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FF> | 장기 계열 게임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750><colcolor=#FFF> 남아시아 | 차투랑가 · 차투라지 | |
유럽 | 체스(변형 체스) | ||
동아시아 | 샤타르 · 샹치 · 쇼기(변형 쇼기) · 장기(변형장기) | ||
동남아시아 | 마인 차토르 · 막룩 · 시투인 | ||
아프리카 | 사만시 · 센테레지 | }}}}}}}}} |
막룩 หมากรุก makruk | ||
막룩을 두는 모습 | ||
<colbgcolor=#ffd700,#272727> 종류 | 마인드 스포츠 | |
경기 방식 | (경기 방식) | |
경기 장소 | 실내 | |
참여 인원 | 2명 | |
신체 접촉 | 불가 | |
종주국 | [[태국| ]][[틀:국기| ]][[틀:국기| ]] [[캄보디아|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개요
หมากรุก / Makruk(Thai chess)태국의 보드게임으로 추상전략게임의 일종. 캄보디아에서도 둔다.[1]
8×8 사이즈의 말판 위에서 흑색 진영과 백색 진영이 서로의 쿤[2]을 잡는 게임으로, 6세기 인도의 보드게임인 차투랑가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 당시 인도, 페르시아와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교류가 활발했던 역사 때문에 많은 차투랑가 파생 게임 중 오리지널 차투랑가의 룰을 가장 잘 간직하고 있다.
2. 특징
기본적으로 차투랑가를 바탕으로 약간의 오리지널 룰이 추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쿤(ขุน / 영주): 체스의 킹과 장기의 왕/군/장/수처럼 전후좌우와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인다. 초기 배치도 체스의 킹과 비슷. 단, 체스와 달리 각자의 쿤이 마주보지 않고 자신의 왼편에 위치한다.
- 르어(เรือ / 보트): 체스의 룩과 장기·샹치의 차처럼 전후좌우 일직선으로 움직인다. 초기 배치도 체스의 룩과 동일.
- 마(ม้า / 말): 체스의 나이트와 장기의 마처럼 직선 한 칸 이후 대각선 한 칸을 움직인다. 체스의 나이트처럼 이동하려는 지점의 중간 길목에 말이 놓여 있어도 이동할 수 있다. 초기 배치도 체스의 나이트와 동일. 태국어로 말이라는 뜻.[3]
- 콘(โคน / 귀족): 쇼기의 은장처럼 앞쪽과 대각선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인다. 초기 배치는 체스의 비숍.
- 멧(เม็ด / 씨앗): 대각선 방향으로 한 칸씩만 움직일 수 있다. 초기 배치는 체스의 퀸과 비슷하나 쿤과 마찬가지로 서로의 멧이 마주보지 않고 자신의 오른편에 위치한다.
- 비아(เบี้ย / 조개껍데기): 체스의 폰처럼 앞으로 한 칸씩만 움직일 수 있으며, 대각선의 진행 방향에 있는 적만 잡을 수 있다. 그 대신 초기 배치가 체스의 폰과 달리 후열과 한 줄을 건너뛰어 배치하고, 처음 시작할 때 두 칸을 움직일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앙파상(en passant)으로 잡을 수도 없다. 또한 상대편 진영 끝까지 가면 승급 기물로 퀸, 룩, 비숍, 나이트를 선택할 수 있는 폰과 달리 상대편 비아가 초기 배치되어 있던 곳까지 가면 멧으로 승급되는데, 이때는 비아가이(เบี้ยหงาย)라는 이름으로 부른다.[4]
태국에서는 매년 국가 단위의 막룩 대회를 열고 있다.
룩(รุก)은 왕을 공격하고 있다는 뜻이며, 한국의 장군과 뜻이 같다. 페르시아어로 수레(chariot)라는 뜻인데 이 단어는 체스에서 rook의 어원이 됐다.
또한 외통수를 했을 경우에는 룩쫀(รุกจน)이라고 한다.
마(ม้า)와 르어(เรีอ) 외에는 모든 기물이 한 칸씩밖에 이동하지 못한다. 때문에 처음 접한 사람은 답답하거나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양 사이드의 폰이 모두 사라진 이후부터 64수 안에 메이트를 하지 못하면 무승부로 끝난다는 독자적인 룰을 추가했다. 또한 한 편에 왕을 제외한 모든 기물이 사라졌을 때 몇 수 안에[5] 메이트를 하지 못하면 무승부로 끝나게 된다.
캄보디아에서는 왕을 첫 수에 한해서 마와 같이 움직일 수 있고[6], 멧을 첫 수에 한해서 두 칸 전진할 수 있는 규칙이 있다.
3. 체스와의 비교
서로 같은 게임을 조상으로 둔 사촌격인 게임이기에 많은 면에서 유사점을 보인다. 차투랑가가 모든 장기류 게임의 조상이고, 그런 차투랑가가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막룩, 시투인 등으로 변형되었고, 서쪽으로는 페르시아에서 샤트란지라는 이름으로 파생되었다가, 다시 유럽과 아프리카로 전래되어 각각 체스와 센테레지가 되었다.보드 사이즈, 기물의 수 등 대략적인 부분에선 같고 행마법과 기물 배치 면에서는 약간 다르다는 점에서 장기와 샹치의 차이점과 유사하다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체스에 비해 기물의 위력이 약한 편이고, 움직임이 제한적인 만큼 대국 시간이 더 긴 편이다.
3.1. 공통점
- 8×8 규격의 동일한 보드를 사용한다. 체스와 막룩을 같은 판 위에 둘 수 있다.
- 기물 수가 흑과 백 16개씩 총 32개로 동일하다.
- 양쪽의 졸이 모두 다 없어졌을 때, n수 내에 체크메이트를 만들지 않으면 무승부가 된다. 또, 보드 내의 기물이 서로의 킹 혹은 쿤들밖에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역시 무승부 처리된다.
- 쿤이 현재 공격받고 있지 않지만, 어디로 가도 잡히며, 다른 움직일 기물도 없는 경우는 무승부 처리가 된다.
3.2. 차이점
- 막룩의 콘은 쇼기의 은장처럼 대각선과 전진 1칸이지만 체스의 비숍은 대각선으로 제한없이 간다. 또 비숍은 컬러바운드지만 콘은 아니다.
- 멧은 체스의 퀸과 비교해서 차이가 크다. 퀸은 모든 방향으로 제한 없이 가는 막강한 기물이지만, 멧은 대각선으로 1칸만 가는
개쓰레기약한 기물이다. [7]체스의 선조 게임인 샤트란지의 페르즈와 동일하다. - 폰의 초기 배치가 1칸 앞에 배치된다. 체스의 폰과는 달리 첫 수에 2칸 이동이 불가능하며, 적의 초기 위치는 6파일부터 멧으로만 승급한다.
개쓰레기22반면에 체스의 폰은 맨 마지막 열인 8파일(흑의 입장에선 1파일)까지 가야만 승급한다. 퀸 외에 다른 기물로도 승급이 가능하다.
4. 관련 문서
[1] 캄보디아에서는 막룩이 아니라 욱 차트랑(Ouk Chatrang)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2] 체스나 장기의 왕에 해당하는 말이지만 쿤은 태국어로 봉건 영주라는 뜻이다. 이런 종류의 보드 게임에서 대장 말이 왕이 아닌 희귀한 케이스. 어감이 비슷한 군주라고 보면 뜻은 통한다. 또 다른 케이스로 대장 말이 왕이 아니라 장수를 뜻하는 장(將)과 수(帥)인 샹치가 있다.[3] 말을 뜻하는 한자인 말 마의 음과 같다.[4] 자기 진영 제일 안쪽을 1열이라고 하면 초기 배치는 3열이고, 6열에 도달하면 멧으로 승급한다.[5] 예를 들어 이기고 있는 편에 두 개의 룩이 남았다면 8수 안에 메이트를 만들어야 한다.[6] 단, 체크를 받았을 때는 불가능.[7] 무려 앞서 설명한 콘보다도 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