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21:56:15

김승진(프로게이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4171e><tablebgcolor=#b4171e> 파일:광주 슬래셔 no text 화이트.pngGJ Slasher
2025 시즌 로스터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b4171e><colcolor=#fff>감독/코치[[이준호(e스포츠)|이준호
URS4
]] | [[남견우(프로게이머)|남견우
Yohwa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준영|주준영
Nizika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민성(2002)|박민성
Xbo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진(프로게이머)|김승진
SeolDaBi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강건|한강건
Gun
]]
KEL 참가팀 로스터 }}}}}}}}}}}}
파일:설다비하스스톤선수시절.png
<colbgcolor=#b4171e><colcolor=#fff> GJ Slasher
SeolDaBi
김승진
출생 2001년 5월 5일 ([age(2001-05-05)]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D 설다비 #
동의하시나영 #
포지션 브루저 (탱커)
경력 상금 ₩2,900,000[1]
소속
[ 펼치기 · 접기 ]
Motivantion
(2023.09.17 ~ 2023.10.08)
Take NP
(2023.11.26 ~ 2024.01.07)
Gold Rush
(2024.03.31 ~ 2024.04.14)
Hosadan
(2024.05.11)
TangleDabi
(2024.05.29 ~ 2024.11.11)
AVENGERS
(2024.11.15 ~ 2024.11.20)
DAEJEON CYBERS
(2024.12.25 ~ 2025.03.30)
Rabbit Apple
(2025.04.10 ~ 2025.05.17)
Pointy End
(2025.05.29 ~ 2025.08.03)
Modern
(2025.08.03 ~ 2025.10.26)
GJ Slasher
(2025.10.26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2]
1. 개요2. 상세3. 하스스톤 프로게이머 시절4. 플레이 스타일5. 선수 경력
5.1. 대회 경력
6. 논란
6.1. 화법 논란6.2. 기타 논란
7.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하스스톤 프로게이머이자 現 GJ Slasher 소속 이터널 리턴 프로게이머.

2. 상세

전엔 하스스톤 프로게이머로 이름을 날렸으며 지금은 이터널 리턴의 선수로 전업 변경했다. 대전 사이버즈에 소속됨으로서 프로게이머가 되기도 했으나, 지금은 팀에서 나와 내셔널 리그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

특이한 점으론 귀여운 것을 좋아한다는 것과 떡볶이를 좋아한다는 점이다. 이때문에 설다비는 팬들에게서도 끼순이라 자주 불린다. 설다비도 이 밈을 잘 알고 있는지 최근들어 박종우를 "쫑우님"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상당히 감성적이며 X나 디시인사이드에 적은 글중 일부를 보면 상당히 감성에 젖은 글이 쓰여져 있다. 약간 싸이월드 감성 느낌 난다.

스몰토크도 엄청 좋아하는 편이다. 다만 그 스몰토크의 느낌이 남자들이 하는 토크 스타일보단 여자들의 토크 스타일 느낌이 짙다. 이때문에 탱글다비에서 다비가 오면 항상 마이크가 비지 않았으며, 탱글다비X로 리빌딩한 뒤에 마이크가 심심해지자 설다비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생겨날 정도였다.

유일하게 호사단탱글다비에 입단한 선수기도 하다. 허나 둘다 팀원과의 합이 맞질 못해 방출되었다. 호사단의 경우에는 밑에 후술할 화법 논란으로 자주 얽혔던 변준영(Saten) 선수와 합이 안 맞았고, 탱글다비의 경우엔 합을 계속 맞춰보려고 노력했지만 리우리가 결국 팀의 성장곡선이 멈춰버렸다며 지쳤다고 토로했기 때문. 이를 본 박종우도 더는 안되겠다고 생각해 리빌딩을 선언했다.

최근엔 일부 유저들이 그를 선수로서 저평가 하는 등의 문제로 이터널 리턴 대회 자체를 포기하려 했으나 팬들이 따듯한 말을 전해줘 잠시 고민해보겠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그 뒤에 얼마 안되서 아마추어 팀을 창설했는데, 그 이름이 바로 Rabbit Apple(토끼사과). 이 팀이 생각보다 고무적인 성과를 내고 있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오뚜기3분커리가 CNJ Esports로 이적해버리나 설다비는 레빗애플을 유지하는 쪽을 택했다. 이 과정에서 '강건' 유저를 영입해 페이즈 2에서도 래빗애플로 팀을 꾸려 출전하게 되었다.

현재는 포인트 엔드란 팀을 창단. '분과'와 팀이 되어 시즌 7 LCQ에서 당당히 서킷 포인트 2등을 차지해 부산 베스파와 함께 대전 1일차에 진출하게 되었다.

3. 하스스톤 프로게이머 시절

옛날부터 즐겨 했던 직업이 사냥꾼이라고 2020년에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WEGL 인터뷰에선 자신이 따무새라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로 같은 시기에 하스스톤 프로게이머였던 따효니도 설다비를 기억하고 있다. 실제 오로나민C 대회에서 서로 겨룬 적도 있고 2025년 4월 24일 방송에서 금다비란 여성 유저의 목소리를 설다비로 착각해 따효니는 편견이 없냐며 웃음을 선사해줬다.#

이터널 리턴으로 전업을 변경한 뒤에도 가끔씩 하스스톤을 플레이한다. 웃기게도 탱글다비로 같이 팀을 뛰었던 지러브와 하스스톤 매칭에서 만나기도 했다.#

하스스톤 외에도 카드게임을 많이 하는데 최근에 즐긴 게임은 '포켓몬 카드 게임'. 즐기는데에 그치지 않고 실제 대회까지 나갔다. 이래나저래나 대회 체질인 모양.

하스스톤 대회 성적과 관련된 더욱 자세한 정보는 설다비의 트위치 정보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섀도우버스 대회와 관련된 정보도 있다.

하스스톤 대회 성적
  • WEGL 2017 KOREA vs WORLD PREMIER 슈퍼 파이트 4강[3] - 상금: ₩2,500,000
  • 2017 하스스톤 서바이벌 토너먼트(HST) 16회차 우승
  • 2018 하스스톤 챔피언쉽 투어(HCT) 방콕 투어 32강
  • 2020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 LA 103위 - 상금: $1,000.00 달러
  • 2020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 몬트리올 56위 - 상금: $2,250.00 달러

4. 플레이 스타일

본인은 루크를 제일 좋아하며, 실제로도 루크 장인으로 이름을 알렸고 그것으로 유명해졌다.[4]

일명, 호연번골의 패러다임의 주장자기도 하다. 실제로 정출 전에 호텔 - 연못 - 번화가 - 골목길로 이어지는 4루트는 온갖 장비가 한번에 다 나온다는 장점이 있어 여러 브루저들이 이 루트 자체를 돌려쓰기도 했다. 브루저 루크를 좋아해서 방관 루크가 유명한 시점에서도 브루저 루크를 사용했다.

주 험체는 〔루크, 다니엘, 마이〕로 주 험체에 들지 않을 뿐이지 혜진나딘도 잘한다.

이중 대회에서 제일 성적을 잘낸건 루크이며, 최근에 들어선 마이가 성적을 잘 낸편이다. 루크 특유의 감카무청 콤보를 활용해 적을 농락하면서 자신은 Q를 맞춰 기본 공격을 연이어 맞추는 플레이를 즐겨한다. 감카무청을 굉장히 잘 활용해 Q를 맞춘 후, 벽을 넘어 잠깐 적의 시야에서 벗어난 뒤에 다시 Q를 타고 공격하거나 감시 카메라를 아예 이동기처럼 써먹어 상대방의 뒤로 이동하기도 한다. 루크의 R 리메이크 전에는 시야에서 벗어났을 때, 궁을 사용해 적을 저격하고 다시 Q로 달려드는 콤보까지 사용했었다.

마이의 경우에는 굉장히 공격적인 플레이를 잘한다. 마이를 분류하면 탱커 포지션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설다비는 이 마이를 브루저처럼 다룰 수 있는 사람이다. 이 브루저 느낌의 마이를 통해 원거리 딜러를 도발해서 직접 탱킹하면서 원거리 딜러를 같이 때려 눕혀버리기까지 하는 플레이를 잘한다. 탱글다비 시절에 이 마이의 도움을 많이 받았으며, 대전 사이버즈에 와서는 〔현우, 레니, 마이〕 조합을 꺼내 특유의 지속력과 딜링으로 적 팀을 교란시켰다.

5. 선수 경력

정식 출시 전, CleanGuard 팀으로도 유명했다. 당시 KCW 선수와 함께 팀을 짰는데, KCW는 니키를 설다비는 루크를 담당했다.

5.1. 대회 경력

6. 논란

6.1. 화법 논란

전설의 6.26 양궁장 사변[5]

일명, 설다비 특유의 화법이라 불리는 논란이 엄청났다. 하스스톤은 비교적 1명이서 플레이하는 게임이었기에 설다비의 화법이 큰 논란으로 번지진 않았다. 이는 이터널 리턴에 처음 왔을 때도 마찬가지. 당시엔 솔로 모드가 실력자들이 모인 모드였고 설다비도 여기서 랭커였기 때문.

진정한 논란으로 번지기 시작한 건 스쿼드 모드가 중심이 된 정식 출시 이후부터다. 이때를 기점으로 설다비의 말투 문제를 지적하는 여러 유저들이 많았고, 심지어 그 중심에는 사텐 선수도 있다.## 특히 플레잉 요소와 특유의 화법이 겹쳐 문제가 많았는데 보통 팀 플레이의 경우에는 자신의 개인 플레잉이 맞아도 팀적으론 맞지 않는 경우가 있고, 설령 맞았다고 해도 조율해야 하는 상황이 있는데 설다비는 이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특유의 화법으로 상대방에게 오해를 사는 경우가 많았다. 소위 말하자면 적을 안 만들어도 되는 상황에서 적을 만들어내는 화법.

심지어 사텐 선수와 논란이 생기고 나서 1~2달 뒤, 호사단 1기로 다시 만나게 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다. 여기서도 사텐과 설다비는 물과 기름처럼 다퉈대는 경우가 많아서 시청자들은 이를 설사대전이라 부르기도 했다. 먼 훗날, 사텐 선수는 후기 방송에서 지금에 와서는 별로 화나진 않는다며 설다비에 대한 악감정은 없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그러한 기억이 어렴풋이 나는지 같은 팀으로 엮여서 뛰진 않을 것 같단 소감을 남겼다.

이 말투로 인한 논란이 해소된 시점이 매우 놀랍게도 피닉스박이 속한 탱글다비로 활동했던 시점이라는 점이다. 여기서도 설다비는 자신 특유의 화법 때문에 팀 사이에서 논란을 만들어냈지만, 리우리와 박종우가 그를 차분하게 설득시키면서 설다비 화법에 대한 문제를 많이 지적했다. 이를 볼 수있는 가장 대표적인 사건이 양궁장 사변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와 답변을 설다비가 논점을 잘못 짚으며 해결점에서 계속 멀어졌기에 이를 지켜보던 시청자들의 뒷목까지 붙잡았었다.[6] 이 당시, 양준원(Glove) 선수가 MBTIT급 발언으로 설다비의 문제를 직설적으로 지적해줬기에 많은 시청자들이 T러브라 부르며 그를 칭송했다.

탱글다비에 속한 이후로 설다비가 논란 자체를 받아들였는지, 더이상 논란이 나올 만큼의 말투를 사용하지 않겠다며 자신의 화법을 고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7] 실제로 이 발언을 한 뒤의 설다비는 더 이상 말투로 인한 논란이 나오지 않는다. 때문에 지금의 설다비를 뉴네오설다비라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참고로 이제 거의 모든 선수와는 갈등이 해소된 상태이며, 더 이상의 갈등은 없는 상황이다.

설다비의 다른 논란은 전부 기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논란만큼은 파급력이 컸기에 메인으로 구분된다.

6.2. 기타 논란

  • X(구 트위터)에서 허위 미투 사건에 휘말렸던 피해자기도 하다. 이를 겪은 설다비는 X 출신과는 어울리지도 않는다고 한다. 이 때문에 한동안 대인기피증과 무대공포증에 시달렸다고 한다.#
  • 지금도 무차별적인 핑을 싫어한다고 하며, 호사단과 탱글다비에 입단했을 때, 이걸 싫어한다는 전제 조건을 말하고 들어갔다.[8] 특히 퇴각 핑을 싫어하는 모양인데 특유의 사람의 신경을 건드리는 효과음 때문에 그런듯하다.

7. 여담

  • 설다비의 어원이 상당히 특이한데, 설은 어렸을 때부터 어감때문에 썼다고 하고, 다비는 모 게임[9]의 클래스였던 다크나이트비숍에서 따와 합쳐 설다비로 지었다고 한다.
  • 리우리 방송에서 토끼사과를 깎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 탱글다비를 나온 뒤에도 여전히 탱글다비의 선수들과 친하게 지내고 있다. 같이 디스코드를 통해 게임을 즐기거나 하는데, 묘하게 같이 나간 前 팀원, 지러브와 엮이는 경우가 잦다.
  • 천시아 캐스터의 유튜브 컨텐츠, 비정상회담에선 특유의 화법을 보여주며 재미를 선보였다.#

[1] 팀 상금 & 정식 출시 이후 기준[2] 이터널 리턴에 대한 내용보다 카드 게임에 대한 내용이 좀 더 많다.[3] 8강에선 조 1위를 달성했다.[4] 루크를 제일 잘하는 사람을 뽑으라고 하면 기연 선수가 나오긴 하지만 루크를 잘하는 세 명의 선수를 뽑으라 하면 설다비가 이 중에 무조건 낄 정도로 잘했다.[5] 이 파급력이 얼마나 크냐면, 이후 탱글다비X에서도 고주가에서 비슷한 형태의 사건이 생겼는데, 이를 몇몇 시청자들이 고주가 사변이라 부르려하자 "이건 양궁장 사변급은 아니다."라며 대부분이 고개를 저었을 정도.[6] 오죽하면 피닉스박 편집자가 당시 양궁장 사변을 보던 시청자들의 악감정이 담긴 채팅을 전부 블라인드 시켰을 정도다.[7] 당시 유저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실제로 설다비가 바뀌겠냐는 의견이 더 많았을 정도.[8] 정작 이호종과 박종우는 별 생각없이 받아들였다. 이호종의 경우엔 방송각이 나올 것 같아서, 박종우의 경우에는 이런 사람도 있지하고 넘어가는 쪽이었다.[9] 추정되는 게임은 메이플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