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국의 프라모델 기업 블로키의 주력 라인업인 트랜스포머를 정리한 문서.2. 특징
라인업 같은경우 클래식 클래스, 갤럭시 버전, 샤이닝 버전, 엑션 에디션, 디펜더 버전이 존재한다.3. 발매 제품
3.1. 클래식 클래스
반다이의 HG 시리즈 혹은 EG 시리즈의 해당되는 라인업.3.1.1. 2023
3.1.1.1. 세트 제품
- 세트 B - 01 옵티머스 프라임 & 04 옵티머스 프라이멀 & 05 옵티머스 프라이멀 로봇 (비스트의 서막)
3.1.2. 2024
3.1.2.1. 세트 제품
| 메가트론 | 옵티머스 프라임 |
3.1.3. 2025
- 17 사운드웨이브 (ONE)
- 18 쇼크웨이브 (ONE)
- 20 메가트로너스
- 21 제트윙 옵티머스 프라임DX(트랜스포머 3)
트랜스포머 3에 등장한 옵티머스 프라임 세팅이며 클래식 클래스 09의 상위호환 격의 제품. 해당 제품에서 제트윙과 제트윙 캐논, 방패 및 에너존 도끼와 배러지 건을 추가한 버전이다.
3.2. 갤럭시 버전
4인치 크기의 조립식 피규어 시리즈로, 블라인드 박스 형태로 9개 캐릭터가 한 번에 출시된다. 주로 G1을 기반으로 하지만 섀터드 글래스, IDW 코믹스 세계관 같은 캐릭터들도 출시되곤 한다. 각 웨이브마다 특정 피규어에는 추가 액세서리와 메탈릭 도장이 적용된 시크릿 버전이 포함된다.갤럭시 버전을 개별 구매시 9개에 캐릭터중 랜덤하게 그 9개중 하나가 나오며, 각 캐릭터별 나오는 확률이 정해져있다.[1] 반다이 가샤폰이나 트레이딩 피규어와 비슷하다고 볼수있다.
블로키의 갸차 시리즈가 대부분 그렇지만 캐릭터 카드가 동봉된다. 갤럭시 버전 05까지는 동그란 캐릭터 배지였으나 06부터는 캐릭터 카드로 변경.
또한 갤럭시 버전 07부터는 06까지 동봉되던 검은색 스탠드가 관절의 개선 덕분에 독자적으로 스탠딩이 쉬워져서인지 더이상 동봉되지 않는다.
확률 표시는 캐릭터 이름 (확률)로 표시한다.
3.2.1. GV 01-롤 아웃
* 재즈 (1/9)
* 아이언하이드 (1/9)
* 라쳇 (1/9)
* 프라울 (1/9)
* 블루스트릭 (1/9)
* 메가트론 (1/9)
* 스카이워프 (1/9)
* 썬더크래커 (1/9)
* 옵티머스 프라임 (시크릿) (1/36)
3.2.2. GV 02-SOS
- 그림록 (로봇 모드) (1/9)
- 그림록 (다이노 모드) (1/12)
- 클리프점퍼 (1/9)
- 인페르노 (1/9)
- 그래플 (1/9)
- 옵티머스 프라임 (IDW) (1/9)
- 스타스크림 (1/9)
- 믹스마스터 (1/9)
- 롱 홀 (1/9)
- 그림록 (다이노 모드) (시크릿) (1/36)
3.2.3. GV 03-더 오토봇 런
- 범블비 (1/9)
- 슬래그 (다이노 모드) (1/9)
- 슬래그 (로봇모드) (1/9)
- 사이드스와이프 (1/9)
- 레드 얼럿 (1/9)
- 울트라 매그너스 (DW) (1/9)
- 사운드웨이브 (1/12)
- 스캐빈저 (1/9)
- 본크러셔 (1/9)
- 사운드웨이브 (시크릿) (1/36)
3.2.4. GV 04-골절된 시공간
- 울트라 매그너스 (1/9)
- 스날 (다이노 모드) (1/9)
- 스날 (로봇모드) (1/9)
- 스모크스크린 (1/9)
- 탄 (1/9)
- 네메시스 프라임 (1/9)
- 스크래퍼 (1/9)
- 후크 (1/9)
- 쇼크웨이브 (1/12)
시크릿 버전과 공통으로 건 모드의 쇼크웨이브, 경례 손 동작 부품이 동봉된다. - 쇼크웨이브 (시크릿) (1/36)
3.2.5. GV 05-ONE
* D-16 (1/9)
옥의 티가 있는데, 작중 센티넬 프라임이 D-16의 가슴에 메가트로너스의 얼굴을 새긴 것은 그의 어깨에서 메가트로너스의 스티커를 뗀 이후인데도 어깨에 스티커가 여전히 붙어있다.
3.2.6. GV 06-평행우주
해당 제품부터 동봉되는 배지가 캐릭터 배지가 아닌 캐릭터 카드로 변경되었다.- IDW 메가트론 (1/9)
보라색 이펙트 파츠가 동봉된다. - IDW 옵티머스 프라임 (1/12)
노란색 이펙트 파츠가 동봉된다. - 썬스트리커 (1/9)
- 라쳇 (SG) (1/9)
- 킥백 (1/9)
비클모드의 슈라프넬이 동봉된다. - 더지 (1/9)
- 휠잭 (1/9)
- 스우프 (다이노 모드) (1/9)
입에서 발사하는 화염 이펙트 파츠가 동봉된다. - 스우프 (로봇모드) (1/9)
- IDW 옵티머스 프라임 (포스 필드 모드) (1/36)
3.2.7. GV 07-ONE 웨이브 2
해당 제품부터 눈에 띄게 관절이 개선되었는데, 목 조인트 추가와 어깨 가동범위 개선, 허리 조인트 추가로 가동범위가 대폭 늘어났다. 그리고 이 덕인지 06 버전까지 동봉되던 스탠드가 더 이상 동봉되지 않는다.
*메가트론(1/12)
메가트로너스의 코그가 동봉된다.*메가트론(1/12)
- 오라이온 팩스(코그드)(1/9)
- D-16(코그리스)(1/9)
- 사운드웨이브(1/9)
- 쇼크웨이브(1/9)
- 스타스크림(1/9)
- B-127(코그드)(1/9)
- 엘리타 원(1/9)
- 알파 트라이온(1/9)
- 메가트론(시크릿)(1/36)
3.2.8. GV 08-ONE SHALL FALL
이번 시리즈 역시 관절 개선이 이루어졌는데 허벅지 관절 회전 추가, 골반 힙 관절 및 무릎 관절 가동범위가 개선되었다.- 옵티머스 프라임(1/12)
더 무비 버전의 옵티머스 프라임으로 무비판에 가깝게 신조형으로 재발매.
- 핫로드(1/9)
- 메트로플렉스(1/9)
손에 장착할 수 있는 옵티머스 프라임의 작은 동상이 동봉된다.
- 슬러지 (로봇 모드)(1/9)
- 슬러지 (다이노 모드)(1/9)
데바스테이터에게 밟혀서 튀어나온 눈 파츠가 동봉된다.
- 블리츠윙(1/9)
- 슈라프넬(1/9)
비클모드의 봄셸이 동봉된다.
- 샤크티콘(1/9)
- 유니크론(1/9)
작중 스케일을 비슷하게 재현한 초소형 아크가 동봉되며 유니크론의 머리로 입을 여닫을 수 있는 기믹이 있다. 심지어 얼굴 밑에 조인트를 끼울 수 있어 다른 캐릭터의 머리 대신 유니크론 머리를 끼우는(...) 괴상한 짓도 가능하다.
- 옵티머스 프라임(시크릿)(1/36)
3.3. 샤이닝 버전
갤럭시 버전의 파생 라인업으로 각 버전당 6개의 캐릭터가 들어있고 갤럭시 버전과 같이 특정 캐릭터는 시크릿 버전이 존재한다. 샤이닝 버전의 특징으로는 클래식 클래스나 액션 시리즈처럼 흉부 파츠가 LED가 내장된 파츠[2]로 변경되며 발광 기믹을 위해 눈과 가슴의 파츠가 클리어로 사출된다.[3]라인업에 대해서 서술하면 갤럭시 버전에는 없는 독점 캐릭터들이 존재한다. 갤럭시 버전과 동일한 캐릭터들은 도색이 추가되고 일부 캐릭터들은 갤럭시 버전에는 없던 추가 악세사리가 동봉된다.
샤이닝 버전의 캐릭터들의 공통점으로는 얼굴이 메탈릭 실버로 사출 되고 클래식 클래스의 발판[4], 에너존 큐브가 동봉된다.
3.3.1. SV 01-샤이닝 롤 아웃
3.3.2. SV 02-샤이닝 1985
3.3.3. SV 03-평행우주
| 마스크 버전 | 언마스크 버전 |
- 탄 (1/6)
3.4. 액션 에디션
반다이의 MG 시리즈 혹은 RE/100, 풀 메카닉스와 같은 라인업.3.4.1. 2024
3.4.2. 2025
- 사운드웨이브(G1)
모든 카세티콘들이 동봉됨과 동시에 모든 카세티콘들에게 가동 기믹이 있다. 랫뱃과 레이저비크는 날개가 가동되고 래비지의 경우는 입을 열 수 있으며 럼블같은 경우는 총까지 끼워줄 수 있다. 당연하게도 사운드웨이브의 특징인 흉부 전개-사출 장면도 재현 가능. 심지어 발광기믹은 물론 음성기믹이 추가되었다![5] 그렇기에 국내외 가리지 않고 호평이 자자한 편.
- 옵티머스 프라임(ONE)
흉부와 어깨 파츠가 나뉘어있는데 이를 통해 코그를 착용한 오라이온 팩스 - 옵티머스 프라임 양 측을 재현 가능하며 앞, 좌측, 우측을 보는 눈 파츠가 따로 나뉘어 있어 눈을 굴리는 모습을 재현 가능하다. 작중 메가트론과의 전투에서 에너존 도끼를 회전하며 방어하던 모습을 묘사한 이펙트 파츠도 들어있다. 다만 손 파츠는 지금까지 액션 에디션으로 출시된 G1 캐릭터들과는 다르게 손가락에 자체 관절 및 가동 기믹이 없어 여러 파츠로 세분화 되어있다.
3.5. 디펜더 버전
3.5.1. DV 01-산산조각 난 동맹
3.5.2. DV 02-전복
3.5.3. DV 03-금속 전쟁
3.6. 휠즈
해즈브로의 핫휠과 유사한 제품군으로 타 라인업이 로봇모드를 구현한 것과 다르게 해당 라인업은 비클모드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은 조종석을 여닫는 기믹이 구현되어있고 전차형으로 변신하는 캐릭터들의 경우 포탑 회전 기믹 역시 구현. 해당 라인업 시크릿 버전만의 특징으로 '블루레이서'라는 2.5cm가량의 인간형 피규어가 동봉되는데 역시 관절 가동이 가능하며 운전석에 탑승시켜줄 수 있다.3.6.1. C 01 롤아웃
3.7. 한정판
3.7.1. X 이얼리 버전
3.7.1.1. 2024-골드라군
3.7.1.2. 2025-골드라군 디펜스
3.7.2. 기타 한정판
| 실제품 이미지 | 패키지 이미지 |
- 옵티머스 프라임(핑크) (2024)
3.8. 기타 제품
- 갤럭시 디펜더 DV 합체 파츠 데바스테이터
4. 기타
국내 시장에선 초이락이 본격적으로 본가 완구들을 수입 및 출범하기 이전 대형마트 등지에서 자주 보였고 출범한 이후로도 본가 완구까지는 없더라도 여전히 자주 보이는 완구들이다. 시리즈를 거듭하면 할수록 구성품도 풍부해지고 관절 개선, 새로운 조형이 들어가면서도 좋은 가성비를 유지하고 있어 국내 트랜스포머 팬덤의 호평이 자자한 편.[1] 한세트당 9종의 캐릭터가 다 들어있으므로 1/9의 확률이긴 하나 각 탄 별로 시크릿 버전이 배정된 캐릭터의 경우 4세트당 하나 꼴로 해당 캐릭터의 기본 컬러 대신 시크릿 버전이 포함되어 있어서 해당 캐릭터는 확률 표기가 기본 컬러 1/12, 시크릿 버전 1/36으로 표기되어 있다.[2] LED는 약간의 충격을 주는 방식으로 점등시키고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꺼진다[3] 신규 캐릭터가 아니면 갤럭시 버전의 금형을 유용하다 보니 눈과 얼굴, 가슴이 통짜로 나온 캐릭터 들은 전체를 클리어로 사출하고 발광부위를 제외한 부분은 전부 도색으로 처리한다[4] 오토봇은 노란색, 디셉티콘은 보라색이다[5] 램프에 불이 들어왔을 때 자석을 가까이 하면 음성이 나오는 식. 음성은 총 세 개가 수록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