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3 20:00:36

미아리 조




#!if cell = "style=\"width:min(calc(100%/6 - 1px), 72px)\"", notnow = "style=\"width:min(calc(100%/6 - 1px), 72px); background:#99999980\"", p = "셀렉트창 비주얼.png"
파일:tekken8_logo_w.png
철권 8 참전 캐릭터
가나다순 정렬
회색 배경
: 출시 예정
[ 펼치기 · 접기 ]
#!wiki 
[[니나 윌리엄스|[[파일:니나 |width=100%]] {{{#000,#fff 니나}}}]]
#!wiki 
[[데빌 진|[[파일:데빌 진 |width=100%]] {{{#000,#fff 데빌 진}}}]]
#!wiki 
[[세르게이 드라그노프|[[파일:드라그노프 |width=100%]] {{{#000,#fff 드라그노프}}}]]
#!wiki 
[[라스 알렉산데르손|[[파일:라스 |width=100%]] {{{#000,#fff 라스}}}]]
#!wiki 
[[레오 클리젠|[[파일:레오 |width=100%]] {{{#000,#fff 레오}}}]]
#!wiki 
[[레이나(철권)|[[파일:레이나 |width=100%]] {{{#000,#fff 레이나}}}]]
#!wiki 
[[레이븐(철권)|[[파일:레이븐 |width=100%]] {{{#000,#fff 레이븐}}}]]
#!wiki 
[[마샬 로우|[[파일:로우 |width=100%]] {{{#000,#fff 로우}}}]]
#!wiki 
[[리 차오랑|[[파일:리 |width=100%]] {{{#000,#fff 리}}}]]
#!wiki 
[[리디아 소비에스카|[[파일:리디아 |width=100%]] {{{#000,#fff 리디아}}}]]
#!wiki 
[[리로이 스미스|[[파일:리로이 |width=100%]] {{{#000,#fff 리로이}}}]]
#!wiki 
[[리리 로슈포르|[[파일:리리 |width=100%]] {{{#000,#fff 리리}}}]]
#!wiki 
[[미아리 조|[[파일:미아리주 |width=100%]] {{{#000,#fff 미아리 조}}}]]
#!wiki 
[[브라이언 퓨리|[[파일:브라이언 |width=100%]] {{{#000,#fff 브라이언}}}]]
#!wiki 
[[빅터 슈발리에|[[파일:빅터 |width=100%]] {{{#000,#fff 빅터}}}]]
#!wiki 
[[링 샤오유|[[파일:샤오유 |width=100%]] {{{#000,#fff 샤오유}}}]]
#!wiki 
[[샤힌|[[파일:샤힌 |width=100%]] {{{#000,#fff 샤힌}}}]]
#!wiki 
[[스티브 폭스|[[파일:스티브 |width=100%]] {{{#000,#fff 스티브}}}]]
#!wiki 
[[아머 킹|[[파일:아머 킹 |width=100%]] {{{#000,#fff 아머 킹}}}]]
#!wiki 
[[아수세나 밀라그로스 오르티스 카스티요|[[파일:아수세나 |width=100%]] {{{#000,#fff 아수세나}}}]]
#!wiki 
[[카자마 아스카|[[파일:아스카 |width=100%]] {{{#000,#fff 아스카}}}]]
#!wiki 
[[안나 윌리엄스|[[파일:안나 |width=100%]] {{{#000,#fff 안나}}}]]
#!wiki 
[[알리사 보스코노비치|[[파일:알리사 |width=100%]] {{{#000,#fff 알리사}}}]]
#!wiki 
[[에디 골드|[[파일:에디 |width=100%]] {{{#000,#fff 에디}}}]]
#!wiki 
[[요시미츠(철권)|[[파일:요시미츠 |width=100%]] {{{#000,#fff 요시미츠}}}]]
#!wiki 
[[자피나|[[파일:자피나 |width=100%]] {{{#000,#fff 자피나}}}]]
#!wiki 
[[잭(철권)|[[파일:잭8 |width=100%]] {{{#000,#fff 잭 8}}}]]
#!wiki 
[[카자마 준|[[파일:준 |width=100%]] {{{#000,#fff 준}}}]]
#!wiki 
[[카자마 진|[[파일:진 |width=100%]] {{{#000,#fff 진}}}]]
#!wiki 
[[미시마 카즈야|[[파일:카즈야 |width=100%]] {{{#000,#fff 카즈야}}}]]
#!wiki 
[[쿠마(철권)|[[파일:쿠마 |width=100%]] {{{#000,#fff 쿠마}}}]]
#!wiki 
[[클라우디오 세라피노|[[파일:클라우디오 |width=100%]] {{{#000,#fff 클라우디오}}}]]
#!wiki 
[[클라이브 로즈필드(철권)|[[파일:클라이브 |width=100%]] {{{#000,#fff 클라이브}}}]]
#!wiki 
[[킹(철권)|[[파일:킹 |width=100%]] {{{#000,#fff 킹}}}]]
#!wiki 
[[파캄람|[[파일:파캄람 |width=100%]] {{{#000,#fff 파캄람}}}]]
#!wiki 
[[팬더(철권)|[[파일:팬더 |width=100%]] {{{#000,#fff 팬더}}}]]
#!wiki 
[[펭 웨이|[[파일:펭 |width=100%]] {{{#000,#fff 펭}}}]]
#!wiki 
[[폴 피닉스|[[파일:폴 |width=100%]] {{{#000,#fff 폴}}}]]
#!wiki 
[[미시마 헤이하치|[[파일:헤이하치 |width=100%]] {{{#000,#fff 헤이하치}}}]]
#!wiki 
[[화랑(철권)|[[파일:화랑 |width=100%]] {{{#000,#fff 화랑}}}]]
파일:tekken8_logo_w.png
플레이어블 출시 D[dday(2025-12-05)]
<colbgcolor=#000><colcolor=#fff> 미아리 조
ミアリズ | Miary Zo
<nopad> 파일:Tekken 8 Miary Zo.png
투신의 자손
闘神の子 | Fighting God Reborn
격투 스타일 무라잉기와 아프리카 지역의 격투술을 믹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마다가스카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마다가스카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lbgcolor=#000><colcolor=#fff> 나이 18세
신장 / 체중 158cm / ?kg 생일 3월 20일
좋아하는 음식 라비토토[1] 1 / 2인칭
좋아하는 것 동물의 생태관찰
성우
1. 개요2. 스토리3. 대사4. 성능5. 기술 목록6. 기타

1. 개요

철권 시리즈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데뷔작은 철권 8. 철권 8 시즌 2의 마지막 DLC 캐릭터다.
파일:미아리즈 콘셉트 아트.jpg
프로필과 콘셉트 아트 (영문판)
25년 8월 5일, EVO 2025에서 공개한 아머 킹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마지막에 모습을 드러내며 참전을 예고하였다. 프로필에 따르면 '무라잉기[2]와 아프리카 지역의 격투술을 혼합'한 격투 스타일인 마다가스카르 출신 여성 캐릭터이다.

EVO 티저에서 공개된 모습에 대해선 호불호가 갈린다. 플레이 영상이 공개되지 않아 외형과 성우 연기만을 두고 캐릭터의 매력을 평가하게 됐는데, 미형의 여성 캐릭터라는 점에 긍정적인 반응도 있으나 크리스티와 안면 모델링이 너무 비슷하다며 보다 개성있는 캐릭터를 원하는 측은 불호를 표하고 있다.[3]

2. 스토리

시리즈 내 출연작
철권 1 (1994) 철권 5 (2004)
철권 2 (1995) 철권 6 (2007)
철권 3 (1997) 철권 TT2 (2011)
철권 TT (1999) 철권 7 (2015)
철권 4 (2001) 철권 8 (2025) 데뷔작(시즌 패스 2)

투신의 자손 (闘神の子 | Fighting God Reborn)
{{{#!wiki
마다가스카르의 전승에 등장하는 '백은의 투신님'에 빗대어 친근하게 '투신의 자손'이라고 불리고 있는 미아리 조.
"바오밥 고목이 일제히 말라붙을 때, 진홍빛 눈동자를 가진 투신의 아이가 태어날 것이다."
고명한 점쟁이인 할머니의 예언대로 진홍색 눈동자를 갖고 태어난 미아리 조는 호기심이 왕성하고 특히 동물의 생태에 강한 관심을 가진 아이였다. 매일같이 동물 관찰을 하러 나가서는 움직임을 따라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격투기에도 흥미를 느끼게 된 그녀는, 싸움을 통한 교류의 즐거움을 배워간다.
그리고 승패에 관계없이 상대를 존중하고 '주먹 친구'라고 부르는 등 명랑 쾌활한 성격으로 국내의 격투가들과 친교를 쌓으면서, 굉장한 기세로 숙달되어 갔다. 이윽고 "마다가스카르에 특출나게 강한 격투가가 있다더라"는 소문은 해외에도 전해져, 특히 이웃 아프리카 대륙 각국에서는 유명한 격투가들이 시합을 위해 그녀를 찾아오기까지 했다.
이렇게 격투기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진심으로 즐기던 미아리 조였지만 반년 전, 갑자기 전신에 푸른 빛의 문양이 떠오르고 원인불명의 고열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고 만다.
몇 달 후 겨우 의식을 되찾은 그녀는 할머니로부터 자신의 몸에 백은의 투신님이 깃들어, 사자(使者)와 함께 여행을 떠날 때가 되었다고 전해듣는다.
그 말을 뒷받침하듯 그녀의 몸은 이전보다 힘이 세졌고, 게다가 투신의 사자라고 전해지는 호랑이꼬리여우원숭이 가족이 자주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쫓아버려도 멋대로 따라오는 두 마리에게 '바닐라'와 '카카오'라고 이름 붙인 미아리 조는 할머니의 점괘를 따라, 새로운 '주먹 친구'를 찾기 위해 넓은 세상으로 여행을 떠났다.
"대체 어떤 사람들을 만날 수 있을까. 정말 기대된다~! '주먹 친구' 1000명 가능할까?"}}}

배경설정이 과거의 철권 시리즈와 관련 있다는 하라다의 언급(#)에 팔찌 및 발찌의 문양이 오거의 문양과 유사한 점, 붉은 눈동자, 최초 공개 당시 배경의 신전 등을 근거로, 구체적 설정이 공개되기 전부터 오거와 관련된 캐릭터라는 점은 거의 확정적이었으며(#) 실제로 게임플레이 트레일러에서도 투신의 힘을 이용해 오거와 비슷한 기술들을 사용한다.# 다만 미아리에게 깃든 힘은 기존에 등장했던 오거와는 다른 투신의 힘이라고 하며[4] 기존 뱀꼬리의 쌍뿔 오거와는 달리 여우원숭이 꼬리에 외뿔을 지니고 있다.#번역

3. 대사

  • 등장 대사
    • 난 미아리 조. 전력을 다해 싸워보자!
    • 전력을 다해 주먹을 맞댄 사람끼리는 이미 친구... 줄여서 "주먹 친구"! 알겠지?
    • 자, 너도 나랑 "주먹 친구" 하자!
    • 투신의 힘을... 보여줄게! 자, 우리 즐겁게 주먹으로 얘기해 볼까?
    • vs 자피나: 와아~ 뭐야, 그거?! 나랑 완전 똑같다!
    • vs 드라구노프: 손으로 카멜레온을 가리키면 저주받는거 몰라? 가리킬 때는... 이렇게!
  • 승리 대사
    • 아~ 재밌었다~ 다음에 또 싸우자
    • vs 자피나: 야~ 바닐라! 장난치면 안 돼~! 할머니가 그랬어. 승부는 진 쪽이 얻어가는 게 많대. 그러니까 실질적으론 네가 이긴 거야!
  • 레이지 아츠
    • 8 레이지 아츠 발동 시: 지금부터가 진짜야~ / 잡았다! / 전력 전개!

4. 성능

장점
  • 장점

단점
  • 단점

4.1. 철권 8

투신의 자손
闘神の子 | Fighting God Reborn

2025년 10월 12일 EVO France에서 게임플레이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2025년 12월 5일에 출시되며 얼리액세스 날짜는 12월 2일.

트레일러에서 나온 정보로는 자세가 곰 헌팅 비슷하게 숙인 자세, 요시 지뢰인처럼 창에 올라탄 자세, 최초로 벽과 상호작용하는 벽타기자세로 최소 세개는 될 것으로 보이며, 자연스럽게 상급자용 캐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능과 별개로 캐릭터성에 대한 반응은 크게 호불호가 갈린다, 기본 상태의 모션들만 봐도 벌써 철8식 자세이지가 보이는 와중에 봉을 소환해 싸우는 모션 등은 요시미츠와 빅터에 버금갈 정도로 이거 소울칼리버 캐릭터 아니냐는 말이 절로나오는 수준, 이미 이전부터 이케다 코헤이, 마이클 머레이 체제에서 소울 칼리버 시리즈와의 캐릭터 설계의 구분이 상당히 모호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미아리는 그런 점이 부정적인 부분에서 정점을 찍었다.

그나마 벽을 과감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옵션과 오우거에 대한 컨셉을 다시 가져온 점, 캐릭터의 모델링과 모션은 호평받았으나 봉술사, 아프리카 미소녀, 오우거의 복귀라는 3가지 떡밥을 떼어놓고 본다면 그럭저럭 괜찮은 컨셉이지만 문제는 이걸 한번에 섞어버리니 빅터 못지 않게 캐릭터가 굉장히 난잡해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사실상 전작에서 비판을 받은 럭키 클로에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제작진들의 시대착오적인 트렌드 이해도를 상징하는 캐릭터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5. 기술 목록

<colbgcolor=#000><colcolor=#fff> 딜레이 캐치 (각 기술 설명은 해당 항목 참조)
선 자세
10F
앉은 자세
10F

기술 명칭은 원판인 일본어판 기술명을 앞에, 국제판+영문판은 아래첨자로 표기. ex) 일본명 국제명 ()

히트 / 레이지 관련기
  • 히트 강화점
    • 1
    • 2
  • 히트 버스트 (RP+LK)
    16F 발동. 막히고 +1. 맞히고 +2. 두 손을 모아 애교 부리듯 어흥 한번 하고 트루 오거 2RP처럼 러프하게 오른손으로 내려찍는 모션.
  • 히트 발동기
    ?? (), ?? (), ?? (), ?? (), ?? ()
  • 히트 스매시: ?? (히트 상태에서 RP+LK)
  • 레이지 아츠: ?? (레이지 상태에서 3AP)
    20F 발동 중단. 막히고 -18. 작은 뱀 두 마리를 태극처럼 꺼내어 합쳐 창을 만들어 올려벤 후 땅에 내려찍어 큰 뱀을 소환, 그 뱀을 타고 공중에 있는 상대를 추격해 때리고 팔목의 뱀 촉수로 상대 다리를 잡은 다음 모든 힘을 개방해 보드처럼 타고 있던 뱀을 다시 창으로 변환시켜 상대를 찌르는 기술. 표현하면서도 이게 무슨 소린지 잘 모르겠을 정도로 난해한 모션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인 흐름 자체는 스대철 오거의 필살기 연출과 거의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

통상 기술
  • (LP LP)


  • 10단 콤보 ()

특수 동작
  • 기합 모으기 気合い溜め 기 차지 Ki Charge (AP+AK)

앉은 상태의 기술
  • (기상 )

횡이동 중의 기술
  • (횡이동 중 )

(자세)

잡기

반격기
  • 하단 흘리기 下段捌き 로 패리 (상대 하단 공격에 맞추어 3) <토네이도>
    철권 8에서 기술표에 올라간 공용 하단 흘리기.

기타
  • 벽 반동 공격 (벽을 등진 상태에서 447)

6. 기타

  • 철권 시리즈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두 번째로 등장하는 아프리카 출신이다.[5]
  • 흑인으로 보기에는 애매하다. 마다가스카르 문서의 민족 문단을 보면 알 수 있듯, 말라가시인의 시초는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 기원에 해안가 사람 한정으로 이후 아프리카 대륙에서 넘어온 흑인 이주민이 섞인 민족이라서 흑인 이주민이 영향 없는 섬 한가운데 지역이면 순수 동남아인과 그리 다를 게 없다. 즉 알려진 국적만으로는 순수 동남아인 ~ 아프리카 흑인 사이의 바리에이션으로, 보이는 외형으로는 그 중 동남아 계열이 짙은 혈통으로 볼 수 있다.
  • 출신지인 마다가스카르는 고유어인 말라가시어 외에도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영향으로 프랑스어도 공용어로 통용된다. 이러한 공통분모로 같은 프랑스어권인 리리 로슈포르빅터 슈발리에와의 접점도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름 중 '미아리'가 글로벌 클라이언트에선 한국어 금지어 문자열 중 하나로 지정되어있어 한국 커뮤니티에선 실제 출시 후엔 어떻게 될지 주목받고 있다.[6]
  • 봉을 소환하는 자세 기술에서 폴댄스를 볼 수 있다.
  • 오거(철권)은 각 캐릭터들의 기술을 가져와 적절히 섞은 가운데 고유 기술을 구사했는데, 미아리 조는 그 고유 기술을 가져왔다. 이를 비교한 영상이 있다. 오우거는 괴물이고 미아리 조는 인간인데 어떻게 인간이 괴물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나 의문을 품을 수 있지만, 오우거의 꼬리를 옷으로 표현했고 오우거의 파이어 브레스를 마법으로 표현했다. 영상
  • 소울칼리버의 성미나, 키릭, 황성경, 타림, 소피티아를 섞었다는 평이 있다.
  • 승리 포즈들중 하나가 쓰러진 상대를 내려다보며 승부는 진 쪽이 얻는게 많으니 실질적으론 네가 이긴거라고 하는 건데, 대사가 지나치게 길고 자세가 너무 노골적이라서 티배깅이 아니냐, 전작의 조시 리잘의 승리 포즈만큼 당하는 사람이 얄밉고 짜증날 것 같다는 평이 있다.

[1] Ravitoto, 영문 위키, 마다가스카르의 전통 요리로 카사바 잎과 잘게 썬 돼지고기로 만든다.[2] 마다가스카르 전통 무술, Moraingy, 표기에 끌려 영어 화자는 모레인지, 일본어 화자는 모랑구(モラング) 정도로 읽으나, 원어 발음은 /muɾaiŋ͡gʲʲ/라서 한글로는 무라잉기로 옮겨진다.[3] 크리스티의 콘셉트 아트와 위 미아리 것을 비교해 보면, 입술 두꺼운 미형 여캐로 둘다 컨셉을 잡아, 처음부터 꽤 비슷하게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4] 하라다는 오거가 단일 개체가 아니라 모든 대륙에 최소 하나씩 존재하는 복수의 개체라고 밝힌 적이 있다. #[5] 첫 번째는 정황상 이집트로 확실시되는 자피나. 다만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를 기준으로 서쪽은 아프리카, 동쪽은 아시아로 분류돼서 자피나가 시나이반도 출신이라면 미아리가 첫 번째 아프리카 캐릭터로 분류될 수도 있다.[6] 미아리라는 지명이 과거 미아동에 존재했던 대규모 집창촌의 별명으로 통용됐던 영향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