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19:40:46

BLOODMONEY!

블러드 머니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블러드 머니'''{{{#!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히트맨 시리즈의 작품}}}에 대한 내용은 [[히트맨: 블러드 머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히트맨: 블러드 머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히트맨: 블러드 머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히트맨 시리즈의 작품: }}}[[히트맨: 블러드 머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히트맨: 블러드 머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히트맨: 블러드 머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ffd8eb,#3e177c><colcolor=#3e177c,#ffffff> 피 묻은 돈!
BLOODMONEY!
파일:BLOODMONEY2025.png
개발 Shroomychrist
유통 Shroomychrist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itch.io
장르 방치형, 심리적 공포
출시 2025년 8월 3일
엔진 RPG Maker MV
한국어 지원 미지원[1]
관련 페이지 파일:X Corp 로고(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itch.io 아이콘.svg

1. 개요2. 시놉시스3. 시스템4. 아이템5. 등장인물6. 엔딩
6.1. 노멀 엔딩6.2. 배드 엔딩6.3. 굿 엔딩
7. 노래8. 평가
8.1. 호평8.2. 비판
9. 여담10. Softmoney!
10.1. Softmoney의 진엔딩10.2. Softmoney의 굿엔딩10.3. Softmoney의 노멀 엔딩

1. 개요

Shroomychrist가 개발한 클리커 방치형 공포 비주얼 노벨.

2025년 8월 3일에 출시된 비교적 최근 게임으로, 한국에서도 점차 유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2. 시놉시스

<colbgcolor=#ffd8eb,#3e177c><colcolor=#3e177c,#ffffff>
주인공은 현재 수술이 필요한 상황. 하지만 돈은 없는 절망적인 순간, 길가에서 만난 하비 하빙턴이 제안한다.
“한 번 클릭할 때 마다 1달러!”
도구를 써서 고통을 줄수록 금액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돈을 위해, 어디까지 할 수 있을까?
네 정신력과, 하비의 생명력이 닿는 그 끝까지!

3. 시스템

파일:블러드머니 게임플레이.png
게임 플레이
캐릭터를 움직이거나 하는 액션 어드벤처 게임은 아니다.

화면에 떡하니 있는 하비 하빙턴이란 캐릭터를 클릭할 때 마다, 1달러가 오른쪽 위에 쌓인다. 100달러 즈음 모았을 때 하비가 상점이 있는 걸 얘기해주고, 상점에서 첫 아이템인 깃털을 살 수 있다.

더 고통스러운 도구를 쓸 수록, 돈을 이전 도구의 2배로 준다.

엔딩을 보는 가장 기본적인 루트는 총으로 하비를 쏴 죽이는 엔딩이지만... [2]

4. 아이템

왼쪽 위의 상점에 들어가 도구들을 살 수 있다.
  • 깃털
    게임 초반의 가장 기본 아이템. 깃털로 클릭하면 $2씩 준다. 가격은 $100.
  • 바늘
    바늘부터 하비가 조금씩 아파한다. 바늘로 클릭하면 $4씩 준다. 가격은 $500. 이걸 사용하면 하비의 입 왼쪽에 작은 상처가 생긴다.
  • 망치
    망치부터는 하비가 하지 말아달라며 부탁하기 시작한다. 망치로 클릭하면 $8씩 준다. 가격은 $1500. 이걸 사용하면 하비의 코에서 피가 나게 된다.

스포일러 [ 펼치기 · 접기 ]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가위
    가위로 클릭하면 $16씩 준다. 이때는 가위로 눈을 찌른다.
    가격은 $3000. 이걸 사용하면 하비의 오른쪽 안구가 빠져나오게 되고, 왼쪽 눈을 가로지르는 상처가 나게 된다.
  • 성냥
    성냥으로 클릭하면 $32씩 준다. 가격은 $6000. 성냥을 사용 시 하비의 옷에 불을 붙인다. 이걸 사용하면 가위로 인해 빠져나온 하비의 오른쪽 눈을 포함한 오른쪽 얼굴 전부가 타서 피범벅이 되고, 머리 선이 조금 삐뚤어진다.
  • 식칼
    식칼로 클릭하면 $64씩 준다. 가격은 $10000. 이걸 사용하면 하비의 오른쪽 눈은 아예 없어진 듯한 묘사가 나고, 왼쪽 눈은 충혈되어 눈물이 나며 입 왼쪽에 크게 찢어진 상처가 생기고 얼굴은 피로 덮혀 있다. 또한 성냥에 붙여진 불에 의해 머리카락이 태워진걸 표현한건지 머리카락의 선이 삐뚤빼뚤 해진다.[3]
    식칼로 찌르면 도중 하비가 플레이어를 붙잡으며 공격하는데, 이 상태에서 화면을 수번 클릭하면 하비의 공격하는 손의 손목을 절단해 버리고 이내 하비가 자신이 그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일개 캐릭터일 뿐이라는 것을 실감하며 체념한다. 그러나, 이때 클릭하지 않을 경우 게임 오버가 되어버린다. 하비 왈, "Click like your fucking life depends on it, bitch.(니 같은 인생이 달려 있는 것처럼 클릭해봐, 씨발아)".[4]
  • 권총
    엔딩용 아이템. 가격은 $20000. 다른 아이템들까지는 상점에서 가격과 함께 아이템의 종류를 볼 수 있지만, 2만 달러짜리 아이템은 플레이어가 직접 구매할 때까지 아이템의 종류가 무엇인지 나오지 않다가 구매하고 나서야 그 아이템이 권총임이 드러난다. 권총을 사용 시 하비가 제발 쏘지 말아달라며 애원하는 대사가 나오며, 무시하고 클릭하여 총을 쏠 시 총성과 함께 배드 엔딩으로 이어진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OODMONEY!/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OODMONEY!/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OODMONEY!/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엔딩

엔딩은 총 3개가 있다. 노멀 엔딩, 배드 엔딩, 굿 엔딩.

엔딩을 보기 위한 조건은 각 엔딩의 설명에서 서술.

또한 게임 오버도 있다. 하비를 식칼로 찌르는 도중에 하비가 주인공을 붙잡고 공격할 때, 클릭하지 않고 플레이어가 공격받도록 냅두면 게임 오버가 뜬다.

6.1. 노멀 엔딩

파일:고소엔딩.png

조건: 가위, 성냥, 칼 중 하나로 돈을 모두 모음[5]
당신은 온 몸이 만신창이가 된 하비를 길바닥에 내버려두고 떠납니다. 이제 수술을 위한 돈이 모였으니 당신의 몸은 건강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인생이란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는 법이랍니다. 하비에 대한 폭력과 중대한 신체 훼손은 결코 묻어둘 수 있는 일이 아니었죠. 당신은 어느 새 법정에 서 있었고, 그곳에선 하비 하빙턴이 당신을 마주하고 있었죠. 그를 알아보긴 어려웠지만, 그의 눈빛이 모든 증언을 하고 있었죠. 법정에선 하비의 손을 들어줬고, 당신은... 죽여주는 종신형 판결을 받았군요.

주인공은 하비를 흉기로 공격하여 얻은 돈으로 수술을 받아 회복되지만, 하비가 플레이어를 고소한다.[6]

이 엔딩의 하비는 찔린 눈 쪽에 안대를 하고, 탈색을 한 듯한 머리색, 그리고 이전엔 없던 수염까지 있으며 머리모양이 앞머리를 포마드로 내린 형태로 바뀌는 등 전체적인 인상이 매우 중후하게 바뀌었다. 플레이어로 인해 신체 손상을 입은 후 한동안 정신적, 육체적 충격이 커 자기관리를 하지 못한 듯.

6.2. 배드 엔딩

파일:RIP 하비.png

조건: 하비에게 총을 쏴서 살해함[7]
총성이 울려퍼진 뒤, 하비는 더 이상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당신은 여전히 그 자리에 서 있고, 주머니엔 노력으로 얻은 돈뭉치가 한가득 들어있었죠. 이제 그 돈으로 수술을 받을 수 있겠네요! 그렇죠?
알고 보니, 그 수술은 그렇게 중요한 수술이 아니었어요. 목숨이 위태로울 정도로 절박한 것도 아니였고요. 그저 당신은, 손 쉬운 부의 유혹을 이기지 못한 것이였을 뿐이에요. 당신은 부당하게 얻은 돈들을 미니밴에 싣고, 경찰이 눈치채기 전에 떠납니다.

하비를 권총으로 쏴 죽인다면 볼 수 있는 엔딩.

이 엔딩에선 하비가 죽기 전에 이제 됐다며 부스에 있는 모든 돈을 플레이어에게 건네며 제발 쏘지는 말아달라 애원한다. 그럼에도 쏘게 되면, 하비의 사망을 뒤로하고 자신의 미니밴에 돈을 쑤셔넣고 도망치다시피 자리를 뜨며 크레딧이 올라온다.

크레딧이 모두 올라간 후, 하비가 빨간 화면으로 갑툭튀하는 점프 스케어가 나온다.[깜놀주의]

6.3. 굿 엔딩

조건: 클릭, 깃털, 바늘, 망치 중 하나로만 돈을 모두 모음[9]
유일하게 다이얼로그 외엔 아무것도 없는 엔딩.
당신이 미니밴에 올라타 떠나려는 순간, 하비는 당신을 향해 손을 흔들며 배웅해줍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을 클릭하는 것 만으로도 이렇게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을거라 누가 생각이나 했겠어요?
바로 이 순간, 당신은 손에 피를 많이 묻히지 않고도[10] 목표에 도달했고, 노력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달성한 성과에 당신은 어쩔 수 없는 자부심을 느끼게 됩니다.

이 엔딩에서의 하비는 그리 많이 다치지 않는다. 주인공 역시 평범하게 공짜로 돈을 벌어 수술을 받으러 가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컷신조차 없는 매우 평범한 엔딩이 되어 수천번이 넘는 클릭[11]을 한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허무하게 느껴질 수 있는 엔딩이다. 배드와 노말보다 보기 어려운 엔딩. 심지어 이 게임에선 오토마우스가 막혀있어서 (?!) 플레이어가 직접 클릭해야 한다.

7. 노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공식 MV
PAID IN BLOOD (ft. Liam)
[ 가사 보기 ]
----

번역:DeepL

Come step right up and take a peek

작곡 및 작사가 Shroomychrist
투고일 2025년 8월 7일

8. 평가

8.1. 호평

연출이나 점프 스케어 자체는 꽤 공포스럽고 잔혹하여 플레이어에게 확실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는 반응이 많으며, 특유의 그림체로 인해 메인 캐릭터인 하비 하빙턴이 호감형 외모로 인식되어 해당 게임의 팬덤과 2차 창작이 생기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돋보이는 것은 하비의 성우인 덱스터 매닝(Dexter Manning)의 열연으로, 연출보다 더빙이 더 리얼하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수준급의 연기력을 보였다. 덱스터 매닝이 한국에 어느 정도 이름을 알리게 해준 작품.[12]

또한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무료 게임이기 때문에 하술할 비판점 역시 해당 게임을 단순한 오락성 게임으로 본다면 크게 체감되지 않는 단점일 수 있다. 방치형 게임의 클리셰를 비튼, 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를 차용한 공포게임인 것.

8.2. 비판

파스텔톤의 그림체와 상반되는 잔혹한 연출, 그리고 하비의 성우의 열연으로 인지도를 꽤 쌓았으나, 게임성이나 스토리 및 전하는 메시지에서는 미숙함이 보인다.

하비는 먼저 상점에서 도구를 구입해 보라며 권유하는데, 가위 등 위험한 도구를 사서 사용하면 크게 당황하면서 플레이어를 매도한다. 그렇기에 플레이하는 입장에서는 게임이 직접 플레이어가 특정 선택을 하도록 유도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모두 플레이어의 책임으로 돌리려는 작위적인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정작 위험한 흉기의 단계로 가는 순간 도구를 다시 안전한 것으로 바꿀 수도,[13] 클릭을 중단하여 돈을 버는 것을 멈출 수도 없기 때문에 달리 하비를 괴롭히는 것을 관둘 방법이 없어진다는 것이 가장 큰 모순점이다. 이는 멀티 엔딩 분기의 개연성을 위한 설정일 수도 있지만, 플레이어에게 특정 선택지를 강요하여 게임의 메시지에 끼워맞추려는 듯한 모습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이는 양산형 플레이어 비판 류 게임들의 고질적인 문제로, 여태껏 양산형 메타픽션 장르들에서 크게 혹평받은 메시지 강요 요소를 블러드 머니 역시 피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폭력을 당할 때마다 고통스러워하며 욕설을 퍼부으면서도 플레이어의 팔을 한 번 붙잡고 짧은 시간 내에 반격을 가하는 것 말고는 저항하지 않는 하비의 모습도 어딘가 어색하다.

양산형 플레이어 비판 게임의 단점을 어느 정도 고치기는 했지만[14] 결국은 플레이어 비판 게임의 요소만을 채용한 단순 료나학대물 게임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 실제 제작자의 의도는 미지수이지만 유저들 사이에서는 제작자도 처음부터 학대물을 노리고 거기에 짧은 메시지와 내러티브를 추가했을 뿐일 수도 있다는 의견과, 정말로 플레이어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메타픽션물을 만드려다 학대물로 방향성이 돌려진 것 같다는 의견이 교차하고 있다.

9. 여담

후속작으로 HUMAN EXPENDITURE PROGRAM이 등장했다. 하지만 하비는 여전히 고통받는다
후속작에선 미니게임을 할 수 있는데, 차례대로 Whack-a-Harvey, 기억력 테스트, 야구, 벤치 프레스 등이 있다.

Roblox에 이 게임을 패러디한 Blood Cash라는 게임이 나왔다. 해당 게임에서는 하비 하빙턴 대신 본커 빌리가 나오며 처음에 상점에서 살 수 있는 물건이 권투글러브다(…). 원래는 그래도 깃털이었잖아 여담이지만 2025년 9월 12일 기준 밀대부터 너클까지는 12500달러를 벌어도 엔딩이 나오지 않는다.

하비의 성우인 덱스터 매닝이 BLOODMONEY를 플레이했다. 게임 중에 2번이나 버그를 발견하기도. 버그 수집가
하비가 '제발 내게 자비를 가져달라'고 할 때, 알빠노를 시전했다.


10. Softmoney!

Softmoney!라는 배드엔딩이 없는 버전의 bloodmoney가 있다. 해당 게임에선 모든 아이템이 바뀌었다. 목표금액은 그대로 25000달러.
차례대로 터치, 악수, 쓰다듬기, 어깨안마, 허그, 마지막 아이템은 이 있다.
Bloodmoney나 Lovemoney와는 다르게 귀여운 치비 그림체가 특징이다. 표정은 약간 가오리가 생각나기도...

bloodmoney와는 다르게 배드엔딩이 없고 진엔딩과 굿 엔딩, 그리고 노멀 엔딩만이 있다.

10.1. Softmoney의 진엔딩

진엔딩에선 플레이어가 20000달러를 모아 하비에게 빗을 선물한다.
이— 이거 제 선물이에요? 새 빗?
그치만, 그 돈은 당신의 수술비였잖아요...
고마워요. 너무 고마워서 몸 둘 바를 모르겠네요...
지금 시간이면 집에 가야하겠지만... 받아먹기만 할 순 없죠!
우선 내일 다시 만날 수 있을... 잠깐— 어, 어디가요?!
하비의 대사
진엔딩에선 위와 같은 대사가 출력되고 이후 다이얼로그에선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된다.
당신은 서둘러 차 안에 올라탑니다. 어째서 당신이 공들여 번 돈을 하비에게 기부한 거죠?
당신은 새벽 내내 잠에 들지 못했습니다. 당신조차 당신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일까요.
아침에 일어나 의사에게서 온 전화를 받아보니, 어떤 사람이 당신의 모든 수술비를 익명으로 결제해줬다는 말이 돌아왔습니다.
진엔딩의 다이얼로그
이는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를 몸소 느끼게 해주는 엔딩이다. 덤으로 하비의 재력도 보여준다.

10.2. Softmoney의 굿엔딩

굿엔딩에선 별다른 탈 없이 수술비를 벌어 집으로 돌아간다.
당신은 만족스럽게 차에 올라탑니다. 이제 수술비로 쓸 돈이 모두 모였군요.
당신이 차에서 미소로 작별인사를 하자, 하비는 어색하게 당신에게 손을 흔듭니다.
하비가 당신에게 뭔가 중요한 말을 하고 싶어하는 것 같았지만, 결국 하진 않았습니다.
굿엔딩의 다이얼로그

10.3. Softmoney의 노멀 엔딩

일반 엔딩에선 bloodmoney의 굿엔딩처럼 한 가지 도구로만 목표금을 모으면 된다.
당신은 만족스럽게 차에 올라탑니다. 이제 수술비로 쓸 돈이 모두 모였군요.
하비는 당신에게 손을 흔들어줬고 당신도 그에 응하듯 미소지었습니다.
오늘 단 한 번의 우연한 만남이 당신에게 이렇게 많은 감정을 불러일으킬 줄 누가 알았겠어요?
노말 엔딩의 다이얼로그
==# Lovemoney! #==

선정성 주의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대상은 선정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열람에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Lovemoney!라는 19금 팬게임이 있다. 해당 게임의 아이템은 초반의 깃털 빼고 싸그리 바뀌었다. 목표금액은 위와 같이 그대로 25000달러. [15]
폭력적인 도구는 사라지고, 차례대로 깃털, 블러셔, 두피 안마기, 손, 립스틱, 마지막 아이템으로는 총 대신 러브젤이 들어가있다. (...)[16]

bloodmoney의 스토리상으로는 마지막 아이템을 사용하고 게임이 끝나야 하지만, Lovemoney!는 다른 아이템들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안마기, 오나홀, 애널 바이브 다음은 콘돔음경[17]둘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Lovemoney!는 원본과 다르게 엔딩이 2개밖에 없다.[18] 하비를 오르가슴에 이르게 만든 다음 돈을 받고 떠나는 엔딩[19], 덮치는 장면에 진입하기 전에 목표금액을 모두 모으는 엔딩. 이렇게 두가지가 있다.


[1] 현재 개발 중에 있다.[2] 깃털이나 바늘, 또는 그냥 클릭으로 엔딩을 본다면 굿 엔딩을 볼 수 있다.[3] 아래 예시 출처는 혜안. 사진에서 얼굴이 회색인 것 등은 편집이다. 파일:이름 뭐하지.jpg[4] 공격 패턴이 끝난 후로는 하비의 왼쪽 손이 잘려 있는 채로 계속 클릭하게 된다.[5] 가위만 사용하면 가위를 사용한 단계에서 보이는 상처만 남아 없어진 오른쪽 눈에 안대를 쓰고 왼쪽 눈에 그은 자국이 있는 채로 법정에 서지만, 성냥까지 사용했다면 화상 자국도, 칼까지 사용했다면 입 왼쪽 부분에 꿰맨 자국도 생긴다.[6] 특수폭행 또는 특수상해로 고소한 걸로 보인다.[7] 칼에서 멈추지 않고 2만 달러를 모아 총을 산다면 이 엔딩을 보게 된다.[깜놀주의] 파일:오메 깜짝아.png 거꾸로 있는 하비의 옆에는 "네가 무슨 짓을 했는지 봐."(LOOK WHAT YOU'VE DONE.) 라는 문구가 도배되어 있다.[9] 그냥 클릭, 깃털로만 25000 달러를 모았을 시 피가 나지 않은 채로 미소를 지으며, 바늘을 사용했을 시 약간의 피가 나는 채로 미소를 짓는다. 그러나 망치까지 사용했을 시 미소를 짓지 않는다.[10] 깃털이나 클릭으로만 돈을 모았다면 "손에 피 한방울조차 묻히지 않고" 로 바뀐다.[11] 망치를 사용할 경우 3125번, 바늘을 사용할 경우 6250번, 깃털을 사용할 경우 12500번,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고 클릭만으로 엔딩을 볼 경우 금액의 수와 똑같은 25000번의 클릭을 해야 한다.[12] 이전에도 해당 성우는 언더테일의 2차 창작 시리즈 애니메이션(일명 "만약 언더테일이 사실적이었다면")의 제작을 맡아 인지도를 쌓는 등 알려진 활동이 있었으나, 해당 게임에 출연하면서 더욱 좋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13] 깃털이나 바늘로 다시 돌아가 달라는 대사가 있긴 하지만, 인게임상으로는 이 말을 듣고 상점에서 다시 깃털이나 바늘을 클릭해도 도구를 바꿀 수 없다. 깃털이나 바늘을 끝까지 사용하여 굿 엔딩을 보려면 아예 이후 단계의 흉기를 사지 않고 초반부터 그 도구를 밀고 나가는 방법밖에 없다.[14] 이런 플레이어 비판 류 게임들은 캐릭터에게 고통을 가하는 선택지 말고는 주지 않으면서, 무작정 플레이어를 매도하기 십상이다. 적어도 bloodmoney는 평화로운 엔딩을 선택할 수는 있긴 하다. 그 길을 선택하는 방법을 찾고 엔딩을 보는 과정이 지나치게 허무한 것이 문제지만.[15] 하지만 하비를 덮치는 이벤트 후엔 목표금인 25000달러를 모아도 엔딩이 나오지 않는다. 버그인지 의도된 연출인지는 불명.[16] 사용하면 하비를 덮친다. 하지만 덮치는 장면이 강제적으로 묘사되었기에 여기서도 주인공은 범죄를 저지르는 놈인거냐며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다.[17] 구매창만 보면 딜도로 착각할수 있지만, 플레이 해본다면 주인공이 하비에게 박을수 있다.[18] 영어버전이 있기야 하지만, 대부분이 러시아어로 되어있어 알아보기도 힘들 뿐더러, itch.io의 리뷰에 올라온 이미지가 단 하나도 없다. 결론은 파일을 뜯어보거나 직접 플레이를 해 봐야 알 수 있는 (...) 부분.[19] 이 엔딩은 하비가 집에 돌아가 은미에게 죄책감을 느끼는 내용이 있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