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름 | レガレイラ Regaleira | |
| 출생 | 2021년 4월 12일 ([age(2021-01-01)]세) | |
| 성별 | 암컷 | |
|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
| 아비 | 스와브 리처드 | |
| 어미 | 로카(ロカ) | |
| 외조부 | 하빈저 | |
| 생산자 | 노던 팜 | |
| 마주 | 선데이 레이싱 | |
| 모집 정보 및 규모 | 3000만엔(1구 75만엔 × 40구 계좌) | |
| 조교사 | 키무라 테츠야 (미호) | |
| 성적 | 11전 5승 [5-0-1-5] | |
| 총상금 | 8억 3563만 7000엔 | |
| 주요 우승 | G1 | 호프풀 스테이크스(2023) 아리마 기념(2024) 엘리자베스 여왕배(2025) |
| G2 | 올 커머(2025) | |
| 레이팅 | WBRR | L118 (2024) |
| 상세 정보 | | |
1. 개요
노던 팜 생산, 선데이 레이싱 소유 경주마. 2024년 클래식 세대. 스와브 리처드 자마 중 첫 G1 우승마이다. 이름의 유래는 포르투갈의 문화유산인 헤갈레이라 별장.2. 혈통
| 1대 | 2대 | 3대 |
| <colbgcolor=#fff3e4,#331c00>스와브 리처드 スワーヴリチャード 2014 | <colbgcolor=#ffffe4,#323300>하츠 크라이 ハーツクライ 2001 | 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
| 아이리시 댄스 アイリッシュダンス | ||
| 피라밈마 Pirramimma 2005 | 언브라이들즈 송 Unbridled's Song | |
| 커리어 컬렉션 Career Collection | ||
| 로카 ロカ 2012 | 하빈저 Harbinger 2006 | 댄실리 Dansili |
| 피낭 펄 Penang Pearl | ||
| 랜즈 에지 ランズエッジ 2006 | 댄스 인 더 다크 ダンスインザダーク | |
| 윈드 인 허 헤어 Wind in Her Hair | ||
| * 선데이 사일런스 3×4 18.75% * 리파르 5×5 6.25% | ||
2024년 오카상 우승마인 스텔렌보스, 킷카상 우승마 어번 시크와 외조모가 같다. 어번 시크와 레갈레이라는 아비는 동일하고 어미는 전형제 관계라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한 관계다.
3. 커리어
3.1. 2023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레몬 팝 | 퍼스트 포스 | 잭 도르 | 리버티 아일랜드 | 이로고토시 | 솔 오리엔스 | 저스틴 팰리스 | 샴페인 컬러 | 송라인 | 리버티 아일랜드 | 타스티에라 | 송라인 | 이퀴녹스 | 마마 코차 | 리버티 아일랜드 | 두레차 | 이퀴녹스 | 브레이디 베그 | 나뮈르 | 이퀴녹스 | 레몬 팝 | 아스콜리 피체노 | 잔타르 만타르 | 마이네르 그론 | 두 듀스 | 레갈레이라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 |
| 2023년 호프풀 스테이크스 영상 |
우승 후 선데이 레이싱 요시다 슌스케 대표는 사츠키상 출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사츠키상은 호프풀 스테이크스와 같은 마장에서 같은 거리를 달린다. 그레이드제 도입 이후 암말이 클래식 트리플 크라운 경기에서 승리한 것은 2007년 보드카가 유일한데, 레갈레이라가 보드카의 뒤를 이을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가 많다. 사츠키상에서 멈추지 않고 더비까지 도전할지에 대한 기대를 품는 의견도 나왔다. # 다만 레갈레이라의 더비 출주 여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도 있다. 개인 마주가 아닌 샤다이 클럽 소유마인데, 종마 가치가 가장 높은 3세 G1인 더비에 암말이 나가서 우승하면 그 해 숫말들의 종마 평가가 일제히 떨어질 수 있으므로 클럽 입장에선 암말을 더비에 보내는 것이 꺼려진다. 다수의 추측은 사츠키상과 오크스 출전의 가능성을 높게 치고 있다. #
3.2. 2024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펩티드 나일 | 매드 쿨 | 벨라지오 오페라 | 스텔렌보스 | 이로고토시 | 저스틴 밀라노 | 티오 로열 | 잔타르 만타르 | 텐 해피 로즈 | 체르비니아 | 다논 데사일 | 로맨틱 워리어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 |
1월 24일 선데이 레이싱은 사츠키상 직행을 발표했다. # 심지어 더비도 시야에 두고 있다고 한다.
레갈레이라의 노선 설정은 선데이 레이싱의 24 클래식 세대 유력 암말이 너무 많은 것(그리고 거기에 반해 동세대 유력 수말이 아예 없다시피한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레갈레이라가 오카상에 출주하지 않았음에도 오카상 출주마 중 무려 4마리가 선데이 레이싱 소속이다.
그런데 사츠키상을 불과 2주 남겨두고 주전 기수인 크리스토프 르메르가 두바이 터프에서 낙마로 쇄골, 갈비뼈 골절을 당하는 악재가 발생했다. 대타를 하루빨리 구해야하는 상황이지만 그나마 틈이 있는 오카상과 달리 사츠키상은 웬만한 상위권 기수나 용병 기수가 대부분 선약이 잡힌 상황. 일단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와 오카상에서 아스콜리 피체노에 기승해 각각 1착, 2착을 한 키타무라 히로시 기수가 기승하게 되었다.
대회 전 AI 예상 배당에서는 기수 교체 이슈[2]로 3~4번 인기로 예측되었으나, 본 게임 전에는 배당이 4배 정도로 비교적 높긴 하나 1번 인기를 받게 되었다. 저스틴 밀라노, 신 엠퍼러, 메이쇼 타바루, 잔타르 만타르까지 다수의 경쟁자들이 한 자릿수 배당을 받는 치열한 경기가 예상되었다.
이렇게 1번 인기를 받았지만 실제 경기에서는 6착으로 패하고 말았다.[3]
이후 일본 더비 출전을 공식화했다. # 주전 기수인 크리스토프 르메르가 부상 이후 빠르게 복귀하였고, 선데이 레이싱의 수말 클래식 출주마들의 상황이 굉장히 좋지 않아서 더비로 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더비 결과에 따라 개선문상에 출전할 수 있음이 알려졌으나 # 본 경주에서는 5착을 기록했고, 7월 28일에 로즈 스테이크스에 출주하는 것으로 노선을 변경했다.
9월 15일에 출전한 로즈 스테이크스에서는 5착으로 패했다. 그럼에도 다음으로 출전한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도 1번 인기를 받았지만 역시 5착으로 패했다. 이 때 크리스토프 르메르 기수가 올해 NHK 마일 컵에 이어 또다시 위험천만한 기승을 보여 약간이나마 논란이 되었다. 레갈레이라가 마지막 직선주로에서 마군을 파고들다 부딪힌 하퍼는 그대로 실속하며 최하위를 기록했다.[4] 이후 진영은 아리마 기념 출주를 선언하였다.
3.2.1. 아리마 기념
| 2024년 아리마 기념 영상 |
본 경주에선 좋은 스타트로 선행 집단에 위치했다. 슬로우 페이스로부터 급격하게 속도를 끌어올린 흐름을 지나, 4코너 끝에서 마군을 빠져나와 직선에서 다논 데사일과 벨라지오 오페라를 잡아내고, 바깥의 샤흐리야르와 마체를 맞대는 경합을 벌여 코 차이의 우승을 거머쥐었다.
다이와 스칼렛, 부에나 비스타 등의 역사적인 강호들이 놓쳤던 3세 암말의 아리마 기념 우승을 올렸으며, 이는 1960년 스타 로치 이후 64년 만의 대기록이다.[5] 기수 토사키 케이타는 같은 선데이 레이싱의 명암말 젠틸돈나의 은퇴전 이후 10년만에 통산 2번째 아리마 기념 우승을 올렸다.
다만 3세 아리마 우승의 대가인지 경기 후 오른쪽 앞다리에 박리골절이 발생하여 전치 3개월 판정을 받았다. # 다행히 수술은 무사히 성공했고, 이후 방목을 보낼 예정이라고 한다.
64년만의 대기록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어째서인지 2024년 JRA상 수상에서는 특별상조차 받지 못했다.
3.3. 2025년
부상에서 복귀하고 2025년 첫 레이스로 타카라즈카 기념에 출주했으나, 2번 인기라는 기대가 무색하게 11착으로 패배했다.이후 삿포로 기념 출전이 예상되었으나 삿포로 기념을 회피하고 올커머로 차주가 결정되었다. 올커머에서는 레이스 레코드를 1초 경신하며 완승을 거뒀다.
가을 출주한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해 G1 3승을 기록했다.
4. 여담
- 이름을 일본어로는 レガレイラ(레가레이라), 영어로는 Regaleira라고 쓰지만 이름의 유래가 포르투갈어이므로 표기법을 지키면 '헤갈레이라'가 된다. 포르투갈어권 태생인 축구선수 호나우두(브라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포르투갈)와 같은 케이스다. 그러나 복잡한 유래보단 간편하게 확인 가능한 가타카나나 로마자 표기를 따라가는 일본 경주마 특성상 대부분 '레'로 읽는다.
5.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 <rowcolor=#fff> 2023년 (2세) | |||||||||
| 7.9 | 하코다테 | 2세 신마 | 잔디 1800m | 1.4 | 1 | 1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셋 업) | |
| 10.21 | 도쿄 | 아이비 스테이크스 | L | 잔디 1800m | 1.5 | 1 | 3착 | 다논 에어즈록 | |
| 12.28 | 나카야마 | 호프풀 스테이크스 | GI | 잔디 2000m | 3.1 | 2 | 1착[R1] | (신 엠퍼러) | |
| <rowcolor=#fff> 2024년 (3세) | |||||||||
| 4.14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3.7 | 1 | 6착 | 키타무라 히로시 | 저스틴 밀라노 |
| 5.26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4.5 | 2 | 5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다논 데사일 |
| 9.15 | 주쿄 | 로즈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2000m | 1.7 | 1 | 5착 | 퀸즈 워크 | |
| 11.10 | 교토 | 엘리자베스 여왕배 | GI | 잔디 2200m | 1.9 | 1 | 5착 | 스터닝 로즈 | |
| 12.22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10.9 | 4 | 1착 | 토사키 케이타 | (샤흐리야르) |
| <rowcolor=#fff> 2025년 (4세) | |||||||||
| 6.15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4.9 | 2 | 11착 | 토사키 케이타 | 메이쇼 타바루 |
| 9.21 | 나카야마 | 올 커머 | GII | 잔디 2200m | 3.3 | 1 | 1착[R2] | (두라도레스)[8] | |
| 11.16 | 교토 | 엘리자베스 여왕배 | GI | 잔디 2200m | 2.3 | 1 | 1착[R3] | (파라디 렌)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라디오탄파배 3세 암말 S | <tablewidth=100%>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암말 한정, 1600m |
| 1984 니혼 필로 비키 | 1985 다이나 캄파리 | 1986 도칸조 | 1987 프린세스 스키 | 1988 타니노 타겟 | 1989 레거시 와이스 | ||
| 1990 이소노 루블 | ||
| 라디오탄파배 3세 S | 암수 혼합, 2000m | |
| 1991 노던 컨덕트 | 1992 나리타 타이신 | 1993 나무라 코쿠오 | 1994 타야스 츠요시 | 1995 로열 터치 | 1996 메지로 브라이트 | 1997 로드 액스 | 1998 어드마이어 베가 | 1999 러거 레굴루스 | ||
| 2000 아그네스 타키온 | 2001 메가 스타덤 | 2002 댓츠 더 플렌티 | 2003 2004 버밀리언 | 2005 사쿠라 메가 원더 | ||
| 라디오NIKKEI 배 2세 S | 2006 후사이치 호오 | 2007 서브젝트 | 2008 로지 유니버스 | 2009 빅투아르 피사 | |
| 국제 GIII 지정 후 | ||
| 2010 다논 발라드 | 2011 아담스 피크 | 2012 에피파네이아 | 2013 원 앤 온리 | ||
| 호프풀 S | 국제 GII 승격 후 | |
| 2014 샤이닝 레이 | 2015 하틀리 | 2016 레이 데 오로 | ||
| 국제 GI 승격 후 | ||
| 2017 타임 플라이어 | 2018 사투르날리아 | 2019 콘트레일 | ||
| 2020 다논 더 키드 | 2021 킬러 어빌리티 | 2022 두라 에레데 | 2023 레갈레이라 | 2024 크루아 뒤 노르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56 메이지 히카리 | 1957 하쿠치카라 | 1958 온워드 데어 | 1959 가넷 |
| 1960 스타 로치 | 1961 호마레보시 | 1962 온슬로트 | 1963 류 포렐 | 1964 야마토 쿄다이 | 1965 신잔 | 1966 코레히데 | 1967 카부토 시로 | 1968 류즈키 | 1969 스피드 심볼리 | |
| 1970 스피드 심볼리 | 1971 토메이 | 1972 이시노 히카루 | 1973 스트롱 에이트 | 1974 타니노 치카라 | 1975 이시노 아라시 | 1976 토쇼 보이 | 1977 텐 포인트 | 1978 카네 미노부 | 1979 그린 그래스 | |
| 1980 호요 보이 | 1981 앰버 샤다이 | 1982 히카리 듀얼 | 1983 리드 호유 |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 |
| 1984 · 1985 심볼리 루돌프 | 1986 다이나 걸리버 | 1987 메지로 듀렌 | 1988 오구리 캡 | 1989 이나리 원 | |
| 1990 오구리 캡 | 1991 다이유우사쿠 | 1992 메지로 파머 | 1993 토카이 테이오 | 1994 나리타 브라이언 | 1995 마야노 탑건 | 1996 사쿠라 로렐 | 1997 실크 저스티스 | 1998 · 1999 그래스 원더 | |
| 2000 티엠 오페라 오 | 2001 맨해튼 카페 | 2002 · 2003 심볼리 크리스 에스 | 2004 젠노 롭 로이 | 2005 하츠 크라이 | 2006 딥 임팩트 | |
| 국제 GI 지정 후 | |
| 2007 마츠리다 고흐 | 2008 다이와 스칼렛 | 2009 드림 저니 | |
| 2010 빅투아르 피사 | 2011 오르페브르 | 2012 골드 쉽 | 2013 오르페브르 | 2014 젠틸돈나 | 2015 골드 액터 | 2016 사토노 다이아몬드 | 2017 키타산 블랙 | 2018 블래스트 원피스 | 2019 리스 그라슈 | |
| 2020 크로노 제네시스 | 2021 에프포리아 | 2022 이퀴녹스 | 2023 두 듀스 | 2024 레갈레이라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3세 암말, 2400m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
| 1976 디아만테 | 1977 인터 글로리아 | 1978 리드 스왈로 | 1979 미스 카부라야 | |
| 1980 하기노 탑 레이디 | 1981 아그네스 테스코 | 1982 빅토리아 크라운 | 1983 롱 그레이스 |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1 지정 후 | |
| 1984 쿄와 썬더 | 1985 리워드 윙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탤런티드 걸 | 1988 미야마 포피 | 1989 샌드 피어리스 | |
| 1990 쿄에이 탭 | 1991 린덴 릴리 | 1992 타케노 벨벳 | 1993 호쿠토 베가 | 1994 히시 아마존 | 1995 사쿠라 캔들 | |
| 3세 이상 암말, 2200m | |
| 1996 댄스 파트너 | 1997 에리모 시크 | 1998 · 1999 메지로 도베르 | |
| 2000 팔레놉시스 | 2001 투 더 빅토리 | 2002 파인 모션 | 2003 · 2004 어드마이어 그루브 | 2005 스윕 토쇼 | 2006 후사이치 판도라 | |
| 국제 G1 지정 후 | |
| 2007 다이와 스칼렛 | 2008 리틀 아마폴라 | 2009 퀸 스푸만테 | |
| 2010 · 2011 2012 레인보우 달리아 | 2013 메이쇼 맘보 | 2014 라키시스 | 2015 마리알라이트 | 2016 퀸즈 링 | 2017 모즈 캇짱 | 2018 리스 그라슈 | 2019 · 2020 럭키 라일락 | |
| 2021 아카이 이토 | 2022 제랄디나 | 2023 브레이디 베그 | 2024 스터닝 로즈 | 2025 레갈레이라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55 메이지 히카리 | 1956 토요타니 | 1957 키타노 오 | 1958 마사 타카라 | 1959 우네비 히카리 |
| 1960 야시마 퍼스트 | 1961 아즈마 텐란 | 1962 류 무사시 | 1963 미오소티스 | 1964 플라워 우드 | 1965 미하루카스 | 1966 히시 마사히데 | 1967 온워드 웰 | 1968 스위트 플래그 | 1969 라이트 월드 | |
| 1970 마키노 호프 | 1971 키쿠노 해피 | 1972 이나 볼리스 | 1973 하쿠 호쇼 | 1974 이치후지 이사미 | 1975 키쿠노 오 | 1976 그레이트 세이칸 | 1977 토후쿠 세단 | 1978 하세 오마 | 1979 유키후쿠 오 | |
| 1980 블루 맥스 | 1981 하세 시노부 | 1982 토도로키 히호 | 1983 스위트 카슨 |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 |
| 1984 아사카 실버 | 1985 아사카 사일런트 | 1986 1987 다이나 페어리 | 1988 스즈 퍼레이드 | 1989 오구리 캡 | |
| 1990 라켓볼 | 1991 1992 이쿠노 딕터스 | 1993 트윈 터보 | 1994 비와 하야히데 | |
| 중앙 GII 승격 후 | |
| 1995 히시 아마존 | 1996 사쿠라 로렐 | 1997 메지로 도베르 | 1998 다이와 텍사스 | 1999 홋카이 루소 | |
| 2000 메이쇼 도토 | 2001 에어 스맙 | 2002 로사도 | 2003 에어 에미넴 | 2004 토센 댄디 | 2005 호키파 웨이브 | 2006 밸런스 오브 게임 | |
| 국제 GII 지정 후 | |
| 2007~2009 마츠리다 고흐3연패 | |
| 2010 신겐 | 2011 어니스틀리 | 2012 나카야마 나이트 | 2013 베르데 그린 | 2014 마이네르 라크리마 | 2015 쇼난 판도라 | 2016 골드 액터 | 2017 루주 벅 | 2018 레이 데 오로 | 2019 스티펠리오 | |
| 2020 센테예오 | 2021 윈 마릴린 | 2022 제랄디나 | 2023 로샴 파크 | 2024 레벤스틸 | 2025 레갈레이라 | }}}}}}}}} |
[1] 같은 2세 G1인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와 원래 혼성 경주였던 한신 3세 스테이크스(현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까지 포함할 경우 2세 혼성 G1급 경주를 암말이 우승한 경우는 그레이드제 도입 이전인 1980년 아사히배를 우승한 텐몬 이후 43년만이다.[2] 르메르에 비해 키타무라 기수의 명성이나 실적이 낮기도 하고, 호프풀 스테이크스에서 사행을 했기 때문에 기성 문제도 없진 않은 것으로 예측되어 르메르가 아닌 기수가 통제가 가능할지 의문을 샀다.[3] 징크스가 있는데도 1번 인기였는데, 깨지 못했다.[4] 하퍼는 3경기 연속 최하위를 기록하며 결국 은퇴를 결정하고 노던 팜에 번식암말로 가게 되었다.[5] 공교롭게도 보드카의 암말 더비 제패 또한 1943년 쿠리후지 이후 64년만의 기록이었다.[R1] 레이스 레코드, 2:00.2[R2] 레이스 레코드, 2:10.2[8] 두라멘테 산구, 레갈레이라와 반형제 관계다.[R3] 레이스 레코드,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