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5:15:47

마누 투일랑이

마누 투일라기에서 넘어옴

파일:아비롱 바요네 로고.png
아비롱 바요네 2025-26 시즌 선수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e204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포지션 유니언 한글 이름[1] 원어 이름 비고
후커
(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쿤도 보시 Facundo Bosch
파일:프랑스 국기.svg 뱅상 주디첼리 Vincent Giudicelli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카 마르탱 Lucas Martin
프롭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캉탱 베튄 Quentin Béthune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디 보르들레 Andy Bordelai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이그나시오 카예스 Ignacio Calle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 카스티용 Pierre Castillon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왕 코르메니에 Swan Cormen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스칼 코테 Pascal Cotet
파일:사모아 국기.svg 마코 페풀레아이 Marco Fepulea'i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므릭 스티아노 Emerick Setiano
파일:피지 국기.svg 루크 탕이 Luke Tagi
파일:프랑스 국기.svg 테비타 타타푸 Tevita Tatafu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유언 존슨 Ewan John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산더 문 Alexander Moon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루카스 파울로스 Lucas Paulos
플랭커
(6)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스테방 카필라 Esteban Capilla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티스트 슈즈누 Baptiste Chouzenoux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렉상드르 피셰르 Alexandre Fischer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티스트 에기 Baptiste Heguy
파일:호주 국기.svg 롭 리오타 Rob Leota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튀르 이튀히아 Arthur Iturria
넘버 8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로드리고 브루니 Rodrigo Bruni
파일:독일 국기.svg 지오반니 하벨퀴프너 Giovanni Habel-Küffner
스크럼
하프

(3)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티스트 제르맹 Baptiste Germain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허셜 얀키스 Herschel Jantjies
파일:프랑스 국기.svg 막심 마셰노 Maxime Machenaud
플라이
하프

(2)
파일:웨일스 국기.svg 가레스 앤스컴 Gareth Anscombe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리 스공 Joris Segonds
센터
(5)
파일:피지 국기.svg 시렐리 망갈라 Sireli Maqala
파일:프랑스 국기.svg 기욤 마르토크 Guillaume Martocq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데리코 모리 Federico Mori
파일:호주 국기.svg 리스 호지 Reece Hodg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누 투일랑이 Manu Tuilagi

(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테오 카레라스 Mateo Carreras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노 에르비나르트가레이 Arnaud Erbinartegaray
파일:알제리 국기.svg 나디르 마크두드 نادر مقدود
Nadir Megdoud
풀백
(3)
파일:프랑스 국기.svg 톰 스프링 Tom Spring
파일:프랑스 국기.svg 셰이크 티베르기앵 Cheikh Tiberghien
파일:프랑스 국기.svg 요앙 오라베 Yohan Orabé
코치진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레고리 파타(Grégory Patat)
경기장
홈구장: 스타드 장도제 (14,370석)
[1] 볼드체는 국가대표 출전 경험이 있는 인원
}}}}}}}}}}}}
파일:마누 투일라기.jpg
파일:아비롱 바요네 로고.png
아비롱 바요네
마누 투일랑이
Manu Tuilagi
본명 에투알레 마누사모아 투일랑이
Etuale Manusamoa Tuilagi
생년월일 1991년 5월 18일 ([age(1991-05-18)]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출신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사바이이
신체 185cm / 체중 112kg
가족관계 형 프레디, 헨리, 알렉스, 앤디, 사넬레 바바에[1]
조카 포솔로 투일랑이
포지션 센터, 윙
클럽 경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 타이거즈 (2009~202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세일 샤크스 (2020~2024)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비롱 바요네 (2024~ )
국가대표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잉글랜드 (2011~2024)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B&I 라이언스 (2013)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61경기 100득점 (20트라이)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1경기

1. 개요2. 테스트 트라이

1. 개요

잉글랜드럭비 선수. 그가 태어난 해에 형 프레디 투일랑이가 월드컵에 사모아 대표팀으로 출전한 기념으로 부모님이 대표팀의 별명인 "마누 사모아"라는 이름을 지어 줬다. 7남매 중 다섯 형제들도 럭비 선수인데, 형제들과 달리 12살에 잉글랜드로 건너와 2014년 영국 시민권을 얻었다.

2023년 2월 노샘프턴 세인츠와의 경기에서 상대 선수의 얼굴에 팔꿈치를 휘둘러 퇴장을 당했고, 출장 정지 징계로 2023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도 하차하게 됐다. 10년 전에도 크리스 애쉬튼의 얼굴에 주먹질을 한 전과가 있어서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2]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 비선되었다가 5라운드 프랑스전에 합류했다. 조카인 포솔로 투일랑이와의 대결을 기대하는 사람이 많았으나, 포솔로는 대회 도중 U-20 대회를 지원하러 넘어갔기 때문에 둘의 만남은 무산되었다. 이 경기를 끝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하고 TOP 14아비롱 바요네로 이적한다.

2. 테스트 트라이

<rowcolor=#fff> 순번 날짜 대회 장소 상대 결과
1 2011.8.6 2011 럭비 월드컵 준비 경기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23:19 승
2 2011.8.27 아비바 스타디움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20:9 승
3 2011.9.18 2011 럭비 월드컵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41:10 승
4 2011.9.24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67:3 승
5 2012.3.11 2012 식스 네이션스 스타드 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4:22 승
6,7 2012.11.10 가을 투어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54:12 승
8 2012.11.17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4:20 패
9 2012.12.1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38:21 승
10 2013.2.23 2013 식스 네이션스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3:13 승
11 2014.3.15 2014 식스 네이션스 스타디오 올림피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52:11 승
12,13 2019.3.9 2019 식스 네이션스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57:14 승
14 2019.8.24 2019 럭비 월드컵 준비 경기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57:15 승
15,16 2019.9.22 2019 럭비 월드컵 삿포로돔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35:3 승
17 2019.10.26 요코하마 국제경기장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9:7 승
18 2020.3.7 2020 식스 네이션스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33:30 승
19 2021.11.20 가을 투어 트위크넘 스타디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7:26 승
20 2023.10.15 2023 럭비 월드컵 스타드 드 마르세유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30:24 승

[1] 이게 그 유명한 투일랑이 형제 되시겠다[2] 그런데 당시 크리스 애쉬튼도 노샘프턴 소속이었다. (그리고 둘은 국가대표 동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