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23:48:40

부일중학교(경기)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부천시 CI_White.svg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범박중학교 부일중학교 부천남중학교
부천동여자중학교 부천동중학교 부천여자중학교
부천일신중학교 성주중학교 소사중학교
옥길새길중학교 옥길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부일중학교
개교 1990년 3월 1일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녀 공학
운영형태 공립
교장 이은희
교감 최현숙
관할교육청 경기도교육청
학생 수 302명
(2023.03.01)
교직원 수 30명
(2023.03.01)
소재지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로 86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시설
3.1. 본관
4. 교가5. 교목6. 교화7. 명찰색8. 학교 행사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9.2. 지하철
10. 여담

1. 개요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로 86에 위치한 일반계 중학교이며 1990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 학교 연혁

1989년 12월 22일 <colbgcolor=white,#191919> 설립인가
1990년 3월 1일 제1대 석경애 교장선생님 취임
2021년 3월 1일 제13대 이경란 교장선생님 취임
2021년 3월 2일 입학식(5학급 123명, 총 13학급 편성)
2022년 1월 13일 제30회 졸업식

3. 학교 시설

  • 5층짜리 본관과 2층짜리 웅비관으로 이루어져있다.
    웅비관은 체육관으로 봐도 무방하다. [1] [2]
  • 2024년에 도서관이 2층에서 1층 더 넓은 공간으로 옮겨지면서 리모델링 되었다. [3]
  • 엘레베이터가 없어서 많은 학생들이 불편함을 겪었다. 그러나 드디어 2023년 엘레베이터 공사가 완공되었다! [4]

3.1. 본관

4. 교가

성주산 힘찬 줄기 뻗어있는 곳
성실과 슬기로움 갈고닦으려
대한에 아들딸 여기 모이니
그 이름 빛나도다 부일중학교
키우자 호연지기 우리가슴에
펼치자 민족정기 세계만방에

5. 교목

느티나무_화목,질서,의지를 의미한다.

6. 교화

국화_성실과 진실을 의미 한다.

7. 명찰색

부일중학교는 학년을 나누기 위해서 명찰색을 학년별로 다르게 붙인다.

(2025년 기준)

1학년-노란색
2학년-하얀색
3학년-파란색 [5]

8. 학교 행사

  • 매년 5월쯤 일~이주일에 걸쳐 전학년 스포츠 대회가 있다.
  • 특이하게도 체육대회가 10월에 있다.
  • 12월 말에 부일제가 있다.
  • 개교기념일은 3월 1일이다. [6]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
소새울역.복사초등학교.한울빛도서관 부천 버스 3
부천 버스 55
부천 버스 66
부천 버스 71
공항버스 7001

9.2. 지하철

역 이름 노선
소새울역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10. 여담

  • 학교가 굉장히 작은 편이다. 그래서 자신이 속한 학년의 학생 전체는 물론 다른 학년의 선후배들끼리도 서로 많이 안다.
  • 급식실이 없어서 교실에 급식차를 끌고 와서 배식한다. [7] [8]
  • 태블릿 보관함의 비밀먼호는 1 0 3 0 이다. [9]

[1] 1층은 신발을 벗고 입장하며 천장이 낮은 편이라 보통 유연성이나 윗몸일으키기 등을 측정할 때나 넓은 2층을 사용할 수 없을 때 1층에서 수업할 때 쓰인다.[2] 2층은 천장도 높고 넓으며 무대도 있기 때문에 입학식, 졸업식, 축제 무대 등으로 다양하게 쓰이며 배드민턴, 농구, 피구 등을 즐길 수 있다.[3] 꽤나 공들여서 리모델링을 했다 보니까 도서관 안이 웬만한 카페 저리가라 할 수준인데, 학교 자체는 시설이 낡아서 도서관만 들어가면 다른 건물 같다.[4] 하지만 어차피 교직원이나 아픈 학생들만 이용할 수 있기에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5] 이름이 검은색으로 새겨진 다른 학년의 명찰과는 다르게 흰색으로 이름이 새겨져 있다.[6] 개교 초기에는 개교기념일이 6월 5일이어서 현충일과 연휴를 이룬 적이 있었다.[7] 급식차는 덤웨이터로 올라온다.[8] 가끔 행사할 때면 급식이 늦어져서 각 반 배식 당번이 덤웨이터 앞에서 몰려 있는 장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9] 각 반 담당자만 알 수 있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실은 다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