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5D3462 0%, #611594 20%, #611594 80%, #5D3462);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사산 왕가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아르다시르 1세 | 샤푸르 1세 | 호르미즈드 1세 | 바흐람 1세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바흐람 2세 | 바흐람 3세 | 나르세스 1세 | 호르미즈드 2세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아두르 나르세 | 샤푸르 2세 | 아르다시르 2세 | 샤푸르 3세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바흐람 4세 | 야즈데게르드 1세 | 샤푸르 4세 | 호스로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바흐람 5세 | 야즈데게르드 2세 | 호르미즈드 3세 | 페로즈 1세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발라시 | 카바드 1세 | 자마습 | 카바드 1세 | |
사산 왕가 | 메흐란 왕가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호스로 1세 | 호르미즈드 4세 | 호스로 2세 | 바흐람 추빈 | |
사산 왕가 | 이스파부단 왕가 | 사산 왕가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호스로 2세 | 비스탐 | 카바드 2세 | 아르다시르 3세 | |
메흐란 왕가 | 사산 왕가 | 메흐란 왕가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샤흐르바라즈 | 호스로 3세 | 푸란도흐트 | 샤푸르 샤흐르바라즈 | |
사산 왕가 | 이스파부단 왕가 | 사산 왕가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페로즈 2세 | 아자르미도흐트 | 파루크 호르미즈드 | 호르미즈드 6세 | |
사산 왕가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호스로 4세 | 파루카자드 호스로 5세 | 푸란도흐트 | 야즈데게르드 3세 | |
비정통 | 비정통 | 비정통 | 비정통 | |
페로즈 3세 | 나르세 | 바흐람 7세 | 호스로 6세 | |
페르시스: 아케메네스 · 페르시스 이란: 아케메네스 · 셀레우코스 · 파르티아 | }}}}}}}}}}}} |
사산 제국 6대 샤한샤 𐭥𐭫𐭧𐭫𐭠𐭭 | 바흐람 3세 | ||
제호 | 한국어 | 바흐람 3세 |
중기 페르시아어 | 𐭥𐭫𐭧𐭫𐭠𐭭 | |
영어 | Bahram III | |
존호 | 샤한샤 | |
생몰 년도 | ?~? | |
재위 기간 | 293년(4개월) |
[clearfix]
1. 개요
사산 왕조의 제6대 샤한샤.2. 생애
바흐람 2세의 아들로, 부친이 280년대 초 사카스탄의 호르미즈드가 일으킨 반란을 진압한 뒤 그 지역의 왕이 되었다. 293년 바흐람 2세가 사망한 뒤, 타르투스의 아들 바넘과 메샨의 왕 아두르파로바이의 지원으로 샤한샤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아직 나이가 어렸고, 조로아스터교의 대사제 카르티르(Kerdīr)는 일찍이 바흐람 2세에 의해 대귀족의 반열에 올랐지만 지난날 로마군에 의해 수도 크테시폰이 함락되는 등 로마 제국의 위협이 갈수록 심해지는 상황에서 미숙한 통치자가 샤한샤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여겼다. 그는 여러 귀족의 동의를 얻어 아르메니아의 왕 나르세스 1세에게 크테시폰으로 와서 샤한샤가 되어달라고 요청했다.샤푸르 1세의 아들이자 유력한 황위 계승권자였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황위를 물려받지 못하고 20여 년간 칼을 갈아왔던 그는 마침내 찾아온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그는 즉시 군대를 일으켰고, 4개월 만에 크테시폰 외곽까지 이르렀다. 카르티르와 귀족들은 가르메칸 지방의 바쿨리에서 나르세스를 접견한 뒤 샤한샤로 추대했다. 나르세스는 바흐람 3세와 바넘에게 즉시 항복한다면 신변을 보장해주겠다고 제안했다. 대세가 이미 기울었다고 판단한 두 사람은 동의했고, 나르세스는 수도에 입성했다. 그 후 바넘은 긴급 체포된 뒤 처형되었지만, 바흐람 3세가 어찌 되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나르세스는 비사푸르에 세워진 바흐람 1세의 부조에 새겨진 이름을 자신의 이름으로 바꾸고, 왕의 말 아래 쓰러진 적의 엎드린 형상을 추가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