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추동궁마마 우왕 ~ 태종 AD 1388~1418 | 뿌리깊은 나무 세종 AD 1418~1450 | 설중매 문종 ~ 연산군 AD 1450~1504 |
풍란 중종 ~ 명종 AD 1504~1565 | 임진왜란 선조 AD 1590~1598 | 회천문 선조 ~ 광해군 AD 1602~1624 | |
남한산성 인조 AD 1627~1642 | 인현왕후 숙종 AD 1679~1702 | 한중록 영조 AD 1725~1779 | |
파문 정조 AD 1782~1801 | 대원군 철종 ~ 고종 AD 1849~1897 | }}}}}}}}} |
1. 개요
공식 홈페이지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2부로 1983년 7월 8일부터 1983년 12월 12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금요드라마. 극본 및 연출은 전작처럼 신봉승-이병훈 콤비이며 해설도 양지운 성우로 동일하다. 조연출은 이관희 PD, 야외촬영은 임이랑, 야외조명은 최원근, 기술감독은 강영석, 조명감독은 오상돈, 카메라는 이근철 외 다수, 미술감독은 박수명, 무대 디자인은 임수영, OST 작곡은 박범훈, 글씨는 윤길중, 음악은 이춘화 등이 각각 맡았다.
2016년부터 MBC Archive에서도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 중이나 원본 테이프의 관리 문제 등으로 3, 5, 8, 9회 등 일부 회차가 누락되었다.
2. 등장인물
- 세종: 한인수
- 소헌왕후: 김영애
- 태종: 이정길
- 원경왕후: 김영란
- 문종: 임정하
- 휘빈 김씨: 정은숙
- 정소공주: 이민영
- 김종서: 전운
- 현덕왕후: 한애경
- 심온: 최병학
-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한은진
- 강상인: 오승룡
- 단종: 이민우
- 양녕대군: 송기윤
- 어리: 박영귀
- 효령대군: 김웅철
- 칠점선: 이혜숙
- 황희: 이묵원
- 맹사성: 박규채
- 이천: 박종관
- 박연: 정욱
- 이숙번: 김희라
- 이순지: 김상순
- 장영실: 길용우
- 노사신: 김용건
- 사방지: 이미영
- 이씨 부인: 이미지
- 장영실의 어머니: 이수나
- 이종무: 김동현
- 최윤덕: 김주영
- 전흥: 신국
- 유정현: 홍순창
- 변계량: 김용건
- 신미 대사: 조춘
- 무명 대신: 이창환
- 명나라 사신: 이계인
- 이 상궁: 김영옥
- 동궁전 내관 / 초선의 기둥서방: 윤석오[1]
- 이순지의 하인: 차윤회
- 순이의 할머니: 지계순
- 하봉래: 김정
- 아낙: 나정옥
- 금부도사 현감 / 군관 / 백성: 신명철
- 김호영
- 박영지
- 박영태
- 김애경
- 박웅
- 임채무
- 정대홍
- 정승현
- 장보규
- 전국근
- 김경진
- 김사천
- 홍중기
- 최한호
- 김화란
- 김두삼
- 김찬구
- 박소현
- 오현섭
- 김은영
- 홍나옥
- 최지원
- 사상기
- 이운우
- 이순규
- 오승명
- 이종환
- 박병훈
- 박희우
- 김순경
- 김명희
- 김흥수
- 김응보
- 김주승
- 권미혜
- 김지원
- 박광영
- 강수영
- 서은경
- 최현미
- 윤철형
- 신성균
[1] 당시 '윤창우' 명의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