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상호의 모티브가 된 책인 소홍서}}}에 대한 내용은 [[마오쩌둥 어록]]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오쩌둥 어록#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오쩌둥 어록#|]]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상호의 모티브가 된 책인 소홍서: }}}[[마오쩌둥 어록]]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오쩌둥 어록#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오쩌둥 어록#|]]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사진 중심 마이크로 블로그 | |||||
| <nopad> 서비스 종료 · 텍스트 중심 · Q&A 기반 · 학교 | |||||
| <colbgcolor=#ff2842><colcolor=#fff> 샤오홍슈[1] 小红书|Xiaohongshu / REDnote |
| | |
| 유형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 |
| 국가 | |
| 언어 | 중국어 |
| 설립 | 2013년 8월 2일 ([age(2013-08-02)]주년) |
| 창립자 | 마오원차오(毛文超), 취팡(瞿芳) |
| 회원가입 | 필수 |
| MAU | 약 3억 5천만명 (2025년 기준) |
| 슬로건 | 你的生活兴趣社区 (당신의 라이프스타일 커뮤니티) |
| 링크 | |
1. 개요
| |
2013년 설립된 중국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국판 인스타그램으로 통한다. 2019년 회원수 3억 명을 돌파했다. 샤오홍슈(red note)는 마오쩌둥 어록을 뜻한다.
2. 역사
원래 이 앱은 공동창업자인 마오원차오, 취팡이 중국인의 상품과 여행 후기 플랫폼으로 2013년 8월에 출시한 것이다. 그러다 2014년 12월에 '福利社(복리사)'라는 자체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만들면서 사업 영역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2015년에는 선전시, 광둥성 등에 물류 창고를 만들면서 몸집을 불리는 듯 싶었지만 2018년부터 자체 유통 대신 다른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사업 방향을 바꾸었다. 중국은 정부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대부분의 서방 IT 플랫폼을 차단하기 때문에 내수용 앱이 성장하기에 용이한 환경이다. 샤오홍슈 역시 그 수혜를 받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고, 2018년 6월에는 알리바바 그룹으로부터 미화 3억 달러에 해당하는 거액을 투자받았다.2.1. 2025년 미국 이용자 증가
2025년 1월 TikTok의 미국 시장 퇴출 결정 이후 미국 사용자들이 미국 행정부에 대한 반발심으로 또 다른 중국 앱인 샤오홍슈에 단체로 이주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앱스토어에서 랭킹 1위를 기록했다.[2] 심지어 이 영향 때문인지 듀오링고의 중국어 학습자 수도 전년 대비 200% 이상 늘었다#. 미국 쪽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칭은 RedNote(레드노트).글로벌 서비스와 중국 서비스가 나누어진 틱톡과 달리, 샤오홍슈는 글로벌 유저와 중국 유저가 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시스템이기에 원 사용층인 중국 유저들은 자고 일어나니 갑자기 사방이 영어로 가득찼다며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다.
2025년 1월 19일 게시물, 댓글 번역 기능이 생겼다.
3. 주 이용층
인스타그램과 유사하게 '90后 95后'(1990년, 1995년 이후 출생자) 세대가 주로 이용한다. 2021년까진 여성 이용자가 90%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인 여초였으나 2021년 8월에 회사가 남성 이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남성향 콘텐츠를 만드는 인플루언서들을 기용하면서 2022년부터는 성비가 7:3으로 완만한 여초 플랫폼으로 바뀌었다.[3]2025년 1월 기준으로 18~24세가 40%, 25~34세가 35%, 35~44세가 15%, 45세 이상이 10%를 차지한다.# 이용자의 국적으로 살펴보면 중국이 약 3억 3800만 명(96~97%), 미국은 550만 명(1~2%), 기타 약 630만 명으로 미국인의 이주 러쉬가 있다고 해도 여전히 절대다수가 중국인인 플랫폼이다.
4. 특징
인터페이스가 책갈피 모양의 사진을 모아 놓은 사진첩처럼 구성되어 있어 핀터레스트와 비슷하지만 핀터레스트에는 지원하지 않는 숏폼도 올릴 수 있어 핀터레스트와 인스타그램을 섞어 놓은 느낌이다.슬로건[4]에서 보이듯이 주로 라이프스타일을 올리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카테고리도 단편 드라마, 미식, 코디, 여행 등 일상적이고 취미적인 것 밖에 없다. 민감한 주제를 나눌 수도 있지만 그런 거 가지고 싸우라고 만든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주제는 주로 웨이보에 가서 나누지 여기선 잘 나누지 않는다.[5]
5. 마케팅 플랫폼
중국 마케팅에서 샤오홍슈를 빼놓을 수 없다. 중국 2030을 타겟할 수 있는 매체이므로, 대부분의 중국 마케팅을 진행하는 브랜드는 샤오홍슈 마케팅을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샤오홍슈 마케팅 방법으로는 브랜드 계정 운영, 크리에이터 제휴를 통한 홍보가 있으며, 리뷰성 콘텐츠가 선호된다고 한다. 그리고 제재가 엄격한 중국 플랫폼 특성 상, 광고성이 짙으면 제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해야 한다. 출처6. 한국에서
우리나라에서도 Google Play나 App Store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페이스북이나 구글 계정으로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한국어화가 되어 있고 포스팅한 텍스트를 번역하는 기능도 있기 때문에 그걸로 중국인들의 일상과 트렌드를 구경할 수 있다. 하지만 이건 모바일의 경우고 PC판에서는 아직 한국어 지원은 커녕 로그인도 샤오홍슈나 위챗 앱을 통한 연동이 아니면 못하기 때문에 매우 불친절하다.모바일에서 콘텐츠 업로드도 할 수 있는데 올리기 전에 전화번호 인증을 거쳐야 한다. 이 개인정보와 업로드한 콘텐츠 모두 중국 서버에 저장되니, 찝찝하다면 민감한 정보는 업로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7. 기타
- 국적을 속이는 사람이 많다. 분명히 과거형(~했어?)을 써야 하지만 미래형(~할 거야?)을 쓴다든지, 기초문법을 틀리면서도 "나는 xx국적이다"고 속이는 사람이 많다.
- 미성년자 모드도 지원한다. 셧다운제처럼 22시 ~ 06시에는 이용할 수 없고 하루에 40분 동안만 쓸 수 있는데다가 조금이라도 야한 포스팅은 철저하게 필터링 하기 때문에 이걸 켜면 아주 슴슴한 SNS를 할 수 있다.
[1] 외래어 표기법대로 읽으면 '샤오훙수'가 맞다. 중국어 한어병음 'hong'은 한글로 '훙', 'shu'는 '수'로 표기한다.[2] https://www.vice.com/en/article/chinese-app-rednote-hits-1-in-app-store-as-us-tiktok-ban-nears/[3] 대신 그 부작용으로 일부 보수적인 여성 사용자들은 성적으로 개방되고 비교적 강한 어조의 남성 이용자 유입과 바뀐 분위기가 안 맞아서 떠나갔다.[4] 你的生活兴趣社区, 당신의 라이프스타일 커뮤니티[5] 게다가 중국인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글을 올리면 칼같이 정지당할 수 있기 때문에 눈치껏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