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기능의학
1.1. 개요
전통의학과 기능의학의 비교 |
|
1.2. 역사
-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제프리 블랜드 박사 등이 체계화
- 1991년 기능의학 협회(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IFM)가 설립되며 본격화
- 201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한국기능의학연구소(KIFM) 등을 통해 확산
1.3. 원칙
- 개인화: 유전자, 환경, 생활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근본 원인 탐색: 증상 유발의 생화학적·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분석
- 통합 접근: 영양, 스트레스 관리, 운동 등을 결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
- 예방 강조: 질병 발생 전 조기 개입을 통해 건강을 유지
1.4. 진료 절차
기능의학적 접근 방식 |
1. 상세 병력 청취 |
2. 정밀 검사 |
3. 맞춤 치료 계획 |
- 식이 조절(예: 저염증 식단), 보충제, 생활습관 교정 프로그램 제시
- 3~6개월 주기로 치료 효과 모니터링
1.5. 주요 적용 분야
2. 관련 기관
- IFM(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기능의학 교육·연구를 선도하는 미국 비영리 단체
- KIFM(한국기능의학연구소): 국내 기능의학 보급 및 전문가 양성 기관
3. 비판과 논란
- 과학적 근거 부족: 일부 치료법이 임상연구에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음
- 고비용: 정밀 검사 및 개인별 치료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큼
- 전통 의학과의 갈등: 기존 의료계에선 과잉진단을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