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5:33:24

마리아의 노래

마니피캇에서 넘어옴
전례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4536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사 ▼ 미사의 구조
시작 예식 · 말씀 전례 · 성찬 전례 · 마침 예식
미사곡
자비송(Kýrie) · 대영광송(Glória)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Credo)
거룩하시도다(Sanctus-Benedíctus) ·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 미사 관련 정보
미사의 종류 · 미사 전례에 임하는 합당한 자세
죽은 이를 위한 미사
공통 ▼ 전례 거행의 요소
영성체 · 전례서
따름 노래(입당송과 영성체송) · 화답송 · 복음 환호송
▼ 기도문
주님의 기도 · 성모송
마리아의 노래
성 토마스의 성체 찬미가 ·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
부속가 · 찬미가
전례력
대림 시기 · 성탄 시기
사순 시기 (주님 수난 성지 주일 · 성유 축성 미사)
파스카 성삼일 (주님 만찬 성목요일 · 주님 수난 성금요일 · 성토요일 · 주님 부활 대축일)
부활 시기 · 연중 시기
}}}}}}}}}}}} ||


1. 개요2. 이름
2.1. 성모의 '노래', 마리아의 '노래'2.2. Magníficat
3. 성경에서의 유래4. 본문5. 성음악에서의 사용
5.1. 그레고리오 성가5.2. 다성음악

1. 개요

마리아의 노래(Magnificat)는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한 성모 마리아가 하느님을 찬양하며 부른 노랫말이다. 루카 복음 1,46ㄴ-55에 수록되어 있는 이 노랫말은 오늘날 가톨릭 교회의 여러 전례나 신심 행사 중에 활용된다.

2. 이름

2.1. 성모의 '노래', 마리아의 '노래'

지금의 『로마 미사 경본』과 『가톨릭 기도서』가 사용하는 제목은 '마리아의 노래'이다.[1] 한국 천주교의 『성무일도』에는 이 기도의 이름이 '성모의 노래'라고 되어 있지만, 이는 이 책이 워낙 오래 전에 번역되어서 아직 최신 용어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기도의 이름에 '노래'라는 말이 붙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노래'의 의미로 '가곡, 가사, 시조 따위와 같이 운율이 있는 언어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함. 또는 그런 예술 작품.'이라는 뜻이 있다. 링크. 즉 음정과 박자를 가진 음악을 뜻하는 노래가 아닌 시로서의 노래라고 봐야 옳다. 더구나 성모 마리아가 노래한 곡조를 엘리사벳이나 다른 누군가가 채보해서 성경을 통해 오늘날까지 내려오지 않으므로 루카 1,46ㄴ-55는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이 말하는 의미로 봄이 옳다.

이 문서의 개요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래' 대신 '노랫말'이라는 말로 마리아의 노래를 소개했다.

2.2. Magníficat

마리아께서 성령께 탁월하게 협력하신 사실을 토대로,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비에서 드러난 그분의 위격에 초점을 맞추어, 천주의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를 발전시켜 왔다. 이 기도를 표현하는 수많은 찬미가와 후렴 안에는 흔히 두 가지 움직임이 번갈아 나타난다. 하나는 주님께서 당신의 비천한 여종에게, 그리고 이 여종을 통해서 모든 사람에게 해 주신 “큰일”에 대해 주님을 “찬양하는”(magnificat)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예수님의 어머니께 하느님의 자녀들의 애원과 찬미를 맡겨 드리는 것인데, 이는 마리아께서 이제 하느님의 아들이 자신 안에서 마치 신부(新婦)처럼 취하신 그 인성을 알고 계시기 때문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2675항. 원문 링크.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서양 음악사의 여러 작곡가에 의해 작곡된 바 있는 Magníficat이 바로 마리아의 노래이다. 가톨릭 교회의 찬미가를 비롯한 여러 기도문이 늘 그렇듯, 이 기도를 'Magníficat'이라고 칭한 이유 역시 그 첫 단어가 'Magníficat'이기 때문이다.

3. 성경에서의 유래

아래의 루카 복음 1장 중 마리아의 노래와 관련된 이야기는 '예수님의 탄생 예고'(루카 1,26-38)와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하다'(루카 1,39-45)이다. 전자는 성모 영보에 관한 이야기이고, 후자는 성모송의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에 관한 내용이다. 이들 성경 본문은 아래의 링크로 갈음한다.
『성경』 루카 복음 1장 열람

4. 본문

루카 복음 1,46ㄴ-55이 있는 라틴말과 한국어 본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Nova Vulgata』 Evangelium secundum Lucam 1 열람
『성경』 루카 복음 1장 열람

아래는 시간 전례 때 바치는 라틴 말과 (추후 한국 천주교에서 시간 전례 중에 사용될) 한국어 기도문이다. 몇 가지 설명을 붙이면 다음과 같다.
  • 라틴 말 기도문은 『Antiphonale Romanum』에 수록된 바에 따라 노래할 때 숨쉬는 부분에 별표 표시하였다.
  • 라틴 말 본문 중 위에 별도로 표시한 것은 예전 기도문에 쓰였던 단어이며, 본문에 있는 것은 지금 기도문이다.
    • 서양 음악사의 유명 작곡가들의 Magníficat은 모두 예전 기도문으로 만들어졌다.
    • 현재의 기도문은 『Antiphonale Romanum』에 의한 것이며 『Nova Vulgata』의 루카 복음 1장의 내용과 같다.
  • 한국어 기도문은 위에 링크된 『성경』과 약간 다르지만, 엄연히 2024년 현재의 공식 번역이다. 이 번역이 『성경』의 번역을 제치고 『로마 미사 경본』의 영성체송이나 『미사 독서』의 화답송, 복음 환호송과 같은 고유문에 활용된다. 마치 『성경』의 시편과 『전례 시편』의 관계와 비슷하다.
라틴 말[2] 한국어[3]
Magníficat * ánima mea Dóminum.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고
Et exsultávit spíritus meus * in Deo [ruby(salvatóre,ruby=salutári)] meo.내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내 마음 기뻐 뛰노네.
Quia respéxit humilitátem ancíllæ suæ *
ecce enim ex hoc beátam me dicent omnes generatiónes.
그분은 비천한 당신 종을 굽어보셨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복되다 하리라.
Quia fecit mihi magna, qui potens est, *
et sanctum nomen eius.
전능하신 분이 나에게 큰일을 하셨으니
그 이름은 거룩하신 분이시다.
Et misericórdia eius [ruby(in progénie et,ruby=a progénie in progénies)] progenies *
timéntibus eum.
그분 자비는 세세 대대로
그분을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미치리라.
Fecit poténtiam in bráchio suo, * dispérsit supérbos mente cordi sui.그분은 당신 팔로 권능을 떨치시어
마음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네.
Depósuit poténtes de sede * et exaltábit húmiles.권세 있는 자를 자리에서 내치시고
비천한 이를 들어 올리셨네.
Esuriéntes implévit bonis * et dívites dimísit inánes.굶주린 이를 좋은 것으로 채워 주시고
부유한 자를 빈손으로 돌려보내셨네.
Suscépit Israel púerum suum * recordátus [ruby(misericórdiæ,ruby=misericórdiæ suæ)].당신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돌보셨으니
Sicut locútus est ad patres nostros, * Abraham et sémini eius in saécula.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그분의 자비 영원하리라.

이 기도 끝에 영광송이 붙는다.

5. 성음악에서의 사용

5.1. 그레고리오 성가

여덟 가지의 시편창 선율 중 적절한 하나의 곡조에 맞춰 노래한다. 만일 시간 전례의 저녁 기도처럼 앞뒤에 그레고리오 성가 후렴이 있다면, 그 후렴의 선법과 동일한 선법의 시편창 선율이 활용된다. 전례나 신심 행사에 참여한 모든 이들이 이 시편창을 서로 교대로 노래할 수 있고, 선창자나 성가대와 회중의 교창으로 노래할 수 있으며, 성가대만의 교창으로 노래할 수도 있다.

그레고리오 성가 시편창의 여러 관습 중 이 노래와 즈카르야의 노래(루카 1,68-79), 시메온의 노래(루카 2,29-32)에만 달리 적용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시편창 선율의 도입부는 후렴 후 첫 절에만 사용한다. 가령 『가톨릭 성가』 84번 '얼마나 좋은고'의 시편창 제5선법에서 중심음으로 올라가는 선율은 후렴 후 나오는 첫 절인 'Laudate Dominum'의 'Lau-'와 '-da-'에만 적용되었다. 이 곡의 5선보 악보에서는 Eb과 G 음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 선율은 다음 절인 'Quaniam confirmata~', 'Gloria Patri~', 'Sicut erat in~'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런데 마리아의 노래, 즈카르야의 노래, 시메온의 노래를 그레고리오 성가 시편창에 맞춰 노래할 때는 그 도입부를 모든 절에 사용한다. 시편창 제1선법으로 노래하는 아래의 동영상과 그 밑에 있는 여러 사례들이 이를 공통적으로 보여 준다.
  • 제2선법: #1
  • 제6선법: #1
  • 제8선법: #1, 『가톨릭 성가』 269번

5.2. 다성음악



[1] 『로마 미사 경본』 476면, 성령 강림 대축일 긴 전야 미사, 12항.[2] 『Antiphonale Romanum』, Solesmes.[3] 『가톨릭 기도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