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66CCFF> 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 Order Wojenny Virtuti Militari | ||||||
| | ||||||
| 제정일 | 1792년 6월 22일 | |||||
| 국가 | | |||||
| 종류 | 무공훈장 | |||||
| 모토 | HONOR I OJCZYZNA 명예와 조국 | |||||
| 수훈자 | ||||||
| 수훈 대상 | 군인, 군부대 | |||||
| 상위 상훈 | 흰독수리 훈장 | |||||
| 하위 상훈 | 오드로제니아 폴스키 훈장 | |||||
1. 개요
폴란드의 무공훈장이다.2. 역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말기인 1792년에 국왕 스타니스와프 2세가 제정했다.하지만 3년 만에 폴란드 분할로 연방이 해체되면서 폐지됐다가[1], 폴란드 제2공화국 연간에 부활했고 폴란드 인민공화국을 거쳐 현재의 폴란드 제3공화국에서도 유지되고 있는 훈장이다. 마지막 수훈은 민주화 이후 수립된 제3공화국에서 1993년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이 사령관십자장을 수여했다.[2]
특이사항으로 제2공화국 당시 러일전쟁에서 활약한 일본 제국군 장교 51명을 선별해 이 훈장을 수여하였다.
3. 등급
3.1. 대십자장
3.2. 사령관십자장
3.3. 기사십자장
3.4. 금십자장
3.5. 은십자장
4. 수훈자
4.1. 대십자장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제1공화국)
- 바르샤바 공국
- 제2공화국&망명정부
-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 알베르 1세
- 알렉산다르 1세
- 페르디낭 포슈 (1923)
-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1944)
- 버나드 몽고메리 (1944)
- 인민공화국
- 게오르기 주코프 (1945)
- 니콜라이 불가닌 (1945)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1945)
- 알렉세이 안토노프 (1945)
- 요시프 브로즈 티토 (1945)
- 이반 코네프 (1945)
-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 (1945)
- 파벨 쿠타호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1945)
4.2. 사령관십자장
- 제2공화국&망명정부
- 브와디스와프 안데르스
- 스타니스와프 할레르
- 오쿠 야스카타 (1926)
- 카와무라 카게아키 (1926)
- 인민공화국
- 제3공화국
- 프랑수아 미테랑 (1993)
4.3. 기사십자장
4.4. 금십자장
- 폴란드-리투아니아
-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1792)
- 제2공화국
- 인민공화국
4.5. 은십자장
- 제2공화국
- 제2공화국 망명정부
- 인민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