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0:13:28

레포브


영화 평가 플랫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Allociné_Logo_(2019).svg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파일:애니플러스 로고.svg 파일:CGV 로고.svg 파일:cinemascore-logo.png 파일:크런치롤 로고.svg
파일:더우반 로고.svg 파일:Filmarks 로고.svg 파일:갤럭시 시네마 로고.png 파일:구글 TV 로고.svg 파일:ign_logo.png파일:IGN 레드 화이트 로고.png
파일:IMDb 로고.svg 파일:JustWatch-logo.png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파일:라프텔 로고.svg
파일:Letterboxd 로고.svg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한글 색상.svg 파일:메가박스 로고.svg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MRQE|
MRQE
]]
파일:MyAnimeList 로고.svg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파일:MyDramaList_logo.png 파일:mymovies 로고.png 파일:네이버 로고.svg
파일:파리부 시네브르스 로고.png 파일:라쿠텐 비키 로고.svg 파일:레포브 로고 화이트.svg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파일:TMDB 로고.svg
파일:UGC 로고.png 파일:왓챠피디아 로고.svg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듀나의 영화낙서판 로고.jpg 파일:한국영상자료원 심볼.svg 파일:reRE_Logo_1000.png }}}}}}}}}
<colbgcolor=#14151E><colcolor=#fff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4151E> 파일:레포브 로고 화이트.svg주식회사 킬로
KILO Inc.
}}}
정식명칭 레포브(repov)
설립일 2021년 11월 1일 ([age(2021-11-01)]주년)
출시일 2024년 6월 1일 ([dday(2024-06-21)]일, [age(2024-06-21)]주년)
대표 오형준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소기업
업종명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이메일 [email protected]
주소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31길 21
(공덕동, 서울창업허브 310호)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리틀리 아이콘.png | 파일:사람인로고2.pn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리틀리 아이콘.pn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1. 개요2. 특징
2.1. 다양한 카테고리2.2. 여러 기록 항목과 시각화2.3. 위시리스트 및 컬렉션2.4. 사용자 간 공유 및 피드

1. 개요

파일:레포브이미지.webp
한국의 리뷰 기록 서비스. 영화, 책, 음악, 맛집, 일상 등 총 40가지의 카테고리를 자유롭게 기록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다. 2024년 6월 출시되었다. 다른 서비스와 다르게 다양한 카테고리를 한 곳에서 기록 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심지어는 사람에 대한 리뷰도 남길 수 있다

한국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사 킬로가 운영한다.

2. 특징

2.1. 다양한 카테고리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카테고리는 40개 이상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을 직접 생성하여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공되는 카테고리 현황은 다음과 같다. 사실상 현존하는 모든 카테고리에 대해 기록 할 수 있다. 주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 문화 : 콘서트, 전시, 축제, 연극 / 뮤지컬, 스포츠 경기, 클래식 공연, 무용 / 발레, 기타 문화
  • 콘텐츠 : 영화 / TV, , 음악, 게임, 강의, 웹툰, 웹소설, 웹 콘텐츠, 기타 콘텐츠
  • 장소 : 음식점, 카페, 술집, 여행지, 공공 시설, 공원 / 자연, 기타 장소, 놀이공원, 문화 시설, 병원 / 약국, 부동산, 뷰티샵, 상점, 생활 시설, 숙박 시설, 종교 시설, 주거 시설, 지역, 학교, 헬스장 / 스포츠 시설
  • 음식 : 술, 음식 / 메뉴, 레시피 / 요리, 음료, 영양제, 기타 음식
  • 상품 : 뷰티, 차, 패션, 취미, 문구, 유아동, 전자제품, 가구 / 인테리어, 리빙, 기타 제품
  • 기타 : 앱 / 웹 서비스, 사전적 정의, 일상, 공부, 브랜드, 사람, 운동, 기타

새로운 카테고리를 제안 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카테고리가 추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 여러 기록 항목과 시각화

다양한 카테고리에 대해 간단한 별점이나 메모 외에도 사진, 링크, 인용구, 장단점, 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 기록이 가능하다.
특히 영화나 TV의 경우 다양한 포스터를 쉽게 불러올 수 있고, 이미지 검색을 통해 쉽게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어 쉽게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에서만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긴 글을 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작성된 기록은 "캘린더", "평점", "타임라인", "갤러리", "지도" 등 다양한 형태로 정리 및 열람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화 기능을 통해 일상의 흐름 속에서 기록을 되돌아보기 쉽도록 설계되어 있다.

2.3. 위시리스트 및 컬렉션

가고 싶거나 보고 싶은 대상에 대해서 위시리스트에 추가하는 기능과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기록을 묶는 컬렉션 기능도 지원된다. 예를 들어 "발리 여행 맛집 리스트", "인생 영화 모음" 등의 컬렉션을 만들 수 있으며, 공유 가능한 링크도 자동 생성된다. 다른 이들의 컬렉션이나 기록을 위시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2.4. 사용자 간 공유 및 피드

기록된 항목들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팔로우/팔로잉 방식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팔로우 한 사용자의 새 기록을 알림으로 받아볼 수 있다.

다른 SNS와 다르게 기록과 계정의 공개범위를 디테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개인 기록이 많이 올라오는 특성으로 인한 기능 구현으로 보인다.
  • 계정 : 공개 / 비공개
  • 기록 : 공개 / 비공개 / 팔로우 공개 / 친한 친구 공개

또한 다른 사용자의 공개 기록을 피드에서 볼 수 있다. 컬렉션, 전체, 팔로잉으로 나뉘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