 미드라의 저택, 에니르 일림그림자의 땅 다양한 지역에 존재한다.

엘든 링의 모든 몬스터 중에서도 강인도와 피통이 매우 높은 편이다. 다크소울 3의 군다 처럼 발차기를 날리거나 철가시 엘레메르처럼 철산고를 날리는 등 체술도 사용한다. 대곡검을 든 개체와 쌍곡검을 든 개체가 있으며, '뿔내림'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땅을 찍은 뒤 도가니 가시를 솟구치게 한다.

뿔 전사가 드랍하는 뿔 전사의 투구를 쓰면 근력이 5 증가하는 대신, 황금 나무로부터 미움받는 존재란 설정인 만큼 성배병의 회복량과 이성 내성이 감소한다.

뼛가루로도 존재하기에 영체로 소환 가능하다.

2.1. 신조 전사

'''신조 전사'''
파일:1245620_20240626085736_1.png
등장 지역<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라우프의 옛 유적
에니르 일림
뿔 전사의 시조로, 뿔 전사보다 더욱 강한 개체이다. 뿔 전사와는 다르게 쌍곡검만을 사용한다. 뿔 전사의 강인도와 강한 공격력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으며, 신조의 투구를 뒤집어쓰고 신조의 깃털 기도를 사용한다. 또한 뿔 전사와 마찬가지로, 칼로 땅을 내려찍은 뒤 도가니 뿔을 솟구치는 기술인 뿔내림을 사용한다. 자주 나오지는 않지만 날개를 생성하고 비행을 하기도 하는데, 날아서 신조의 깃털을 발사하고 쌍곡검으로 3연격을 쓰는 패턴과 플레이어를 잡아서 날았다가 땅에 박는 잡기 공격도 있다.

신조 전사가 드랍하는 신조의 투구를 착용하면 근력과 기량이 각각 3, 4씩 증가하며 신조의 깃털이 강해진다. 마찬가지로 이성 내성은 감소한다는 패널티가 있다. 또한 신조 전사의 각반은 갈고리 발톱이 달려있어 발차기의 위력이 높아지기에 격투 무기 단류 발차기술과 상성이 좋다.

뼛가루로 '신조 전사 오르니스'라는 개체를 소환 가능하며, 특별한 뼛가루라서 영혼 묘 은방울꽃으로 강화해야 한다. DLC 영체 중에서 가장 강하다고 평가받는다.

2.2. 신수 전사

'''신수 전사'''
파일:1245620_20240626082825_1.png
등장 지역<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에니르 일림
신수 사자무를 형상화한 '신수의 투구'를 뒤집어쓴 선택받은 뿔 전사. 뿔 전사와는 달리 무조건 대곡검만을 들고 있다. 그 강력한 뿔 전사 중에서도 가장 강한 개체인 만큼 그림자의 땅 통틀어 단 네 명만 존재하며, 메인 루트에서 만나게 되는 3명은 플레이어를 마주하면 공중으로 날아 포효하더니 각각 벼락/냉기/폭풍의 태세를 갖추고 덤벼온다. 메인 루트에서는 3명만 조우가 가능하나 숨겨진 루트에서 1명 추가 발견이 가능하다. 신수 사자무와 달리 태세 속성을 전환하지는 않으며, 라우프에 등장하는 사자무처럼 죽음 태세 신수 전사는 존재하진 않는다. 기본적으로 뿔 전사의 미친 강인도와 속도에 강화된 체력, 태세를 통한 원거리 견제기와 강력한 데미지를 지닌 그림자의 땅 최강의 잡몹으로, 본편의 룬베어의 이미지를 계승받은 강력한 몹이다.
  • 벼락 신수 전사는 원거리에선 벼락 창을 사용하며 근접전 시 몸에 벼락을 두른 뒤 돌진하는 패턴을 사용하고, 다른 개체들에 비해 패턴들이 단타 위주라 그나마 수월한 편이다. 다만 단타 위주인 만큼 공격 자체도 한방한방이 강하기에 얕봤다가는 후술할 뿔내림 벼락 참격에 단번에 축복으로 돌아갈 수 있다.
  • 냉기 신수 전사는 원거리에선 신수의 서리 밟기를 사용하며 근접 시에는 서리 바람을 부른 뒤 5연격을 날리는 패턴을 사용한다. 냉기 신수 전사는 패턴도 복잡하고 전투 지형도 좋지 않은 데다가, 폭풍 신수 전사와 달리 영체 사용도 없어 가장 난관으로 평가받는다.
  • 폭풍 신수 전사는 원거리 견제기로 신수 회오리바람을 사용하며, 근접전에선 폭풍으로 플레이어를 띄운 뒤 공중으로 높게 도약해 내려찍는 패턴을 사용한다. 폭풍 신수 전사의 경우 다른 두 전사와는 달리 리젠되지 않으며, 전투 시 영체 소환이 가능하다.

뿔 전사인 만큼 뿔내림을 사용하는데, 공통적으로 도가니 인챈트 후 대곡검을 5연속 내려친 뒤 큰 도가니 뿔을 바닥에서 솟구치는 기술을 사용하며, 도가니 인챈트로 칼을 거대하게 변환해 각 속성에 맞는 강한 참격을 시전하는 속성별 뿔내림 참격을 사용한다. 이 속성별 뿔내림은 3개체 모두 모션이 다르다.[1]

신수 전사 처치시 일정 확률로 신수의 투구를 드랍한다. 신수 사자무가 주는 거대한 신수의 머리와 달리 빛바랜 자의 머리 크기에 딱 맞는다. 착용하면 성배병의 회복량과 이성 내성이 낮아지지만 근력, 기량이 각각 3씩 오르며 폭풍의 위력이 증가한다.[2] 폭풍 신수 전사의 경우 앞서 말했듯 리젠되지 않아 뿔 전사의 대곡검을 확정 드랍한다. 장갑 및 각반은 뿔 전사의 것과 동일하므로 세트를 파밍하려면 참고할 것. 가장 편한 파밍 방법은 나선탑 쪽에서 스피라를 사용하는 고문 노인 2명을 처리하며 내려와 정면에 있는 벼락 신수 전사를 잡는 것이다. 벼락 신수 전사가 다른 두 개체에 비해선 연타 패턴이 적은 편이기도 하고, 아랫쪽에서 올 때와는 달리 나선탑 쪽에서 접근하면 플레이어를 인식하는 속도가 느려서 원거리 공격으로 피를 깎고 전투를 시작할 수 있다.

[1] 벼락 신수 전사는 벼락을 담아 횡으로 크게 내려치고, 냉기 신수 전사는 냉기를 담아 횡으로 휘둘렀다가 수직으로 크게 내려친다. 폭풍 신수 전사는 폭풍을 불러 팽이돌리듯 마구 휘두른다.[2] 신수 사자무의 신수의 머리는 근력과 기량이 4씩 오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