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물리교육과]]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교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부 소속 국가공무원인 교사 | |||||
유치원 | 유아교사 | |||||
초등학교 | 초등교사 | |||||
중등학교 | 국어교사 | 영어교사 | 프랑스어교사 | 스페인어교사 | 독일어교사 | |
일본어교사 | 중국어교사 | 한문교사 | 윤리교사 | 종교교사 | ||
지리교사 | 역사교사 | 일반사회교사 | 과학교사 | 환경교사 | ||
물리교사 | 화학교사 | 생물교사 | 지구과학교사 | 수학교사 | ||
기술교사 | 가정교사 | 음악교사 | 미술교사 | 체육교사 | ||
전문교과교사 | ||||||
특수학교 | 유아특수교사 | 초등특수교사 | 중등특수교사 | |||
비교과 | 보건교사 | 사서교사 | 영양교사 | 전문상담교사 | ||
교사로 오해할 수 있는 직업 | ||||||
한국어교원 | 보육교사 | 원어민 강사 | 돌봄전담사 | 영어회화전문강사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A | |
A:「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른 훈련기관에서 자격을 갖추고 학생(훈련생)을 가르킨다. 애초에 적용되는 법률부터 다르고, 직종도 기술(NCS 기준 포함) 위주이다. 다만, 자격직종에 따라 산학겸임교사 형식으로 초빙되어 학교에서 근무할 수도 있지만 필수자격은 아니다. |
1. 개요
과학과의 ‘운동과 에너지’ 영역을 지도하거나 담당하는 교육공무원. 주로 중등교육기관에서 업무를 수행한다.2. 기본이수과목
제4조(기본이수과목의 이수) ①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은 동일한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하여 모든 교원양성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이수하여야 할 과목(또는 분야)이다. ② 교사의 자격종별ㆍ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는 [별표 3]과 같다. ③ 2급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공과목 50학점 내에 [별표 3]에 따른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중 21학점 이상(7과목 이상)을 반드시 포함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단, 교육대학원에서 교사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 기본이수과목은 14학점 이상(5과목 이상)으로 한다. 유치원 및 초등·중등·특수학교 등의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세부기준 (교육부고시 제2023-14호) |
위 고시의 [별표 3]에 따르면, 물리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기본이수과목은 "물리교육론(또는 과학교육론), 역학, 양자역학, 전자기학, 열및통계물리, 파동및광학, 전산물리, 현대물리학, 물리교육실험"이다.
3. 전현직 물리교사
- 강은희: 경북대학교 물리교육과
- 공하임: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 과학쿠키: 공주대학교 물리교육과
- 김유경: 공주대학교 물리교육과
- 레오 14세: 빌라노바 대학교 수학과[1]
- 박순보: 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 배기범: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 이과형: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과
- 이광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공통과학교육전공
- 장동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 장인수: 공주대학교 물리교육과
- 정성홍: 원광대학교 물리교육과
- 차영: 공주대학교 물리교육과
[1]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남서부의 세인트 리타 고등학교(St. Rita of Cascia High School)에서 물리와 수학교사로 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