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5:30:12

다잉 라이트 2

다잉 2에서 넘어옴
다잉 라이트 시리즈
파일:NicePng_dying-light-png_1730807.png
파일:pngkey.com-dying-light-png-1730964.png
파일:logo-big-798e6541ff2a742cfb7bdd40b7b1ad06.svg

파일:Dying_Light_2_Stay_Human.svg.png
등장인물 지역 스토리
(사이드 퀘스트)
발매 전 정보
일지 제작 스킬 무기 장비
순례자 전초기지 챕터 DLC
(블러디 타이)
이벤트 전설 레벨
현상금 업데이트 도전 과제 평가

다잉 라이트 2 스테이 휴먼
Dying Light 2 Stay Human
파일:DyingLight2StayHuman.jpg
개발 테크랜드[1]
배급
플랫폼 PlayStation 4 | PlayStation 5[2]
Xbox One | Xbox Series X|S
Microsoft Windows | Nintendo Switch[3]
GeForce NOW[4]
ESD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Steam
에픽게임즈 스토어
장르 1인칭 오픈월드 액션 서바이벌
출시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2년 2월 4일[5]
한국어 지원 자막 한국어화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6]
해외 등급 파일:ESRB Mature.svg ESRB M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스팀 아이콘.svg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 파일:Xbox 아이콘.svg 파일:PlayStation 아이콘.svg파일:PlayStation 아이콘 화이트.svg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폴란드의 게임 개발사 테크랜드에서 개발한 다잉 라이트 시리즈의 2번째 작품.

2.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잉 라이트 2/발매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시스템 요구 사항

파일:DL2 시스템 사양.png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DD0212><colcolor=#ffffff> 운영체제 Windows 7 64-bit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3-9100
AMD Ryzen 3 2300X
AMD / Intel CPU running at 3.6 GHz or higher:
Intel Core i5-8600K
AMD Ryzen 5 3600X
메모리 8 GB RAM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050 Ti
AMD Radeon RX 560
4 GB of VRAM
NVIDIA GeForce RTX 2060 6GB
AMD Radeon RX Vega 56 8GB
or newer
API DirectX 11, 12, 12 Ultimate
저장 공간 60 GB HDD 60 GB SSD

4. 설정 및 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잉 라이트 시리즈/용어 문서
2.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잉 라이트 2/스토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잉 라이트 2/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빌레도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잉 라이트 2/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게임 플레이

5.1.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제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무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무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일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잉 라이트 2/일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6. 챕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챕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 현상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현상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8. 전설 레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전설 레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9. 이스터 에그

전작과 마찬가지로 상당한 양의 이스터에그가 존재한다. 단순 장난식의 이스터에그 외에도 실제로 미칠듯이 유용한 이스터에그도 존재하므로 여기에 기술한다. 특이하게 많이들 VNC타워 주위나 옥상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초반부에 스파이크와 함께 들어간 주택에서 'Who Do You VooDoo'라는 음반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테크랜드의 전작인 데드 아일랜드의 캐릭터 샘 B가 불렀던 음악이다.
  • 특정 지역으로 가면 카일 크레인과 관련된 이스터에그를 볼 수 있다.
  • 자전거 이스터에그
  • 코르크 장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무기 개조 문서
7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미스트레스 소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무기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사이버 핸즈 217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무기 문서
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앨리의 허수아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무기 문서
2.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코렉 마체테 3.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무기 문서
2.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gloVa의 왼쪽 손가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보조 장비 문서
1.1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다잉 포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보조 장비 문서
1.1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톱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보조 장비 문서
1.1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재미로 하나 되다 - 누구든지 놀 수 있습니다!(축구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제작/보조 장비 문서
1.17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나야... 마리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장비 문서
3.6.1.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캑퍼의 슬리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장비 문서
3.6.1.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카둠 샷건

5.10. 이벤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이벤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1. 새 게임+(New Game Plus/NG+)


2022년 4월 27일의 1.3.0 업데이트로 추가된 컨텐츠. 약칭으로는 NG+라고 불린다. 에필로그를 처음 완료하면 해금되며, 해당 게임은 세이브 슬롯에서 새 게임+로 수동 전환할 수 있다. 스토리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며, 프롤로그를 완료한 시점인 바이오마커를 획득하고 병원을 탈출한 직후부터 시작한다.
  • 특징
    • 기존에 보유한 소지품/랭크/전설 레벨/챕터 랭크/나이트러너 장비는 모두 그대로 유지된다.
    • 1회차 플레이에서 획득 가능한 장비의 최대 랭크는 6이지만, 2회차부터는 랭크 7 이상의 장비를 획득할 수 있다.
    • 완료 시 레니게이드 보스 마스크를 획득한다. 유일한 전설 등급 마스크로, 능력치는 방어력 15/대미지 저항(밤) +15%/대미지 저항(낮) +15%.
  • 장점
    • 추가 억제제가 지도상에 배치된다. 새 게임을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1회차에는 체력과 스태미나 둘 중 하나만 최대치(700)까지 올릴 수 있지만, 2회차부터는 추가 억제제를 모두 획득하면 최대 체력과 스태미나를 둘 다 최대치로 늘릴 수 있다. 도전 과제 <최고의 컨디션>(스태미나 최대치 달성)과 <강철 심장>(체력 최대치 달성)을 한 캐릭터로 달성하려면 다회차 플레이가 필수다. 하지만 이후에 새 게임을 또 한다고 추가 억제제가 또 생기지는 않는다.
    • 퀘스트, 챌린지를 포함한 각종 모든 활동을 다시 수행해서 경험치를 얻을 수 있다. 전설 경험치를 더 얻어야 한다면 고려해볼 만하다.
    • 메인 퀘스트 및 사이드 퀘스트에서 이전과 다른 분기점을 선택해볼 수 있다. 스토리 분기가 구현되어 있으니 게임을 좀 더 즐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 회차 플레이를 계속할수록 전설 포인트의 난이도 보너스가 더욱 증가한다. (1.15 업데이트로 추가됨) 이 증가 수치는 최대 다섯 번 누적된다.
      • 쉬움: ×0.15만큼 증가 - 최대 누적 보너스 +0.75(1+0.75=1.75배)
      • 보통: ×0.2만큼 증가 - 최대 누적 보너스 +1(1.25+1=2.25배)
      • 어려움: ×0.4만큼 증가 - 최대 누적 보너스 +2(2.25+2=4.25배)
      • 악몽: ×5 ~ 10.25(새 게임+ 시작할 때마다 ×2.05만큼 증가)
  • 단점
    • 각종 챌린지 기록이 초기화된다. 각 챌린지의 메달마다 완료 보상이 있기에 이걸 다시 수행해서 경험치를 얻는 것은 좋지만, 최고 기록을 남기고자 하는 유저 입장에선 상당히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다만 플러스 게임에선 플래티넘 메달이라는 신규 메달이 추가되기 때문에 체감상 기록이 손실된다는 느낌은 덜한 편.
    • 세력별 도시 지지도가 초기화된다. 스토리가 초기화되었으니 이 역시 초기화되는 것은 당연지사. 단, 기존에 PK에게 시설을 4개 이상 할당하여 PK 석궁 및 석궁 볼트 설계도를 얻었다면 새 게임+를 시작한 이후에도 PK 석궁과 석궁 볼트 설계도는 그대로 유지된다.
    • 적의 수준이 전보다 더 강해지며, 레벨 스케일링이 적용되어 무조건 플레이어의 랭크에 맞춰진다. 때문에 빠르게 에필로그를 본 다음 대책없이 2회차로 넘어오면 생각 이상으로 단단한 적들에게 당황하기 쉽다.

5.12. 커뮤니티 맵

1편의 커스텀 게임과 동일한 개념의 게임. 2023년 6월 30일 1.11 업데이트로 PC판에서 먼저 추가되었다. 스팀 덱 및 콘솔 버전은 2023년 9월 7일 1.12 업데이트로 나중에 도입되었다.

1편과는 달리 일반 게임 메인 메뉴에서 '커뮤니티 맵'을 선택하면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곳에서 개발자 도구 에디터를 이용하여 유저들이 직접 만들 수 있는 맵을 플레이할 수 있다.

커뮤니티 맵 메뉴에서는 유저들이 올린 커뮤니티 맵을 살펴볼 수 있고, 화면 좌상단에서 모드 사이트에 가입(이메일 인증 필요)하면 각 맵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유저 개인이 만든 맵이기 때문에 각 맵의 완성도는 핵지뢰쓰레기부터 장인정신수작까지 천차만별이다. 목록에서 필터를 통해 맵의 장르 및 유저 인기도 등을 구분할 수 있다.

1편의 커스텀 게임과 마찬가지로 중간 저장이 불가능하므로 한 번 플레이하면 끝까지 완료하는 것이 좋다. 현재 협동 플레이는 지원하지 않는다.

5.13. 난이도

쉬움, 보통, 어려움, 악몽 네 가지가 있다. 출시 후 2년간 어려움까지만 있었으나, 2024년 4월 18일 1.16 업데이트로 악몽 난이도가 추가되었다. 아래의 표는 난이도별 차이점을 간략하게 정리한 것이다.
난이도 전투 난이도 자원 획득량 전설 포인트 획득량 사망 시 전설 포인트 상실량
(전설 레벨 50부터)
쉬움
쉬움
많음
적음
없음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다음 레벨 상승에 필요한 경험치 획득량 25%
어려움
어려움
적음
많음
다음 레벨 상승에 필요한 경험치 획득량 50%
악몽
가장 어려움
적음
가장 많음
다음 레벨 상승에 필요한 경험치 획득량 100%
  • 쉬움(Easy)
스토리를 중심으로 게임을 즐기고 싶은 분들을 위한 난이도입니다.

적을 비교적 쉽게 상대할 수 있으며, 피해를 더 적게 받습니다. 물자도 더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설 레벨을 잠금 해제해 최소 수량의 전설 포인트를 획득하세요. 죽어도 전설 포인트를 잃지 않습니다.
게임 플레이에 아무런 어려움이 없는 입문자용 난이도다.

전설 포인트 기본 획득량은 1배이며, 사망 시 상실하는 전설 포인트는 없다.
  • 보통(Normal)
대다수의 게이머를 위한 균형 잡힌 경험을 제공하는 난이도입니다.

적들은 충분히 위협적이며, 게임이 진행될수록 새로운 특성을 보유하고 능력도 서서히 상승합니다. 자원은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적재적소에 현명하게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전설 레벨을 잠금 해제한 후에는 일반 수량의 전설 포인트를 얻거나 잃을 수 있습니다.
쉬움 난이도를 충분히 플레이한 유저를 위한 중간 단계의 난이도.

전설 포인트 기본 획득량은 1.25배이며, 전설 레벨 50부터 사망 시 다음 레벨 상승에 필요한 경험치의 25%를 상실한다.
  • 어려움(Hard)
Dying Light 베테랑을 염두에 두고 더 어려운 도전을 제공합니다.

처음부터 적이 중대한 위협으로 등장하여 더 큰 피해를 입히고 플레이어의 전술에 맞춰 더 효율적으로 움직입니다. 상인이 판매하는 제작 부품이 적어지고 탐사 중에 희귀 아이템을 찾기가 더 어렵기 때문에 자원 관리가 중요해집니다.

전설 레벨을 잠금 해제한 후에는 많은 수량의 전설 포인트를 얻거나 잃을 수 있습니다.
게임의 시스템에 빠르게 적응하여 플레이를 숙달한 유저를 위한 숙련자 전용 난이도.

전설 포인트 기본 획득량은 2.25배이며, 전설 레벨 50부터 사망 시 다음 레벨 상승에 필요한 경험치의 50%를 상실한다.
  • 악몽(Nightmare)
Dying Light 유니버스의 악몽적인 현실성을 체험하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해 제작된 가장 어려운 게임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적들이 더욱 강해지고 회복력이 증가합니다. 손전등은 깜빡거리고 어두워집니다. 정보와 UI 요소도 제한됩니다. 플레이어의 체력은 자동으로 회복되지 않고, 스태미너는 매우 신중한 관리가 필요하게 되어 생존이 필수가 됩니다.

전설 레벨을 잠금 해제한 후에는 최대 수량의 전설 포인트를 얻거나 잃을 수 있습니다.
이미 게임을 충분히 플레이하여 플레이를 통달한 유저를 위한 전문가 전용 난이도.

전설 포인트 기본 획득량은 5배이며, 전설 레벨 50부터 사망 시 다음 레벨 상승에 필요한 경험치의 100%를 상실한다.

기존 쉬움~어려움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며, 어지간히 숙달하지 않은 유저가 아니라면 게임 플레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심지어 각종 HUD까지 강제로 가려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요소를 플레이어의 감각에 맡겨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악몽 난이도의 각종 특징은 아래와 같다. 전반적으로 1편의 악몽 난이도와 유사한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1편 악몽 난이도에 익숙한 전문가라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 추격 레벨 5 추가: 기존 추격 레벨 4에 재생되는 BGM의 박자가 더욱 빨라지며, 볼래틸 타이랜트가 생성된다. 볼래틸 중 가장 강력한 볼래틸 타이랜트가 떼로 나타나 플레이어에게 달려들어 이들과 맞상대하는 건 자살행위나 다름없다.
  • 추격 레벨이 빠르게 증가함: 기존 난이도보다 절반 가량 빠르게 다음 레벨로 증가하여 추격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추격 레벨 4~5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게다가 추격 레벨 HUD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재생되는 BGM과 추격하는 감염자의 개체수 및 종류만으로 현재 추격 레벨을 파악해야 한다.
  • 정지 메뉴(PC판 기준 ESC)를 제외한 모든 메뉴(인벤토리/제작/맵/현상금 등)를 열어도 일시정지하지 않음: 피격 시에도 정지 화면은 그대로 유지되니기존 난이도에 익숙해지면 아무 생각 없이 메뉴를 열었다간 적에게 얻어맞아 죽기 십상이다. 안전지대 밖에선 반드시 안전한 곳에서 메뉴를 열어야 한다.
  • 손전등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손전등의 조도가 약해지고, 깜빡이다가 꺼짐: 1편과는 달리 껐다가 켜면 손전등의 조도가 최대치에 이르므로 좀 어두워진다 싶으면 곧바로 껐다가 켜는 것이 좋다.
  • 각 억제제마다 증가하는 면역력 수치 감소: 면역력 최대 지속 시간이 9분 18초로 기존의 절반 가량 줄어든다. 어려움 난이도까지는 화학물질 지대에서 약 12초 정도 버틸 수 있지만, 악몽에서는 단 6초만에 사망한다. 즉, 밤에만 적용되는 사항이 아니라 낮 다크 존에 들어갈 때에도 적용된다는 뜻이며, 화학물질로 오염된 다크 존에 들어갈 때엔 면역력 부스터를 반드시 챙기고 아낌없이 써야 한다. 게다가 면역력 타이머 HUD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감염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하기 위해선 예방 차원에서 면역력 부스터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 고등급 아이템 획득 확률 증가
  • 서바이버 센스 사용 시 무기와 퀘스트 아이템만 표시됨
  • 전술 스태미나 추가: 스태미나 재생 시간이 늘어나고, 스태미나가 소진되면 가득 차기 전까지는 공격 시 밀치기만 할 수 있다. 원래 이 기능은 게임 옵션에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지만, 악몽 난이도에선 비활성화할 수 없다.
  • 볼래틸의 위치가 표시되지 않으며, 볼래틸에게 위장 그리스의 위장 효과가 통하지 않음: 서바이버 센스를 써도 볼래틸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밤중에 이들을 피해 다니기는 것이 매우 어렵다.
  • 플레이어의 방어력 및 저항력 감소: 레니게이드를 상대할 때조차 방심했다간 저세상에 가기 십상이다.
  • 밤중에 패러글라이더 사용 시 스태미나 소모량 대폭 증가: 밤중에 패러글라이더 사용 시 스태미나 소모량 대폭 증가
  • 볼래틸의 시야가 짧아지지만 추격을 더 빨리 발동함: 볼래틸의 인식 시간이 매우 짧아진다.
  • 공격 후에 스태미나가 재생하는 속도가 느려짐
  • 체력은 자동으로 재생하지 않음: 기존 난이도와는 달리 빨피에 이르렀을 때 체력이 자동으로 재생되지 않는다.
  • 부스터의 효율 감소: 레벨 9짜리 강인함 부스터를 복용해도 볼래틸에게 받는 피해가 상당히 많으므로 2마리 이상을 동시에 상대할 때부터 맞아 죽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 밤이 더 어두워짐: 볼래틸과의 시너지가 더해져 야간 이동이 매우 힘들어진다. '깊은 밤' 컬러 그레이딩까지 적용하면 칠흑같은 어둠을 체험할 수 있다.
  • 메인 스토리 완료 시 왈츠 의상 획득: 모든 스토리를 완료하기 전까지 난이도를 변경하면 의상을 받을 수 없다.
  • 각종 HUD 표시 불가: '몰입' 유형과 유사한 수준이며, 표시되지 않는 HUD는 아래와 같다.
    • 체력 바(인간) / 체력 바(감염자): 적의 체력을 볼 수 없으니 얼마나 공격해야 죽는지는 플레이어의 감에 맡겨야 한다. 1편 플레이에 익숙한 유저라면 충분히 적응할 수 있다.
    • 각성 바: 다크 존에서 잠든 감염자에게 표시되는 것으로, 다크 존 잠행 플레이에 약간의 제약이 생긴다. 하지만 해당 감염자들은 모두 UV에 취약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면역력 타이머: 면역력 감소와 관련된 특징에서 상술했듯이, 남은 면역력을 곧바로 알 수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도 스킬창의 순례자 탭에서 면역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 여유가 있다면 확인해볼 수 있다. 다만 야외의 화학물질 오염 지대나 역병 보유자에게서 분출된 유독성 구름에 접근할 때는 잠시라도 머물렀다간 순식간에 사망할 수 있으니 남은 면역력을 확인하려 하지 말고 접근하자마자 곧바로 자리를 떠야만 한다. 어둠 속에서 면역력 관리에 소홀했다간 어느새 바이오마커에서 경고음이 들리기 십상이니 면역력 부스터 및 UV 바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 히트마크: 적에게 가한 타격을 표시하는 것으로, 백병전 도중에 적을 제대로 공격했는지 확인하기 힘들어질 수도 있다.
    • 원거리 무기 십자선: 지향사격 시 오로지 화면 가운데에 있는 하얀 점만 봐야 한다. 정조준으로 단점을 상쇄할 수 있다.
    • 시계: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없다. 지도를 열어도 볼 수 없으므로 오로지 플레이어의 감각만으로 현재 시간을 파악해야 한다.
    • 애프터 부스트 - HUD: 애프터 부스트 사용 가능 시 표시되는 기능이 사라지므로 플레이어의 감각만으로 사용해야 한다.
    • XP 획득: 현재 획득한 경험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
    • 추격: 추격 레벨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재생되는 BGM, 추격하는 감염자의 개체수 및 종류만으로 현재 추격 레벨을 파악해야 한다.
    • 인식 원호: 주변의 적을 경고하고 적의 인식 거리를 표시하는 기능으로, 잠행 플레이에 제약이 생긴다.
    • 서바이버 센스 - 배회하는 볼래틸 아이콘: 상술했듯이 서바이버 센스를 써도 볼래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 소음 근원: 주위에서 소음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아이콘으로, 어디에서 소리가 발생했는지 즉각 파악할 수 없으므로 바이럴의 습격을 받기 쉽다.
이처럼 각종 어려운 요소는 다 들어가 있지만 획득하는 전설 포인트가 매우 많기 때문에 죽지만 않는다면 전설 레벨을 매우 빠르게 올릴 수 있다. 각종 챌린지를 완료해서 얻는 경험치도 상당하지만, 랜덤 인카운터만 완료해도 제법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다. 극단적인 수준의 하이 리스크-하이 리턴이므로 충분한 준비를 갖추고 플레이하는 것을 권장한다.

6.

  • 적도 레벨 개념이 있다. 체력 좌측에 있는 것이 그것. 플레이어와 같거나 낮을 경우 테두리가 검은색으로 표시되지만, 높을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론 플레이어의 컨트롤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나 가장 큰 문제는 자신보다 레벨이 높은 적은 테이크 다운으로 원킬이 안된다. 피를 대량으로 깎고 시작할 수는 있으나, 플레이어를 뿌리쳐 넘어트린다. 주위의 적들이 다 알아채는 것은 덤. 게다가 그렇게 어렵사리 죽이고 아이템을 얻어도 플레이어 레벨에 맞춰서 나오기 때문에 더욱더 갈 이유가 없다. 다행히 전투 스킬중 투척용 단검을 하나 소모해서 킬을 보장해주는 스킬이 있다. GRE관련 퀘스트처럼 스텔스 미션이 반 강제인 경우 가능하면 레벨을 맞추고 하는 것이 좋다.
    • 위의 레벨 문제를 오히려 이용할 수 있다. 맵에서 각 에리어에 커서를 대면 각 구역 이름 위에 숫자 두개가 뜨는데, 그게 바로 스폰되는 적의 레벨이다. 플레이어 레벨과 관계없이 항상 1, 2가 나온다는 것. 그런데 아이템은 여전히 플레이어 렙스케일링이 적용된다. 즉, 렙 1-2에서도 렙 6아이템이 나온다. 이를 이용하여 무장 호송단 같은 곳도 쉽게 털 수 있으며, 볼래틸도 한큐에 참수하게 된다. 단, 에필로그가 끝나는 시점부터 전 지역에서 레벨 스케일링이 적용되기 때문에 적의 체력과 공격력도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 스토리 진행을 안정적으로 하고 싶다면 보통 난이도 기준으로 해당 퀘스트 필요 레벨보다 2레벨 정도 높게 하면 쉽게 깰수 있다. 최종 스토리에서도 가장 높은 적의 레벨이 필요 레벨보다 2레벨 정도 높다.
  • 고철을 많이 모아두자. 소모품을 제외하면 사실상 모든 아이템을 제작할 때 쓰이며, 무기에 모드를 달 때도 필요해 항상 많이 쓰인다. 상점에서 파는 무기는 효용성이 좋지 않아 보조 장비/소모품이나 구매하기 십상이니 무기 제작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 모으지 않으면 나중에 고생한다. 쓸모없는 무기는 분해하여 고철을 회수하는 것을 권장한다.
  • 각 자원의 최대 보유량은 9999개다. 1편에선 그보다 몇 배는 더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 가능한 자원 아이템의 슬롯 개수도 무제한이지만, 2편에선 인벤토리와 보관함에 저장할 수 있는 각 자원의 슬롯은 종류별로 오로지 하나뿐이다. 따라서 획득량이 많은 고철/합성수지/깡통/전선/천조각은 인벤토리 보유량이 가득 차기 전에 충분한 양을 보관함에 저장해두는 것이 좋다. 인벤토리와 보관함 모두 보유한 자원이 9999개에 이르면 더는 같은 자원을 저장할 수 없으니 자주 쓰이는 보조 장비/탄약을 미리 만든 후에 보관함에 저장하는 방법도 추천한다.
  • 과거에는 설계도 업그레이드의 고철 역할을 하는 감염자 트로피(소형)을 대량으로 얻기 위해 밤에 볼래틸과 맞서면서 바이럴을 잡아야 했지만, 업데이트로 낮에 하울러가 나타나면서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낮에 하울러 앞에서 어그로를 끌어서 하울러가 울부짖으면 하울러가 울부짖는 동안에는 바이럴이 끝없이 나타나고, 이 점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낮에는 볼래틸을 비롯한 각종 특수 감염자가 달려들 일도 없는데다가 바이럴은 햇빛 때문에 수시로 행동을 멈추기 때문이다.
  • 각종 자원과 귀중품을 파밍할 수 있는 다크 존은 야간 활동을 전제하에 구성되어있다. 밤에 들어가면 상대적으로 감염자가 줄어들어 있고 대부분이 고개를 숙인채 자고 있다. 일정 구간을 순찰하는 바이럴만 조심한다면 은신 상태로 손쉽게 파밍을 할 수 있다. 다만 낮에 들어갈 경우 상황은 급변한다. 우선 감염자의 수가 대폭 증가하며, 모든 다크 존(버려진 가게/어두운 공간/GRE 검역소/지하철역)에 볼래틸이 스폰된다. 이 경우 사실상 은신플레이는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가급적 밤에 오는 것이 좋다. 특히 어두운 공간은 1층 출입구에서 접근했다간 곧바로 볼래틸이 플레이어를 맞이하게 되므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낮에 그쪽으로 진입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 다만 지하철 역의 경우 반절정도 닫힌 셔터를 이용하여[7] 리치가 긴 무기로 볼래틸을 안전하게 처치하고 트로피를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실력만 충분하다면 낮에 감염자가 많은 점을 이용해서 낮에 다크 존에 들어가 각종 감염자를 몰살하여 트로피를 챙길 수도 있다.
  • 옵션의 컨트롤 탭에서 '전문가 그래플링 훅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다. 보조 장비 슬롯에 그래플링 훅을 장착하지 않고도 그래플링 훅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장비를 다섯 개 사용하는 거나 다름없다. 특히 그래플링 훅을 장비에 장착할 수 없는 각종 챌린지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PC판 기준 단축키 기본값은 Alt이며, 옵션에서 변경할 수 있다.
  • 메인 스토리만 보고 그만둘 생각이 아니라면 새 게임 +는 최대한 늦게 시작하는 것이 좋다. 새 게임 +를 시작하고 나면 전 지역에서 레벨 스케일링이 적용되기 때문에 적이 이전에 비해 놀라보게 강해진 것을 체감할 수 있다. 그 전까지는 에필로그를 본 직후라도 필드에서 적의 랭크는 최대 6에 불과하지만, 새 게임+에서는 플레이어의 랭크와 동일해지기 때문에 적의 랭크는 최대 9까지 도달하게 된다. 특히 플레이어의 랭크는 높은데 설계도 업그레이드가 덜 된 상황에서 대책없이 새 게임 +를 시작했다면, 앞으로의 플레이는 매우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다. 설계도를 9레벨까지 업그레이드하는 데 필요한 고급 감염자 트로피의 개수는 설계도 하나당 최소 200개가 넘는데, 플레이어가 덜 성장한 상황에서 레벨 스케일링으로 적이 강해지면 바이럴을 비롯한 특수 감염자를 처치하기 매우 버거워지기 때문이다. 그러니 가급적이면 어느 정도 성장하여 설계도도 충분히 업그레이드한 후에 새 게임+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제작장인을 통해 제작하는 무기로도 적을 잡을 기회는 충분히 생기는 데다가 DLC/순례자 전초기지를 통해 무기를 보급받을 수 있고, 유물/전설 등급 무기 입수 난이도가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새 게임 +를 시작하기 전의 준비 과정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

7. 에디션

이름 가격 스토리 DLC 1
<블러디 타이>
스토리 DLC 2
<뉴 프론티어>
(2024년 출시 예정)
독점 무기 장식 독점 의상 및 무기 바탕화면,
코믹북,
아트북,
사운드트랙
기타 아이템
리로디드 에디션 ₩ 66,000 O X X X X X
얼티밋 에디션 ₩ 99,000 O O O O O O
  • 리로디드 에디션(Reloaded Edition) (₩ 66,000)
    기본 버전. 2024년 2월 22일에 출시되었으며, 기존의 오리지널 버전인 스탠다드 에디션을 대체한다. #
  • 디럭스 에디션(Deluxe Edition) (₩ 88,000): 판매 종료
    {{{#!folding [ 구성품 펼치기 · 접기 ]
파일:DL2_Beautyshot_Deluxe_Edition_KR.png
  • 리로디드 에디션
  • 독점 무기 장식
    • 미니 UV 막대
    • 최고의 엄마 버켓
  • "전설(Legendary)" 의상
  • "전설(Legendary)" 무기 설계도
  • "전설(Legendary)" 패러글라이더 스킨
  • 즉시 인쇄 가능한 배경화면 자료
  • 디지털 코믹북
  • 디지털 아트북
  • 디지털 사운드트랙}}}
  • 얼티밋 에디션(Ultimate Edition) (₩ 99,000)
파일:DL2_Beautyshot_Ultimate_Edition_KR.png
리로디드 에디션 출시 이후 디럭스 에디션의 각종 구성품은 모두 얼티밋으로 이전되었으며, 판매 가격이 110,000원에서 99,000원으로 인하되었다.
  • 리로디드 에디션
  • 독점 무기 장식
    • 미니 UV 막대
    • 최고의 엄마 버켓
  • "전설(Legendary)" 의상
  • "전설(Legendary)" 무기 설계도
  • "전설(Legendary)" 패러글라이더 스킨
  • 즉시 인쇄 가능한 배경화면 자료
  • 디지털 코믹북
  • 디지털 아트북
  • 디지털 사운드트랙
  • 야간 경험치 2시간 부스터: 복용 시 야간에만 120분간 지속되며[8], 획득하는 야간 경험치가 100% 증가한다. 야간 추격 상태에서 피터지게 싸울수록 효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설 레벨을 올릴 때 매우 효과적이다. 하지만 딱 하나만 지급되기 때문에 전설 레벨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해당 부스터는 NPC 자이에게서 추가 구매할 수 있다.
  • 소량의 아이템 제작 자원 제공
  • 스토리 DLC 1개 추가(2024년 출시 예정)

8. DL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DLC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순례자 전초기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례자 전초기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업데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업데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도전 과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ying Light 2 Stay Human/도전 과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잉 라이트 2/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 첫 번째 밤을 보내면 얻는 업적 이름이 '굿 나이트 & 굿 럭'인데 이는 1편의 캐치프라이즈이다. 그리고 2023년 6월 30일 1.11 업데이트 이름으로도 활용되었다.
  • 출시 후 5년간 사후 지원이 예정되어 있다. 출시 이후부터 다양한 업데이트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굵직한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트위치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홍보가 이뤄지고 있다. 이외에도 유저와의 소통을 위해 공식 디스코드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유저와 개발자간의 질의답변도 이뤄지고 있다.
  • 1편과 마찬가지로 PC와 콘솔 등 각 플랫폼간의 크로스 플레이는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PC판은 예외로, 1편과 마찬가지로 스팀과 에픽게임즈 유저들의 크로스 플레이가 가능하다. 추후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할 계획이 있다고 하니 크로스 플레이는 언젠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
  • 1편과 마찬가지로 다른 창작물과의 크로스오버(콜라보)가 여러 차례 예정되어 있다. 먼저 테크랜드가 앞서 출시한 타 게임 콜 오브 후아레즈: 건슬링어와의 콜라보 이벤트가 진행되었고, 관련 번들 DLC도 출시되었다. 페이데이 2, 워킹 데드, 뱀파이어 더 마스커레이드, 포 아너 같은 다른 창작물과의 크로스오버도 이뤄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국내 배급은 디지털터치가 담당한다.[2] 듀얼센스 전용 햅틱 피드백 및 적응형 트리거 적용[3] 클라우드 버전[4] 클라우드 버전[5] 한국 시간 기준 콘솔은 0시, PC는 오전 9시에 출시[6] 폭력성, 언어의 부적절성, 범죄 #[7] 감염자들은 허리 미만 높이 출입구나 반쯤 열려 있는 문 틈새를 통과하지 못한다.[8] 효과가 지속되는 도중에 게임을 종료한 후 재시작해도 효과는 남은 시간만큼 계속 지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