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문화권의 문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언어 | 현용 문자 | 과거에 사용된 문자 | |
한국어 | 한글 한자(정자/국자) | 옛한글 구결 · 이두 · 향찰 | ||
일본어 | 한자(신자체/국자) · 가나(히라가나/가타카나) | 만요가나 · 헨타이가나 | ||
베트남어 | 로마자(쯔꾸옥응으) | 쯔놈 | ||
중국어 | 한자(간체자중국·싱가포르/정체자대만·홍콩·마카오) 주음부호 · 로마자(한어병음) | 측천문자 | ||
기타 언어 | 몽골 문자 · 고장자 · 신장자 · 티베트 문자 · 위구르 문자 · 동파 문자 · 이 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 |
{{{#121212 {{{+1 동파문(東巴文字) 东巴文(Dongba script)}}}}}} | ||
<colbgcolor=#ededed> 유형 | 상형 문자 | |
표기 언어 | 나시어 | |
사용 민족 | 나시족 | |
사용 지역 | 원난성, 쓰촨성 | |
사용 시기 | ?년 ~ 현재 | |
{{{#121212 동파문 명칭}}} |
1. 개요
나시족이 사용하는 고유한 문자로 중국에서는 둥바문자(東巴文字), 국내에서는 납서/나시문자 또는 동파문/동파문자라고 한다.2. 특징
이 문자의 가장 큰 특징은 유일하게 확인된 현재까지 사용되는 상형문자라는 점이다.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쓰인다고 한다. 일상용으로 쓰이는 별도의 표음문자인 거바문자(哥巴文字)가 있었지만 현재는 쓰이지 않고, 나시어 표기는 라틴문자를 쓴다.동파문자로 기록된 고대 나시족 둥바 문헌 필사본(Ancient Naxi Dongba Literature Manuscripts)은 중국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나시족이 사는 윈난성 마을에는 동파문을 그린 벽화가 있다. 그리고 윈난성 일부 지역에서는 간판에 둥바문자를 병기하기도 하지만 의무사항은 아니라 흔하지는 않다.
문화대혁명 당시 한자 정/간체외 한자 이체자를 포함한 다른 문자들을 금지했기 때문에 동파문도 탄압당했다. 기록 상으로는 2만 점의 문헌이 있었다고 하지만 문혁때 대량으로 소실되어 현존하는 건 천여 점 뿐이다. 또한 동파문을 잘 구사하던 승려들도 문혁때 많이 희생되었기에 실생활에서 쓰던 인구도 크게 줄었다. 현재는 관광객들을 위한 오락적 의미로만 주로 쓰이고,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다보니 언어학자가 되지 않는 이상 사실상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