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컴포넌트 |
[clearfix]
1. 개요
라디오 방송 청취용과 음악 감상용으로 쓰이는 대형 오디오.탁상용 오디오라 불리는 붐박스와 Hi-Fi 컴포넌트 사이에 있는 제품으로, 넓은 범주에서의 뮤직센터[1]라고도 불린다. Hi-Fi 컴포넌트로 치면 일체형 본체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분리형 스피커가 양쪽으로 달려있는 형태다.
붐박스보다는 스피커 음질이 좋고, Hi-Fi 시스템보다는 딸리며, 일부 고급형을 제외한 대부분의 붐박스에서 지원하지 않는 EQ 조절 기능, 팝, 클래식, 중저음 강화 등의 음장 모드 설정 기능[2]을 지원한다.
근래의 미니컴포넌트는 카세트 테이프 기능이 빠진 대신 USB 단자 재생 기능, iPod, iPhone 거치 독, 블루투스 연결 기능 등을 지원하고, 라디오 밴드는 FM만 지원하는 추세다.
2. 생산 업체
2.1. 현존하는 업체
2.2. 폐업한 업체
3. 여담
▲ 3CD 기능을 지원한 필립스 FW-M355 |
- 과거에 출시된 미니컴포넌트는 제품명 표기가 전기축음기라고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그 중의 일부 모델은 CD를 세 개나 넣을 수 있는 3CD 기능을 지원했다.
[1] 좀 더 좁은 범주의 뮤직센터는 1980년대 중반에 나온 이른바 유사분리형 오디오를 지칭한다. 외관상 라디오 튜너, 앰프, CD, 카세트 테이프 부가 각 층을 이루고 있지만, 실제로 자세히 보면 통짜로 이루어져 있고, 외관상 각 층을 이루고 있는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홈만 파져 있다. 멀리서 보면 크기도 풀사이즈나 그에 가까워 분리형 정통 Hi-Fi 컴포넌트와 매우 비슷하게 생겼지만, 당연히 성능 차이는 넘사벽. 특히 어느 한 부분이 고장나면 수리하기도 난감하여 1990년대에 재활용 폐기물 하치장에 단골로 가장 많이 버려진 모델이다. 미니컴포넌트는 이런 뮤직센터의 단점을 상당 부분 개선하여 1990년대부터 많이 출시되었다. 대개 각 기능 부분을 분리시키되 타 모델과 호환이 안 되는 케이블로 전원과 음향 신호를 공급받는 형식에서부터(사이즈는 풀사이즈부터 마이크로까지 다양하다.) 아주 그냥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여 학생 책상에 갖다 놓기 쉽게 만든 마이크로 컴포넌트까지 매우 다양한 종류로 진화하였다.[2] 이 중 중저음 강화는 붐박스에서도 일부 지원한다.[생산중단] 현재는 생산을 중단했다.[해외직구] 현재는 해외 직구(일본 내수용) 모델만 생산한다.[해외직구] [생산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