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0:23:34

방탄 방패



{{{+1 방패 {{{#fff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888> 동양 <colcolor=#000,#fff>원방패 · 장방패 · 등패 · 타케타바
서양 틀:서양의 방패
전설의 방패 아이기스 · 아킬레우스의 방패
현대 진압 방패 · 포방패 · 황금방패
기타 방패/창작물 방탄 방패 }}}}}}}}}


1. 개요2. 특징
2.1. 소형 방패
2.1.1. NIJ 3~4
2.2. 중형 방패
2.2.1. NIJ 2~3A2.2.2. NIJ 3~4
2.3. 대형 방패
2.3.1. NIJ 3~4
3. 방패 모양
3.1. 직각3.2. 사다리 꼴 형태
3.2.1. 단일3.2.2. 복합
3.3. 홈이 파인 형태
3.3.1. 단일3.3.2. 복합
4. 추가 부착물
4.1. 유리창
4.1.1. 카메라
4.2. 전술 조명
5. 역사6. 방패와 무장


1. 개요

폭발이나 파편 혹은 사격을 직접적으로 막기 위한 방어용 무기.

2. 특징

파일:attachment/FSBRS1.png
파일:attachment/FSBRS2_1.png
훈련중인 러시아 FSB 상트페테르부르크 지국 '그라드(Grad)' 대원들의 모습.
대원이 쓰는 방패는 Vant Ballstic shield이라 불리며 머리부터 허벅지까지 막는다.
무게는 15kg 정도로 무게 때문에 몸과 방패를 잇는 고리를 달아서 사용한다.
무게 따윈 극복하고 체력 고갈이 심해지는 야외 교전에서도 방탄 방패 쓰는 러시아다운 훈련 모습이다.

ballistic shield이라 불리며, 권총탄을 막는 방패일지라도 꽤나 무거운 편이기에 대부분의 방패는 무게를 줄이기 위한 제품이 많으며 무게 때문에 크기까지 줄이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원은 경찰이나 대테러 부대가 사용하며 선두로 진입하는 대원이 쓴다.

2.1. 소형 방패

가슴머리와 같이 중요 부위를 겨우 가리는 크기의 방탄 방패.

2.1.1. NIJ 3~4

파일:eb8c87c342c5393df7378c245dcacafa.jpg
2023년 10월 25일 타이완 합동 대테러 훈련 중
콘서트홀로 진입하는 벽력소조, 유안특근대 대원들
2선에 선 대원이 소형 방패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총탄에 대한 피해를 막는다. 무게는 대략 5kg이다.

일반적으로는 소형 방패를 잘 사용하지 않으며 쓴다 하더라도 대부분 2선에 선 대원이 쓴다. 다만 크기 자체가 작아서 걸리적 거림과 무게에 대한 제한이 적다보니 소총탄을 막는 수준의 방패임에도 돌격 소총과도 사용 가능할 정도로 무게 적은 방패들이 많다.

2.2. 중형 방패

상반신를 겨우 가리는 크기의 방탄 방패.

2.2.1. NIJ 2~3A



권총탄 및 벅샷에 대한 피해를 막는다. 무게는 대략 6~9kg 대이다.

콜럼바인 고교 총기난사 사건 이후 미국의 일반 경찰들이 경찰 트렁크에 소총방탄 장비를 도입하게 되면서 경찰들이 권총탄 방탄 방패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1]

영상처럼 권총으로 총기 난사 발생 시 경찰 여러 명이서 한 명이 선두를 맡아 그 뒤로 소총을 들고 진압하는 경우가 많다.

2.2.2. NIJ 3~4

소총탄에 대한 피해를 막는다. 무게는 대략 9 ~ 15kg이다.
파일:헌병 특임대 방탄 방패.jpg
훈련중인 헌병 특임단. 방패의 무게는 14.5kg이며 한국군은 5.56×45mm NATO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NIJ 3+ 레벨일 확률이 높고 그래서인지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으로 보인다.

SWAT과 같은 대테러 부대가 적극 활용하는 레벨의 중형 방패이며, 가장 많이 쓰인다. 하지만 무게가 일반적으로 최소 9kg에 많으면 10kg 이상으로도 나가기 때문에 사용하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2.3. 대형 방패

전신 거의를 가리는 방탄 방패. 무게는 일반적으로 15kg ~ 30kg이다.[2]

2.3.1. NIJ 3~4

파일:BRI 27발 방탄 대형 방패.jpg
2015년 11월 파리 테러 당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바타클랑 콘서트장에서
27발의 총탄을 막아낸 BRI의 대형 방탄 방패.

대부분의 대형 방패는 용의자의 저항이 매우 거칠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NIJ 레벨이 4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손으로 들기엔 너무 걸리적 거리고 무게 때문에 러시아처럼 방패 상단과 하부가 나뉘어 있고 몸과 방패를 잇는 고리를 사용하거나 아래 바퀴가 달려있는 방패 마운트를 사용해서 직접 밀어서 진압하는 경우가 많다.

3. 방패 모양

3.1. 직각

파일:직각 방패.png
가장 많은 모양이자 폭발이나 파편으로부터 몸을 제대로 숨길수 있어 방호력이 높다.

3.2. 사다리 꼴 형태

3.2.1. 단일

파일:사다리꼴 방패.png
맞을 확률이 낮은 하단 가장 자리 방호력를 조금 희생해 전체적인 방호력을 챙기기 위해 하단을 사다꼴로 만들어 기존 직각 방패보다 무게 대비 방호력이 더 높다.

3.2.2. 복합

파일:복합 사다리꼴 방패.png
무게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상단, 하단 모두 사다리꼴로 만들고 다른 방패와 길이가 다르지 않다.

3.3. 홈이 파인 형태

3.3.1. 단일

파일:홈 파인 방패.png
기존 직각 방패의 방호력을 유지하며 홈을 작게 파서 팔 혹은 총구를 걸쳐 손쉽게 사격하도록 해주는 형태다.

3.3.2. 복합

파일:복합 홈 파인 방패.png
사실 복합적인 모양은 종류가 많지만 대부분 홈이 여러개 파져있어 사용자가 가장 편하게 쓰도록 만든 방패다.

4. 추가 부착물

4.1. 유리창

유리창은 당연한 옵션 아닌가 생각할 수 있으나, 세라믹 대비 무게가 3배 정도의 무게다. 그것도 결국 무게를 줄이려면 가격도 많이 들기 때문에 유리창을 아예 포기하는 방패가 더 많은 편. 그래서 방호 레벨이 높은 방패는 유리창이 좁은 것이 많다.

4.1.1. 카메라

카메라를 유리창 대신 다는 것. 당연하게도 한번 파손 시 사용이 불가능하고 방탄 장비 자체가 비싸기 때문에 유리창이 더 선호된다.

파일:GIGN 카메라 방탄 방패1.jpg 파일:GIGN 카메라 방탄 방패2.jpg

하지만 가격 및 무게 문제로 유리창이 없는 방패가 많은 GIGN은 안전하게 앞을 보기 위해 전용 카메라를 직접 달아서 쓴다. 이러면 비록 내구성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일단 유리창이 없는 것보단 훨씬 낫고 어느 특수 부대가 그렇듯 용의자가 반항하기 전에 빠르게 제압하기 때문에 카메라 자체에 맞는 건 적은 편이다

4.2. 전술 조명

총탄 사례를 맞는 방패 특성상 용의자가 많은 경우 전술 조명은 부서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최소 2개에서 6개 정도의 조명을 다는 편이다.[3]

5. 역사


파일:콜럼바인 사건(3).jpg

방탄 방패의 첫시작은 당연하게도 권총탄 방패였다. 도입 시기는 90년대 초반으로 케블라를 사용해 만든 권총탄 방패가 다수였으며 중형 방패 임에도 매우 가벼워 방탄유리도 시야각도 매우 넓게 만들고 전술 조명까지 달았는데도 10kg 남짓이였다.[4]

파일:Lakewood Police Shooting  Parkland House Siege SWAT 방탄 방패.webp

하지만 노스 할리우드 은행강도 사건9.11 테러 이후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했다. 두 사건 이후 SWAT은 하드 아머와 중량 방탄복으로 무장하기 시작했으며[5] 권총탄 방패와 소총탄 방패를 동시에 운용하며 포인트맨의 무장이 강화됐다.

6. 방패와 무장

언제나 포인트맨의 고민이였다. 선두에 서니 방패를 들어야겠고, 그러니 무거운 무기를 사용하긴엔 크게 부담됐다. 일단 컴팩트해야했다. 방패도 큰데 무장까지 크면 너무나 부담되어 대부분 권총을 사용했고 나쁘지 않았으나, 문제는 한 손으로 쏴야하고 권총 특유의 반동까지 잡아야하니 체력이 상당히 높아야했다.
[1] 대체적으로 권총탄 방패는 100만 원대로 꽤나 비싼 편이나 대부분의 총기 난사는 샷건이나 권총으로 일어난다. 그래서 사용시 효과를 톡톡히 보는 편.[2] 과거에는 50kg라는 어마무시한 무게 가진 대형 방탄 방패도 많았다. 하지만 웬만해선 바퀴를 달고 사용해야 하는데 바퀴 특성상 계단에서의 운용이 어렵고 그 무게 때문에 방향을 꺽는 게 느린 것 등등 이 때문에 요즘에는 무게 감량을 20~30kg 정도로 경량화하는 경우가 많다.[3] 대부분 2개는 잘 맞지 않는 가장 자리, 4~6개는 조명이 원활하게 빛추도록 위해 중앙에 가로로 세워넣는다.[4] 그 당시 소총탄 방패는 분명 있었지만 심각할 정도로 무거워서 사용되지 않았다.[5] 두껍게 케블라를 둘러 권총탄을 목,사타구니,어깨까지 막아주며 하드 아머도 사용 가능한 경우가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