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18:06:35

박배종(영화감독)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배종]]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배종#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배종#|]]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박배종]]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배종#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배종#|]]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대한민국 영화대상 로고 (2).png
파일:대한민국 영화대상 트로피.png
감독상
제3회
(2004년)
제4회
(2005년)
제5회
(2006년)
박찬욱
(올드보이)
박배종
(웰컴 투 동막골)
봉준호
(괴물)
박배종
Park Bae-jong
<nopad> 파일:감독박광현.jpg
<colbgcolor=#333><colcolor=#fff> 본명 박광현[1]
출생 1969년 ([age(1969-12-31)] ~ [age(1969-01-01)]세)
충청북도 청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학사)
데뷔 2002년 묻지마 패밀리 - 내 나이키

1. 개요2. 활동3. 연출 특징4. 필모그래피
4.1. 영화4.2. 드라마4.3. 뮤직비디오

1. 개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영화 감독 이전에는 마이클 베이, 잭 스나이더, 데이비드 핀처 처럼 광고뮤직비디오를 연출했으며, 영상미를 많이 추구한다.

2. 활동

2005년 800만을 동원한[2] 웰컴 투 동막골의 감독으로 이름을 알렸다.

장진 감독이 기획한 묻지마 패밀리를 통하여 데뷔하였지만 옴니버스 영화[3]의 한 에피소드를 맡았을 뿐이고, 장편으로 데뷔한 작품은 웰컴 투 동막골이다. 데뷔작이 대박을 치면서 일약 스타 감독이 되어 충무로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이렇게 촉망받던 30대의 감독은 무려 12년만에 조작된 도시로 복귀한다. 하지만 시대를 앞선(...) 과감한 스토리로 손익분기점인 250만의 성적을 거두는데 그쳤다.

웰컴 투 동막골의 성공은 모두의 예상을 깬 결과였다. 모든 투자사가 거절한 시나리오를 들고 마지막으로 찾은 곳이 쇼박스였다. 박배종 감독은 준비한 컨셉 디자인을 들고 투자사 직원들 앞에서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해 어렵게 투자를 받는데 성공한다. 등장하는 배우들은 정재영, 신하균, 임하룡, 류덕환 등이었다. 그 당시 유명 배우들에게 모두 거절당하고 단편 영화에 출연했던 배우들과의 인연으로 겨우 캐스팅이 이루어진 긴 것이다.
웰컴 투 동막골은 흥행 및 작품성을 모두 잡은 보기 드문 웰메이드 한국영화로 추앙받고 팝콘씬이나 OST는 아직까지도 회자될 정도로 유명한 작품이 되었다. 특히나 음악감독으로 일본의 거장 히사이시조에게 편지를 보내는 정성을 들리며 힘겹게 승낙을 받은 사례도 고무적이다. 영화의 톤과 음악이 높은 싱크로율을 보이며 OST는 윁컴 투 동막골의 감동을 이끌어낸 일등 공신이었다.
이렇게 주목받던 신인 감독의 차기작은 오랜 기간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박배종 감독의 오랜 기획 작품 한국형 SF 판타지 액션물 "권법"이 그 원인이다. 한국에서 제작하기에 그 규모와 표현의 수위가 헐리우드 수준으로 제작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권법은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고군분투 했던 영화다. 조인성이 제대할 시점 복귀작으로 유력했고 이후엔 김수현, 여진구, 송중기등이 물망에 올랐으나 결국 제작되지 못했다. 국내 여건상 제작비 마련이 어려워 결국 한중합작을 시도했으나 제작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시나리오의 내용이 우수하다 전해지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사실 또한 묻혀갔다. 긴 시간동안 한 영화에 매달렸으나 경제적 어려움을 이기지 못하고 12년 만에 차기작 조작된 도시로 대중 앞에 돌아왔다.

조작된 도시 이후, 변요한, 공승연 주연의 별리섬이라는 광고형 단편 영화로 복귀했는데 1억뷰의 흥행을 기록했다. 별리라는 단어가 참 많은 의미를 지니는데 바로 본인이 8년 동안 매달린 권법이라는 영화의 주된 배경의 이름이 바로 별리였다.

2019년에는 아이유 주연의 에픽하이 뮤직비디오 '술이 달다'를 감독했다.

2022년 TVING에서 방영된 아일랜드의 연출을 하였다.

3. 연출 특징

뮤직비디오와 광고 감독 경력이 있는 영화 감독 중에 인지도나 흥행 면에서 성공한 감독이자, 그런 만큼 비주얼리스트에 속하는 감독이다.

현대극과 시대극을 잘 넘나들 수 있을 만큼 탁월한 영상 감각이 장점인 감독이다. 박배종 감독은 판타지나 장르물에 적합한 비주얼을 선보이는 감독이다. 특히 몽환적이고 감성적인 웰컴 투 동막골의 팝콘 장면이나, 현대적이고 게임을 보는 것같은 비주얼의 조작된 도시의 액션 및 영상미를 보면 분위기와 장르에 따라 영상미를 만드는 점과 소품 및 감각을 잘 활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형식의 장르적 재미와 비주얼을 통해 인간미와 서정성 있는 힐링 무비적 경향이 돋보인다. 특히 웰컴 투 동막골은 판타지 애니메이션 전문 작곡가인 히사이시 조의 몽환적인 음악으로 더욱히 그런 분위기를 표현했다.

4. 필모그래피

4.1. 영화

<rowcolor=#fff> 연도 제목 비고
2002년 묻지마 패밀리 - 내 나이키
2005년 웰컴 투 동막골
2013년 안녕 내사랑 단편 영화
2017년 조작된 도시
거미맨[4] 단편 영화
2018년 별리섬

4.2. 드라마

<rowcolor=#fff> 연도 제목 비고
2022년 아일랜드 첫 드라마 연출작

4.3. 뮤직비디오

<rowcolor=#fff> 연도 제목 아티스트 링크
2019년 술이 달다 에픽하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원래 본명으로 활동했으나 이후 박배종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게 되었다.[2] 공식 통계는 800만이었으나 티켓 통계는 650만 정도였다.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를 기점으로 정리되기 시작한 영화 관련통계가 그 때만해도 완벽하진 않았다. 2011년부터는 티켓 통계와 공식 통계가 일치한다. 왕의 남자와 같은 2004년 1200만의 대박 작품도 티켓 통계로는 1000만 영화다.물론 그래도 천만[3] 한 영화가 여러 개의 중단편으로 이뤄진 영화. 하지만 각 단편들이 동떨어진 것이아니라 인물 관계에 있어 접접이 있다. 묻지마 패밀리의 경우 한 모텔에 묵은 세 손님을 대상으로 하나씩 이야기가 펼쳐진다.[4] JTBC 예능 전체관람가를 통해 제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