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9:49:02

리치마작/점수

<rowcolor=#FFF> 🀐마작
관련 문서
<keepall>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90><colcolor=#FFF> 국표마작 국표마작 (/진행 · /역 · /점수)
리치마작 리치마작 (/진행 · /역 · /점수)
기타 마작 광동마작 · 사천마작 · 구 홍콩마작 · 홍콩대만마작 · 대만마작 · 싱가포르마작 · 말레이시아마작 · 한국마작 · 이십이마작 · 미국마작
마작 요소 마작패 · 점수봉 · 작탁 · 마장(한국 내 마장) · 용어 · 변형 규칙 · 커뮤니티 }}}}}}}}}

1. 개요2. 판수계산법3. 부·판계산법
3.1. 부수3.2. 본격적인 계산3.3. 親(오야, 친, 부모) 점수표3.4. 子(자) 점수표
3.4.1. 일본에서 점수를 간략하게 부르는 방법
3.5. 부수 점수가 계산되는 원리3.6. 기타
3.6.1. 성립이 불가능한 부수
3.6.1.1. 25부 2판 쯔모, 25부 1판3.6.1.2. 20부 1판 쯔모3.6.1.3. 110부 1판 쯔모, 120부 이상 2판 이하
4. 아오텐조(靑天井, 청천정) 계산법
4.1. 매체에서의 모습

1. 개요

리치마작의 점수계산은 기본적으로 부·판계산법이며 이를 간략화한 판수계산법과, 막장화한 아오텐조(靑天井, 청천정) 계산법이 있다.

2. 판수계산법

( : fan, 판, 한, ファン, ハン)

부수의 개념이 없이 오로지 족보의 '판수'만 따져서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 복잡하기 짝이 없는 부판계산법에 비해 굉장히 간단하다.

점수 계산을 위해서는 완성된 역이 포함하는 모든 판수를 더한다. 예를 들어 '리치+탕야오+핑후+멘젠쯔모'일 경우 1판 역이 네 개이므로 4판이 된다.

소삼원의 경우에는 소삼원 자체가 2판이고 거기에 포함된 삼원패 커쯔가 두 개 있으므로 중복하여 4판이 된다. 량페코(양배구)는 그냥 3판이다.

이제 이 판수와 난 사람이 친(親)인지 자(子)인지에 따라 받는 점수가 결정된다. 부판 계산법으로 치면 30부 고정인 셈이다.
<colbgcolor=#f5f5f5,#2d2f34> 판수 명칭 자(子)로서 화료 친(親)으로서 화료
1판 - 1,000점 (300-500[1]) 1,500점 (500 ALL)
2판 - 2,000점 (500-1,000) 2,900점 (1,000 ALL[2])
3판 - 3,900점 (1,000-2,000[3]) 5,800점 (2,000 ALL[4])
4판[5] - 7,700점 (2,000-3,900[6]) 11,600점 (3,900 ALL[7])
5판 만관
滿貫
8,000점 (2,000-4,000) 12,000점 (4,000 ALL)
6-7판 하네만
跳滿
12,000점 (3,000-6,000) 18,000점 (6,000 ALL)
8-10판 배만
倍滿
16,000점 (4,000-8,000) 24,000점 (8,000 ALL)
11-12판 삼배만
三倍滿
24,000점 (6,000-12,000) 36,000점 (12,000 ALL)
13판 이상 헤아림 역만
数え役満
32,000점 (8,000-16,000) 48,000점 (16,000 ALL)
[괄호는 쯔모 화료 점수]

론으로 나느냐, 쯔모로 나느냐에 따라 점수를 받는 방식이 달라지는데, 으로 나면 쏘인 플레이어 한 명이 점수를 모두 지불한다. 자(子)가 쯔모로 나면 해당 점수의 절반은 친(親)에게서 받고, 나머지 절반은 자(子) 두 명에게서 각각 반씩 받아낸다. 친(親)이 쯔모로 나면 나머지 자(子) 3명에게서 각각 1/3씩 받아낸다.

3. 부·판계산법

리치마작 점수계산의 표준이다. 판수에다 부수까지 계산해야 되니 판수계산법에 비해 까다롭고 복잡하다. 위에 나온 판수계산법은 이 방법을 간략화한 방법일 뿐이다. 오프마작 뉴비 절단기

3.1. 부수

패 조합의 기본 형태에 따른 점수로, 화료하기 어려운 형태로 화료하면 부수가 높아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0. 특수역 - 칠대자(치또이츠): 25부 고정[8]
1. 부저(기본 부수): 20부
1. 화료에 따른 부수 (화료부수)
* 멘젠 론: +10부
* 비멘젠 론: +0부
* 단, 다른 추가 부수가 붙지 않더라도 최소 30부 보장
* 쯔모: +2부 (멘젠 여부 무관)
* 예외 - 핑후가 포함되는 경우 +0부
1. 대기에 따른 부수[9] (대기부수)
* 양면대기: +0부
* 샤보대기[10]: +0부[11]
* 변짱[12], 간짱[13], 단기[14]: +2부
1. 머리에 따른 부수
* 수패, 객풍패: +0부
* 자풍패, 장풍패, 삼원패 (역패 머리[15]): +2부
* 연풍패 (자풍+장풍): +4부 (4부가 일반적이지만 2부로 보는곳도 있는편)
1. 몸통에 따른 부수
* 슌쯔: 0부
* 커쯔/깡쯔
<colbgcolor=#f5f5f5,#2d2f34> 중장패 요구패
밍커 파일:2p.svg파일:t2p.svg파일:2p.svg
2부
파일:1z.svg파일:t1z.svg파일:1z.svg
4부
안커 파일:2p.svg파일:2p.svg파일:2p.svg
4부
파일:1z.svg파일:1z.svg파일:1z.svg
8부
밍깡 파일:2p.svg파일:2p.svg파일:t2p.svg파일:2p.svg
8부
파일:1z.svg파일:1z.svg파일:t1z.svg파일:1z.svg
16부
안깡 파일:1x.svg파일:2p.svg파일:2p.svg파일:1x.svg
16부
파일:1x.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1x.svg
32부

이제 이 부수의 총합이 1의 자리가 0이면 그대로 두고, 0이 아니라면 무조건 십의 자리까지 올림한다. (20부는 20부지만 22부는 30부이다.)
  • 자신의 오름패가 여러 대기 타입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경우, 점수가 높은 쪽으로 취급한다. 아래 '기타' 문단에서 특이한 경우들을 확인할 수 있다.
  • 부수로 한 판 만큼 점수를 내려면 부수가 2배가 되면 된다. (1판 80부 = 2판 40부 = 3판 20부)

3.2. 본격적인 계산

이제 부수와 판수를 조합해 점수를 계산하면 되는데 점수표를 보고 외워도 좋고, 아니면 프린트해서 계산할 때마다 보고 해도 상관없다(점수표는 아래쪽에 있음).

만관(3판 70부 이상, 4판 40부 이상, 5판[16]), 하네만(6·7판)[17], 배만(8·9·10판)[18], 삼배만(11·12판)[19], 헤아림 역만(13판 이상)[20]

5판 이상인 때는 부수를 계산할 필요가 없이 해당하는 점수를 받으면 된다. 굳이 부수를 따지자면 실제로 몇부인가와 관계없이 20부로 받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5판 미만인 때는 항상 부수·판수를 모두 고려한다.

'헤아림 역만([ruby(数, ruby=かぞ)]え[ruby(役満, ruby=やくまん)])'[21]은 특정한 '역만 역'으로 화료한 것과 같은 점수이다. 역만에 대해선 리치마작/역/역만을 참조.

같은 부수·판수라도 자(子)일 때와 부모일 때 받는 점수가 다르며, 부모(親)일 때는 자(子)일 때의 약 1.5배를 받는다.
만관을 예로 들면 자일 때는 8000점, 부모일 때는 8000×1.5 = 12000점.

그리고 연장으로 인해 장봉이 존재할 경우 장봉 1개당 300점의 화료점이 가산된다. 예를 들자면 0본장(연장이 이뤄지지 않은 장)에서 선이 만관 쯔모했을 경우 위와 같이 12000점(모두에게 4000점씩 받음)이지만, 1본장[22]에서 선이 만관 쯔모했을 경우 12300점(모두에게 4100점씩 받음)이 된다. 만관을 론 했을 때도 12300점. 이렇게 2본장, 3본장…으로 갈수록 늘어나며[23], 자에게도 적용된다(똑같이 +300점). 오프마작에선 보통 "xx점(의 n본장)은 yy점" 식으로 말한다. xx가 원래 받는 점수, yy는 연장으로 추가된 점수를 합산한 점수이다.
장봉 자체를 사용하지 않는 규칙도 있지만 일반적이진 않다. 또한 장봉 1개당 1500점으로 하는 장천오(場千五, 바센고) 규칙도 있다.

부모일 때 받는 점수는 자일 때 받는 점수의 1.5배. 다른 플레이어가 쯔모한 경우 부모가 잃는 점수는 자의 두 배. 이건 모든 점수계산에 통용되는 것이므로 기억해두자.

3.3. 親(오야, 친, 부모) 점수표

  • 괄호 밖은 론으로 받는 점수, 괄호 안은 쯔모로 받는 점수(한 사람당).
  • 25부는 치또이쯔일 때만 해당.
  • 절상 만관을 적용하는 경우 기울어진 숫자 부분도 만관으로 한다.
<colbgcolor=#f5f5f5,#2d2f34> 20부 25부 30부 40부 50부 60부 70부 80부 90부 100부 110부
1翻 1,000
(-)
- 1,500
(500 all)
2,000
(700 all)
2,400
(800 all)
2,900
(1,000 all)
3,400
(1,200 all)
3,900
(1,300 all)
4,400
(1,500 all)
4,800
(1,600 all)
5,300
(-)
2翻 2,000
(700 all)
2,400
(-)
2,900
(1,000 all)
3,900
(1,300 all)
4,800
(1,600 all)
5,800
(2,000 all)
6,800
(2,300 all)
7,700
(2,600 all)
8,700
(2,900 all)
9,600
(3,200 all)
10,600
(3,600 all)
3翻 3,900
(1,300 all)
4,800
(1,600 all)
5,800
(2,000 all)
7,700
(2,600 all)
9,600
(3,200 all)
11,600
(3,900 all)
만관
12,000
(4,000 all)
4翻 7,700
(2,600 all)
9,600
(3,200 all)
11,600
(3,900 all)
만관
12,000
(4,000 all)
5翻 만관
12,000
(4,000 all)
6翻 하네만
18,000
(6,000 all)
7翻
8翻 배만
24,000
(8,000 all)
9翻
10翻
11翻 삼배만
36,000
(12,000 all)
12翻
13翻
이상
헤아림 역만
48,000
(16,000 all)

3.4. 子(자) 점수표

  • 괄호 밖은 론으로 받는 점수, 괄호 안은 쯔모로 받는 점수(자/부모).
  • 25부는 치또이쯔일 때만 해당.
  • 절상 만관을 적용하는 경우 기울어진 숫자 부분도 만관으로 한다.
<colbgcolor=#f5f5f5,#2d2f34> 20부 25부 30부 40부 50부 60부 70부 80부 90부 100부 110부
1翻 700
(-)
- 1,000
(300/
500)
1,300
(400/
700)
1,600
(400/
800)
2,000
(500/
1,000)
2,300
(600/
1,200)
2,600
(700/
1,300)
2,900
(800/
1,500)
3,200
(800/
1,600)
3,600
(-)
2翻 1,300
(400/
700)
1,600
(-)
2,000
(500/
1,000)
2,600
(700/
1,300)
3,200
(800/
1,600)
3,900
(1,000/
2,000)
4,500
(1,200/
2,300)
5,200
(1,300/
2,600)
5,800
(1,500/
2,900)
6,400
(1,600/
3,200)
7,100
(1,800/
3,600)
3翻 2,600
(700/
1,300)
3,200
(800/
1,600)
3,900
(1,000/
2,000)
5,200
(1,300/
2,600)
6,400
(1,600/
3,200)
7,700
(2,000/
3,900)
만관
8,000
(2,000, 4,000)
4翻 5,200
(1,300/
2,600)
6,400
(1,600/
3,200)
7,700
(2,000/
3,900)
만관
8,000
(2,000, 4,000)
5翻 만관
8,000
(2,000, 4,000)
6翻 하네만
12,000
(3,000, 6,000)
7翻
8翻 배만
16,000
(4,000, 8,000)
9翻
10翻
11翻 삼배만
24,000
(6,000, 12,000)
12翻
13翻
이상
헤아림 역만
32,000
(8,000, 16,000)

20부로 나는 경우는 핑후로 쯔모화료 할 경우와 '쿠이핑후'[24] 형태로 론 화료 할 경우이다. 20부 1판의 경우 쿠이핑후 형태를 20부 1판으로 인정하는 규칙이라면 저 점수대로 처리되며, 쿠이핑후 형태를 30부로 처리하는 규칙이라면 30부로 처리된다. 또 규칙에 따라서 최소 점수를 1,000점으로 여겨 화료를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반드시 규칙을 확인하자.

마작 점수 비교적 간단하게 외우는 법.(이글루스 아카이브) 점수 외우기가 힘들다면 한번쯤 보도록 하자.

주로 나오는 부수는 20부, 30부, 40부인데 이정도만 어느정도 알아둬도 빠른 계산이 가능하다. 우선 멘젠상태에서 핑후일때는 쯔모 20부, 론 30부이고, 핑후가 아닐때는 대부분 쯔모 30부, 론 40부이다. 멘젠이 깨진 상태라면 대부분 쯔모든 론이든 30부가 나온다. 물론 이는 확정적인 것이 아니기에 안커가 여러개 있거나 요구패를 안커로 들고있거나 깡을 치거나 하면 정확히 계산하여야 한다. 25부, 60부, 80부, 100부는 각각 -1판 50부, +1판 30부, +1판 40부, +1판 50부를 보면 되니 60부 이상도 굳이 알아둘거라면 일단은 70부, 90부, 110부부터 익혀두자.

3.4.1. 일본에서 점수를 간략하게 부르는 방법

  • 300・500점[25] - 고미(ゴミ) or 산본고혼(サンボンゴホン)
  • 400・700점[26] - 나시(ナシ)
  • 500・1000점[27] - 곳토(ゴットー) or 고톤(ゴトン)
  • 1300점 - 이치산(イチサン; 13)
  • 1500점 - 이치고(イチゴ; 15)
  • 1600점 - 이치로쿠(イチロク; 16)
  • 2300점 - 니산(ニーサン; 23)
  • 2400점 - 니욘(ニーヨン; 24)
  • 2600점 - 니로쿠(ニーロク;26)
  • 2900점 - 닛쿠(ニック; 29)
  • 3200점 - 산니(ザンニ; 32)
  • 3400점 - 산욘(サンヨン; 34)
  • 3900점 - 잔쿠(ザンク; 39)
  • 4500점 - 욘고(ヨンゴー; 45)
  • 4800점 - 욘파(ヨンパー, 48)
  • 5200점 - 보니(ボーニー;52)
  • 5800점 - 곳파(ゴッパー; 58)
  • 6400점 - 로쿠욘(ロクヨン; 64)
  • 6800점 - 로쿠파(ロクパー; 68)
  • 7700점 - 칫치(チッチ; 77) or 나나나나(ナナナナ; 77)
  • 9600점 - 쿤로쿠(クンロク; 96)
  • 11600점 - 핑핑로쿠(ピンピンロク; 116)
  • 12000점 - 완츠(ワンツー; 12)
  • 18000점 - 인파치(インパチ; 18)

대부분의 경우가 한국어로는 그렇게 길지 않지만 일본어로 점수를 그대로 읽으면 음이 길어지기 때문에[28] 십의 단위를 뺀 숫자만 읽은 것이다. 24000점 혹은 그 이상의 점수는 잘 안 나오기 때문에 그냥 숫자 그대로 부른다.

또한 일본 프리마장에서는 화료 후 일일이 역을 말하지 않고 점수만 위의 간편 읽기 방식으로 말하는 게 매너로 여겨진다는 모양이다. 친의 하네만 론 화료시 "론, 인파치입니다." 까지만 말하는 식. 자의 쯔모시에는 자-친 순서로 점수를 불러준다.[29] 예시로 만관 쯔모의 경우 2000-4000(니센욘센), 하네만 쯔모의 경우 3000-6000(산젠로쿠센). 친의 쯔모는 모두에게 동일한 점수를 받아오므로 xxxx 올(all)이라고 말하게 된다. 만관 쯔모시 4000 올(욘센오루) 같은 식.

프로경기에서는 이런 간편읽기 방식을 쓰지 않지만, 이 경우에도 역을 일일이 불러주지는 않는다.

3.5. 부수 점수가 계산되는 원리

만관 미만[30]인 경우 이 계산법을 따른다.
[math(X)]부 [math(Y)]판 → [math(X\times 2^{Y+2})]
가 기본점수가 되며 실제 받는 점수는 여기에 타가와의 부모-자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math(Z)]를 곱한 다음 10의 자리에서 올림한 것이 점수가 된다.
[math(X)]부 [math(Y)]판 → [math(X\times 2^{Y+2}\times\left(Z_1+Z_2+Z_3\right))], 10의 자리에서 올림
[math(Z_k:\text{親:子}=2, \text{子:子}=1)][31]
계산식을 보면 알겠지만, 부수를 반으로 줄이면 +1판이 된다. 반대로 부수를 2배로 늘리면 -1판한 것과 점수가 같다.[32]

자 30부 1판 론: 30*(2^3)*(2+1+1) = 960 → 1000
자신이 자이고 타가는 부모 한 명, 자 두 명이므로 X = (2+1+1) = 4
자 30부 1판 쯔모 :
자에게서 받는 점수 : 30*(2^3)*(1) = 240 → 300 (자 두 명에게서 각 300점씩 받는다.)
부모에게서 받는 점수 : 30*(2^3)*(2) = 480 → 500
따라서 300-500(총 1100점)

부모 30부 1판 론: 30*(2^3)*(2+2+2) = 1440 → 1500
부모 30부 1판 쯔모 : 30*(2^3)*(2) = 480 → 500 all (모두에게서 500점씩 받는다.) (총 1500점)

자 50부 3판 론 : 50*(2^5)*(2+1+1) = 6400
자 50부 3판 쯔모 :
자에게서 받는 점수 : 50*(2^5)*(1) = 1600 (자 두 명에게서 각 1600점씩 받는다.)
부모에게서 받는 점수 : 50*(2^5)*(2) = 3200
따라서 1600-3200(총 6400점)

부모 50부 3판 론 : 50*(2^5)*(2+2+2) = 9600
부모 50부 3판 쯔모 : 50*(2^5)*(2) = 3200 all (총 9600점)

10의 자리에서 올림을 하게 되므로 같은 역인데도 론和와 쯔모和 각 경우 점수가 달라지거나, '부모일 때는 자일 때의 1.5배'가 맞지 않는 부분도 생긴다.

예를 들어 30부 1판(기본점수 : 240점)의 경우
  • 부모인 상태에서 쯔모라면 세 대국자로부터 500(240*2=480을 올림)점씩을 받게 되어 총 1500점이고 론의 경우는 한 사람으로부터 1500(240*(2+2+2)=1440을 올림)점을 받는다.
  • 하지만 子인 상태에서 쯔모라면 子에게서 300점씩, 부모에게서 500점을 받게 되어 총 1100점인데 비해 론의 경우는 한 사람으로부터 1000점(240*(2+1+1)=960을 올림)을 받게 되어 약간 차이가 난다.

그리고 판수가 올라감에 따라 점수가 배로 늘어나면서 기본점수가 2000점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부수를 따지지 않으며 위에서대로 판수로만 계산해 만관, 하네만, 배만, 삼배만…이 된다.

여담으로 과거에는 만관이 최고 점수였으며 역만은 '단일로 만관이 되는 역'인 '역만관'의 준말이었다. 이후 점수체제가 바뀌면서 만관을 '뛰어넘는' 점수인 하네만 및 만관의 '2배'인 배만 등이 도입된 것이다.

3.6. 기타

만관이 되지 않으면서 가능한 최대 부수는 110부이다.[33]

역만역이 없는 선에서 가능한 최대 부수는 140부이며[34], 역만역도 무시하고 부수만 생각한다면 170부 까지[35] 가능하다. 물론 정말 만들면 부수는 말할것도 없고 판수도 사실상 어지간하면 카조에역만 내지는 역만역이라 부수 계산의 의미가 없긴 하다. 하지만 아오텐조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아래 케이스는 부수 계산할 때 보통과는 다른 결과가 나오는 케이스이다.
파일:4m.svg파일:5m.svg파일:6m.svg파일:6m.svg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파일:5s.svg파일:6s.svg파일:7s.svg파일:7z.svg파일:7z.svg파일:7z.svg 도라 파일:5s.svg
대기패는 파일:3m.svg 혹은 파일:6m.svg이다. 만약 다마텐[36]으로 3만을 쯔모했다면 중 1판+멘젠쯔모 1판+도라(5삭) 2판=4판, 기본 20부+쯔모 2부+요구패(중) 안커 8부=30부이므로 4판 30부가 된다. 하지만 6만을 쯔모했다면 여기서는 3만과 6만 양면 대기가 아니라 점수가 높은 6만 단기 대기로 해석해서 2부가 추가되고, 32부가 되어 4판 40부[37]로 만관이 된다.
파일:4m.svg파일:5m.svg파일:6m.svg파일:3s.svg파일:3s.svg파일:4s.svg파일:4s.svg파일:5s.svg파일:6s.svg파일:6s.svg파일:4p.svg파일:5p.svg파일:6p.svg 도라 파일:3s.svg
대기패는 파일:2s.svg 혹은 파일:5s.svg이다. 리치를 걸지 않고 멘젠 상태에서 2삭으로 오를 때 쯔모로 오른다면 멘젠쯔모 1판+핑후 1판+탕야오 1판 +도라(3삭) 2판=5판 만관[38], 론으로 오르면 핑후+탕야오+도라 2=4판에 기본 20부+멘젠 론 10부=30부이므로 4판 30부[39]가 된다. 그런데 5삭으로 오를 경우에는 핑후가 인정되지 않는다. 6삭 머리와 345삭 몸통으로 이페코+핑후를 만들기 위한 양면 대기가 아니라 3삭 머리와 456삭 몸통으로 이페코+2판역 삼색동순을 만들기 위한 5삭 간짱 대기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멘젠쯔모 1판+탕야오 1판+이페코(4,5,6삭의 이페코) 1판+삼색동순 2판+도라 2판=7판 하네만이 된다. 리치를 걸었다면 쯔모 시 8판 배만, 론오름 시 7판 하네만이 된다.
파일:1s.svg파일:1s.svg파일:1s.svg파일:2s.svg파일:2s.svg파일:2s.svg파일:3s.svg파일:3s.svg파일:3s.svg파일:7s.svg파일:8s.svg파일:9s.svg파일:9s.svg 도라 파일:1m.svg
마작을 한평생 쳐야 볼 수 있는 패이다
대기패는 파일:6s.svg 혹은 파일:9s.svg이다. 이 정도의 패에서는 거의 무조건 다마를 타므로[40], 다마의 경우만 생각하자. 다마텐으로 6삭을 쏘는 경우에는 청일색+삼암각으로 해석하는 경우와 핑후+이페코(123123123이므로 같은 슌쯔가 3개일 때도 당연히 이페코가 붙는다.)로 해석하는 경우 둘 다 8판 배만이다. 의미없겠지만 이런 경우에는 부수가 높은 청일색 삼암각으로 해석한다. 9삭을 쏘는 경우에는 청일색+삼암각으로 보면 8판이지만[41], 청일색+핑후+이페코+준짱으로 보면 11판이므로 이는 청일 핑후 이페코 준짱 삼배만이 된다.

3.6.1. 성립이 불가능한 부수

3.6.1.1. 25부 2판 쯔모, 25부 1판
25부로 나는 경우는 치또이츠 뿐이며, 기본 2판이다. 여기에 쯔모를 하게 되면 멘젠쯔모로 한 판이 더 붙는다. 즉 쯔모시 최소 25부 3판, 론오름시 최소 25부 2판이다.

다만 동방환상마작동방환상마작 3rdGeneration에선 타가 화료시 강제로 2판 깎는 스킬이 존재하여 25부 1판도 목격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110부 1판 쯔모도 목격할 수 있다.

혹 어플에서는 親 400, 子 200-500로 계산한다 카더라.
3.6.1.2. 20부 1판 쯔모
20부로 나는 경우는 핑후가 성립하는 손패를 쯔모화료하는 경우 뿐이며, 이때는 멘젠쯔모와 핑후가 각각 1판씩 붙어 최소 2판이 된다.

핑후 이외의 형태의 쯔모로 오르면 멘젠이든 아니든 기본적으로 +2부가 되기 때문에 최소 30부가 된다. 또한 핑후를 론으로 화료하면 멘젠 론에 대한 +10부가 주어지므로 30부가 된다.

예외적으로 '쿠이핑'이라는 특수한 형태가 있는데, 핑후의 형태를 취한 손패이지만 멘젠을 깬 경우이다. 이 경우 가부라는 요소를 통해 30부로 절상하여 계산하는 게 일반적인 룰이다. 물론 쿠이핑 자체는 역이 아니므로 화료를 위해서는 다른 역(탕야오 등)을 필요로 한다.
3.6.1.3. 110부 1판 쯔모, 120부 이상 2판 이하
간단하게 말하면, 멘젠론 이외에는 일어날 수 없는 케이스라서 그렇다.

이 110부 1판이라는 게 마작에서 정말 말도 안 되게 어려운 경우 중 한 가지인데, 그야말로 가능한 모든 부수를 끌어모아야 하기 때문이다.

유일하게 110부 1판을 찍을 수 있는 케이스는 다음과 같다.

1) 2개의 요구패 안깡, 이걸로 32 * 2 = 64부[42]
2) 슌쯔는 반드시 한 개가 있어야 한다.[43]
3) 연풍패와 다른 요구패의 쌍봉 대기, 그것도 연풍패가 아닌 요구패로 쏴야 한다.[44]사실상 단기 대기다 이걸로 연풍패 +4부, 요구패 밍커[45] +4부
파일:1m.svg파일:1m.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4p.svg파일:5p.svg파일:6p.svg파일:1x.svg파일:9p.svg파일:9p.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9s.svg파일:9s.svg파일:1x.svg

동장 동가에서 리치, 이후 파일:1m.svg 론.

이렇게 되면 기본 20부 + 멘젠론 10부 + 요구패 안깡 2개로 64부 + 요구패 밍커 4부 + 연풍패 4부 = 102부, 올리면 110부가 된다. 이렇기 때문에 쯔모로는 절대 날 수 없고, 괄호가 빌 수밖에 없는 것. 또한 110부가 최대이므로 120부 이상 1판 역시 불가능하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상당히 많다.
  1. 요구패 안깡이 아니면 한개당 16부씩 떨어진다. 하나가 요구패 밍깡만 되어도 86부로 크게 떨어진다.
  2. 멘젠 론이 아니면 10부가 떨어진다. 따라서 울 수도 없다.
  3. 그렇다고 깡을 하나 더 치면 산깡쯔가 되어 판수가 2판 올라가 만관.
  4. 전부 다 커쯔라면 돌돌이(2판)가 되므로 반드시 슌쯔가 하나 있어야 한다.
  5. 그렇다고 123, 789의 슌쯔를 가지면 필연적으로 찬타(2판)가 된다.
  6. 최소 2종류 이상의 수패를 준비할 것, 그렇지 않으면 혼일색(3판)이 되어 최소 만관이 된다.
  7. 머리가 연풍패가 아니라면 부수가 최소 2부 깎이는데, 102부에서 조금이라도 깎이는 순간 100부가 되어 버린다.
  8. 가능한 경우가 리치 1판 혹은 삼원패 1판 혹은 하이테이론(하저로어) 1판으로 날 수밖에 없다.[46]
  9. 삼원패 없이 리치를 했다면 요구패가 먼저 버려지기를 기다려야 한다. 연풍패가 먼저 버려지면 놓치는 순간 후리텐이 되기 때문.
  10. 일발로 쏘면 일발 1판이 붙어 2판이 된다. 일발에는 오히려 요구패가 버려지지 않길 기대해야 한다.
  11. 연풍패를 쏴서 밍커로 만들면 연풍패 2판이 또 붙어 버린다. 기껏 하던 것까지 생각하면 만관.
  12. 쯔모로 나면 멘젠쯔모(1판), 산안커(2판)까지 붙어 또 만관이 된다.
  13. 리치를 걸은 상태라면 하저로어도 피해야한다.
  14. 도라가 붙지 않도록 주의, 도라가 붙으면 최소 2판이 된다. 기껏 깡을 쳤는데 그게 깡도라인 경우는 그냥 포기하고 역만을 노리는 게 더 낫다. 기껏 리치 하나만으로 110부 1판 났다 싶었는데 뒷도라가 붙으면 낭패.
  15. 이상의 주의점을 모두 통과(?)하면 친이면 5300점, 자면 3600점. 난이도대비 점수가 너무 적은 느낌이 들어도 그게 정상이다

안 그래도 70부 2판도 역만 이상으로 희귀(1000번에 1번 미만 꼴)인데, 110부 1판은 위의 조건들 때문에 천화 급의 운이 따라야만 한다. 여기에 쌍봉대기일 경우 오름패가 최대 4개 밖에 남지 않는데다 위험패가 될 게 빤히 보이므로 쏘기가 상당히 어렵다.
사키 -Saki-미야나가 사키가 나가노 현 결승 후반전 남2국에서 110부 1판을 보여주었다.역패(발) 110부 1판
110부 2판을 성공한 사람이 있다.산깡즈 110부 2판
파일:1z.svg파일:4p.svg파일:5p.svg파일:6p.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1x.svg파일:9p.svg파일:9p.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9s.svg파일:9s.svg파일:1x.svg
동장 동가에서 파일:1z.svg 쯔모

위의 쌍봉대기를 연풍 동의 단기와 1만 밍깡으로 바꾼 것. 이래도 기본 20부 + 요구패 안깡 2개 64부 + 요구패 밍깡 16부(여기서 삼깡쯔 확정) + 연풍패 4부 + 단기 2부 + 쯔모 2부로 108부 밖에 되지 않는다. 결국 어떻게 해도 2판 이내로는 110부가 한계.

4. 아오텐조(靑天井, 청천정) 계산법

아오텐조의 핵심은 판수에 제한이 없으며 만관 이상에도 부판계산식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로컬규칙이 난무하는 마작 특성상 그 이외의 규칙은 정하기 나름이며, 애시당초 아오텐조 규칙 자체가 정식 규칙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마다 취급하는 방법이 다르다. 역만의 경우 13판으로 계산하는 케이스와 일괄 친 1500만 점 / 자 1000만 점으로 계산하는 케이스가 있으며, 전자의 경우 국사무쌍을 치토이츠에 준하여 13판 25부로 계산하는 케이스와 13판 30부로 계산하는 케이스가 있고, 완전 하위 역을 배제하는 경우와 완전 하위 역까지 포함하는 경우 등 다양한 규칙이 있으니 결국 정하기 나름. 나코니코 대백과에 따르면 완전 하위역을 배제하는 경우는 해당 역을 화료하였을 경우 100% 성립할 수밖에 없는 역을 배제하는 것이다. 양배구 - 이배구의 관계[47]나 사암각 - 삼암각[48]의 경우, 혹은 청일색 - 혼일색[49]의 경우가 그러하다. 다시 말해 위 역들은 서로 복합하지 않는다.

이 규칙을 적용할 경우 4판 40부 이상의 경우에서 정상적인 게임이 불가능해질 정도로 점수가 높아지므로 일반적인 마작장에서는 채택하지 않는 것이 정상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자(子)의 혼일색 중 도라 3이라는 평범한 패의 경우는 통상의 부판계산법이라면 6판 하네만 12000점이라는 평범한 점수에 불과하겠지만, 아오텐조 규칙에서는 30,800점이라는 역만에 준하는 전혀 평범하지 않은 점수를 얻는다.[50] 이런 식으로 기본점수를 상회하는 점수들이 횡행하므로 정상적인 게임은 일단 불가능하고, 적어도 기본점수를 크게 늘리거나 토비 규칙을 없애는 등의 조정이 필요하다. 배만이나 삼배만급으로 가면 만"따위"는 우습고 억이나 조단위까지 가며, n배역만쯤 가면 경단위 혹은 그 이상으로 간다! 이후 예시에선 살면서 들을일 없을 단위까지도 가니 두말하면 잔소리. 일반적인 부판계산법에서의 역만이 "따위"로 보일 수준이다.
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파일:5m.svg파일:5m.svg파일:6m.svg파일:t2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7z.svg파일:t7z.svg파일:7z.svg파일:7m.svg
도라표시패 파일:6z.svg

이제 아오텐조가 어느 정도까지 가는지 예시를 보자.
파일:1x.svg파일:2s.svg파일:2s.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3s.svg파일:3s.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6s.svg파일:6s.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8s.svg파일:8s.svg파일:1x.svg파일:4s.svg  대기패 파일:4s.svg
도라표시패  파일:1s.svg파일:1s.svg파일:1s.svg파일:1s.svg파일:7s.svg 우라도라표시패 파일:5s.svg파일:5s.svg파일:5s.svg파일:5s.svg파일:7s.svg

일반적인 부판계산법에서는 소위 6배 역만[51]이 192,000점이라는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친이라면 살짝 더 높은 288,000점(32000×1.5×6)이 최고점일 것이다. 이정도만 되어도 이미 판을 끝내고도 남을 점수[52]인데 아오텐조 규칙에서는 이 6배 역만보다도 훨씬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위 패를 리치 일발쯔모[53], 쯔모패가 해저패였을 경우 103판 90부[54] 오야기준 219구 500양 2371자 9438해 405경 7863조 313억 8889만 7400점[55]을 받게 된다. 역만에도 도라를 복합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가능한 것.[56]

일본의 마작 스레드에서는 '아오텐조에서 가능한 최고 점수가 몇 점이냐?' 라는 떡밥이 가끔씩 올라온다. 그러나 연장점수가 있으므로 의미가 없다는 얘기가 꼭 등장한다(...). 가령 연장점수 1500점인 규칙에서 연장 1억 번을 하면 1500억점을 추가로 얻는다. 연장을 1억 번이나 하는게 말이 되느냐는 반론도 날아오는데 흔히 말하는 스캉츠 대삼원 도라20(...)부터가 이미 현실성이 없다. 그래서인지 '연장점수 없이 이야기하자!' 라는 단서가 붙는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보통 팔연장을 자주 언급한다는 것이 특징. 만약 위 패에 8연장이 복합되면 점수는 더욱 천정부지로 뛸 것이다.[57] 참고로 동방환상마작에서는 8연장을 다른 역만과 복합시키지 않는다.

점수봉으로는 도저히 플레이가 불가능하고, 그냥 계산기와 종이를 가져다 두고 아오텐조 규칙을 사용한다면 그나마 체험이라도 해 볼 수 있지만 일단 계산이 무척이나 귀찮아 현실적으로는 플레이하기 힘들다(...). 역전이 힘들어 부판계산법과는 전략이 전혀 다르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사실 역만 오른 후 굳히면 부판계산법에서도 역전이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한 건 똑같고(...). 전략이 달라지는 이유는 4판 50부부터 점수가 지수적으로 폭증하기 때문이다. 만관 미만 점수, 즉 일반적인 마작에서 사용되는 리탕핑 같은 것은 거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게임의 진행 자체가 판이해지는 것. 이걸 극단적으로 비튼 것이 이능력 개그마작배틀만화인 헛쯔모없는 개혁의 그 짤방이다.

여담이지만 한국마작에서는 판수 무한이 있으니 아오텐조 따위는 아무것도 아니다.[58]

4.1. 매체에서의 모습

  • 동방환상마작 : 기본 500만, 반환 500만점인 규칙과 실점 없이 기본 0점인 규칙[59]이 있다. 친 60억 점 / 자 40억 점이면 카운터 스톱이 된다.
    • 동방환상마작 3rdGeneration, 동방환상마작4 5억점 시작, 5억점 반환. 거기다가 자패마다 적도라가 하나씩 있다.
    • 동방환상마작(2020) : 천계와 작열지옥 탁자에서 아오텐조 룰을 적용. 각각 1000만점 시작, 1000만점 반환이며 작열지옥 탁자는 적도라가 자패에 1장씩 존재한다. 덧붙여 역만은 13판으로 취급. 본 작품에서의 카운터 스톱은 4억 점이다. 다만 리치봉과 연장봉 등으로 가산되는 점수는 칸스토 점수와 따로 취급된다.
  • 이타다키 쟝가리안 R : 우주 마작 문서 참고.
  • 심플2000시리즈 마작게임 : 시작 점수를 바꿀 수 없다. 즉, 만관 가는 순간 원턴킬.
  • 동패 : 아오텐조의 점수계산이 너무 복잡하다는 이유로 부×판×1만엔으로 계산, 도지마가 96부-45판으로 화료하여 4,320만엔이 되었다. 이때의 점수는 84,442,493,013,196,800(8경 4442조 4930억 1319만 6800). 스안커에 츠모와 산안커, 대대화까지 복합시키는 방식. 그러나 이런 식으로 복합된 점수를 빼도 충분히 사기적이다.[60]
  • 헛쯔모없는 개혁 : 고이즈미 준이치로블라디미르 푸틴과의 마작에서 이 규칙을 채용, 천지창세 -비기닝 오브 더 코스모스- 라는 필살기를 쓰는데 실체는 백패 4번 깡+ 손패가 모두 백패백일색로, 무려 쓰깡쯔 13판 + 자일색 13판 + 삼안커 2판 + 영상개화 1판 + 백 4판 + 도라 72판[61] = 105판 이라는 흠좀무한 수준의 역이다. 패가 전부 다 백패인건 굉맹패(轟盲牌)[62]라는 기술을 썼기 때문. 점수는 90,865,195,024,359,483,499,283,685,761,351,700(908구 6519양 5024자 3594해 8349경 9283조 6857억 6135만 1700) 물론 굉맹패라는 사기를 치지 않으면 만들수 없는 역이다.
  • 도쿄 게임 : 근대마작에서 연재되는 SF 마작 만화(?!)인데, 주인공이 리치 해저 소삼원 혼로두 대대화 삼암각 삼깡츠 남 도라32, 3,783,023,686,991,216,600(378경 3023조 6869억 9121만 6600점)으로 승리한다.
  • 마작 파이트 걸: 2024년 만우절 기념으로 궁극의 아오텐조! 불꽃의 암흑 멘탕핑 갤럭시라는 3인 이벤트 대탁이 있었다. 집계된 단일 최고 화료는 자일색 대사희 대대화 더블 남 도라350부 46판으로, 점수는 84,442,493,013,196,800점(8경 4442조 4930억 1319만 6800점)


[1] 1,100점[2] 3,000점[3] 4,000점[4] 6,000점[5] 절상만관(切上滿貫) 규칙을 적용할 경우 만관으로 취급해 자(子) 8,000점, 친(親) 12,000점이다.[6] 7,900점[7] 11,700점[8] 화료/대기/머리 부수 미적용[9] 다면대기(2면대기 이상)이면 대부분 +0부이지만, 어디를 머리로 보고, 어디를 몸통으로 보느냐에 따라, 부수가 붙는 대기를 만들 수 있다면 그쪽으로 인정한다.[10] 몸통 3개가 완성된 상태에서 머리가 2개가 있을 때[11] 대기하고 있는 2개의 머리 중 만들어진 몸통을 아래 몸통부수로 대신하며, 론인 경우 밍커, 쯔모인 경우 안커로 취급한다.[12] 12, 89 등 끝자리 패로 3, 7을 대기하고 있어 패가 한쪽밖에 없는 경우.[13] 2,4 를 가지고 3을 대기하는 등 사이(間)의 숫자를 노리는 경우. 간짱의 '간'의 한자는 사이 간(間)자가 아니긴 하지만, 이렇게 이해하면 외우기 쉽다.[14] 몸통 3개가 완성된 상태에서 2345처럼 연속된 패가 남아있는 경우인 노베탄이 여기에 해당한다. 예시에서 머리를 만들기 위한 대기패는 2와 5로, 양면대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2/345 또는 234/5 로 보면 각각 2 단기와 5 단기가 겹쳐진 것으로, 단기대기로 판정한다.[15] 커쯔로 만들면 1판이 되는 머리[16] 자 기준 8000점.(즉 기본점수 2000) 이때문에 부판계산시 8000점이 넘어간다면 3판이나 4판이어도 부수에 따라 만관으로 간주한다고 봐도 된다. 점수계산 시 사용하는 부수를 반으로 나누면 +1판, 2배로 곱하면 -1판을 응용해보면 5판 20부 = 4판 40부 = 3판 80부라서 만관으로 간주한다고 보면 된다. 3판의 경우는 계산 과정에서의 올림 처리 때문에 70부부터인 거라고 생각하자.[17] 자 기준 12000점[18] 자 기준 16000점[19] 자 기준 24000점[20] 자 기준 32000점. 헤아림 역만도 어떻게 보면 하네만 배만 삼배만처럼 판수에 따라 만관의 n배 점수를 받는 것이므로 사배만(四倍滿)이라 하기도 한다. 근데 판수는 만관의 4배가 아니다[21] 일본어 그대로 읽어서 카조에 역만, 또는 판수 역만 이라고 하기도 한다.[22] 유국으로 선이 넘어가거나 선이 연장을 했을 경우 증가. 도중유국의 경우는 정하기 나름이다.[23] 즉 연장 추가점은 [math(N)]본장일때 [math(+ 300\times N)]이다.[24] 핑후 형태지만 울어서 멘젠이 아닌 것.[25] 쯔모 300-500, 즉 30부 1판.[26] 쯔모 400-700, 즉 40부 1판 또는 20부 2판[27] 쯔모 500-1000, 즉 60부 1판 또는 30부 2판[28] 11600의 경우, 일본어 그대로 읽으면 이치만센롯퍄쿠(いちまんせんろっぴゃく)다.[29] 간혹 거꾸로 말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으나, 둘중 점수가 큰 쪽이 친, 작은 쪽이 자의 지불점수인건 변함이 없다.[30] 1판, 2판, 60부 이하의 3판, 30부 이하의 4판[31] 단순히 총 점수만 알고싶다면 Z를 곱하는 걸 "자신이 자(子)라면 ×4, 부모(親)라면 ×6" 으로 계산해도 된다. 다만 올림 과정에서 실제 점수와 약간의 차이가 생길 수는 있다.[32] 점수표에서 자주 써먹게 된다. 특히 n판 25부인 치또이의 점수를 계산할때, (n-1)판 50부를 보는 식.[33] 요구패 안깡 2개 + 요구패 밍깡 1개 + 슌쯔 1개 + 연풍패 단기 쯔모시 20+64+16+0+4+2+2=108, 올림해서 2판(산깡쯔) 110부가 한계이다. 물론 몸통에 역패가 없어야 한다. 그리고 2판 110부는 겨우(?) 7100점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걸 한 사람이 있다. 연풍패가 아닌 수패 단기대기로 20+32+32+16+2로 102부->110부지만.[34] 요구패 안깡 3개 + 요구패 밍커 1개 + 연풍패 또이쯔 + 샤보 대기 + 멘젠 론 시 20+96+4+4+0+10=134, 올림해서 140부 8판(산깡쯔+산안커+대대화+혼노두)+a가 한계. 물론 역패는 최대 2가지만 가능하고, 풍패도 3가지까지만 가능하다. 한종류 더 있으면 각각 대삼원, 소/대사희 확정이기 때문[35] 요구패 안깡 4개 + 연풍패 단기 론화료시 20+128+4+2+10=164, 올림해서 170부(...)이며, 쓰깡쯔+쓰안커 단기 2배 or 3배역만 확정. (같은 조건에서 쯔모 화료시엔 160부) 되긴하냐[36] 텐파이는 했지만 리치를 걸지 않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텐파이 되자마자 리치를 거는 건 텐즉리(파이 치)라고 부른다.[37] 부수는 1의 자리가 0이 아니면 무조건 올림해서 계산한다.[38] 5판부터는 부수를 계산하지 않는다.[39] 친 11600점, 자 7700점[40] 물론 리치를 거는 경우도 있다. 초보자의 텐즉리거나, 론은 포기하고 쯔모화료나 유국시 텐값을 노리면서 타가의 수비를 강요하려고 일부러 거는 것. 물론 운좋게 얻어걸려서 쏠 때도 있다[41] 이때 로컬역 삼련각(멘젠 2판, 후로시 1판)을 쳐줘도 10판으로 8~10판 구간은 똑같이 배만이라 얻는 점수는 똑같다. 하지만 아오텐조라면 애기가 다르긴 하다[42] 종류가 뭐가되던 깡을 한번 더 치면, 삼공자라는 역이 생긴다.[43] 없으면 모든 몸통이 커쯔가 되어 대대화라는 역이 생긴다.[44] 연풍패를 쏘면 2판이 붙는다.[45] 론으로 쏜 패가 커쯔가 되는 패일경우 밍커 취급한다.[46] 해저로월은 불가능하다. 해저로월 + 멘젠쯔모라 2판이 되기 때문.[47] 량페코=이페코 ×2[48] 사암각=삼암각 + 안커 1개 더[49] 혼일색 - 자패 = 청일색[50] 자의 역만은 32,000점이다.[51] 사암각 단기 + 스캉쯔 대사희 자일색 등등[52] 일반적인 규칙에선 보통 시작점 25000점 반환점 30000점이다. 4명의 시작점을 다 합쳐도 10만점이다. 누가 어떻게 나든지 최소 한명은 무조건 점수가 마이너스로 간다.[53] 더블리치 쯔모는 불가능하다. 청일색 형태 특성상 깡을 치게 되면 대기 형태가 바뀔뿐더러 깡을 치고 리치를 건다해도 그건 더블리치가 아니고 그냥 리치다. 또한 리치 후 깡은 대기패가 바뀌지 않을 때만 가능하다.[54] 녹일색13 + 스안커 단기26 + 스깡쯔13 + 청일색6 + 리치1 + 일발1 + 쯔모1 + 해저로월1 + 탕야오1 + 도라40.[55] 만 억 조 등의 단위를 안붙이고 숫자만 적으면 이렇게 된다: 21,905,002,371,943,804,057,863,031,388,897,400점.[56] 반대로 6배역만은 풍패 16장을 전부 자신이 쓰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도라가 부족해진다. 천화/지화 복합인 경우에는 6배역만 + 도라3의 81판 60부로 오야기준 3481자 7063해 6049경 132조 231억 5378만 6900점이며, 스깡쯔 복합인 경우에는 6배역만 + 리치일발(또는 더블리치) + 쯔모 + 해저로월(또는 영상개화) + 도라8로 90판 140부가 한계다. 이 경우의 점수는 오야기준 415양 9478자 5319해 9887경 7723조 6610억 5739만 2700점으로, 앞서말한 103판 90부짜리 예시와 비교하면 약 5266배 차이난다. 단위를 안붙이고 숫자만 쓰면 이렇게 된다: 4,159,478,531,998,877,723,661,057,392,700점.[57] 103판 90부 + 13판으로 116판 90부에 8본장을 연장점수 1500점 규칙으로 해서 추가점수 12000점까지 합쳐서 계산해보자. 연장점수만 해도 이미 친만이지만 곧 나올 결과에 비하면 새발의 피다 오야 기준 179간 4457구 7943양 963자 6428해 4201경 3953조 1378억 4652만 9800점이라는 희대의 정신나간 점수가 나온다. 단위를 생략하고 숫자만 적으면 더 어지러워진다. 179,445,779,430,963,642,842,013,953,137,846,529,800점이다. 13판 늘었는데 점수는 8000배가 넘게 뛰었다.[58] 판수 무한인 순정구련보등이 뜨면 게임이 끝나버린다.[59] 화료한 사람만 점수가 올라가고 타가는 점수가 깎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론으로 2배 점수차를 극복하는 게 불가능하다.[60] 일본에서는 바조로/방방이라 하여 기본판수 2판을 더한다. 따라서 역만은 원래 15판. 이것과 착각한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역만을 15판으로 계산한 것인지는 직접 작품을 본 사람이 수정해주길 바란다.[61] 도라표시패 5개 중 4개가 중(하나는 1통), 깡을 4번 쳐서 총패 18매(16+손패2). 이 18매 전부 도라가 4번 붙어 18 × 4 = 도라 72(...)[62] 손가락으로 패를 갈아서 백패로 만든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