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2:33:11

북한의 대남 GPS 교란 도발



1. 개요2. 상세3. 사례4. 관련 문서

1. 개요

북한의 대남 GPS 교란 도발 사례를 정리한 문서.

2. 상세

파일:77356599.1.jpg

북한은 1990년대 말부터 러시아에서 GPS 전파 교란 장비를 수입한 뒤 개량하는 방식으로 관련 장비를 개발 및 강화해 왔고 20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남 GPS 교란 도발을 감행하기 시작했다.

주로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과 수도권, 강원도 접경지역을 주 대상으로 삼아 한미연합훈련 등을 핑계로 GPS 교란 전파를 발사해 왔다.

특히 서해 지역은 인천항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해 있어 수많은 선박과 항공기가 지나가는 만큼 북한의 GPS 교란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2010년 북한의 첫 대남 GPS 교란 당시 이동통신 기지국 181국, 항공기 14대, 선박 1척이 영향을 받았지만, 2016년에는 이동통신 기지국 1,794국, 항공기 1,007대, 선박 751척이 영향을 받은 걸로 파악되어 4회 만에 전파 교란 능력을 18배 가까이 끌어올리면서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3. 사례

  • 2011년 3월 한미 연합군사연습 키 리졸브(KR) 훈련 때 북한이 GPS 교란 전파를 쏘면서 서울 서부에서 핸드폰 시간이 잘못 표시되고 통화에 문제가 있는 등의 혼란이 있었다.
  • 2012년 4~5월 한미 연합 공중전투훈련 당시 GPS 교란을 시도했다.
  • 2016년 3월 31일에서 4월 5일까지 20대 총선을 겨냥해 수도권 전역에 고출력 GPS 교란을 감행했다.
  • 2024년 3월 5일에서 8일까지 한미 자유의 방패(FS) 연합훈련을 겨냥해 GPS 교란 전파를 발사했다.
  • 2024년 5월 29일 오전 7시 50분경부터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에서 남쪽을 향해 GPS 교란 전파를 쏘기 시작했다. 이는 전날 오물 풍선을 날리고 당일 오전 6시경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나서 1시간 반만에 이뤄진 것이다. 이후에도 GPS 교란 공격은 계속되어 6월 2일까지 지속되었으며 6월 3일 기준 1,482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되었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