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판 모노노케 시리즈 | ||||
극장판 모노노케: 우중망령 | → | 극장판 모노노케: 원혼의 재 | → | 극장판 모노노케: 뱀의 저주 |
극장판 모노노케: 원혼의 재 (2025) 劇場版 モノノ怪 火鼠 Mononoke Movie: The Ashes of Rage | |
<nopad> | |
<colbgcolor=#232230><colcolor=#ffffff> 장르 | 오컬트, 요괴, 미스터리 |
총감독 | 나카무라 켄지 |
감독 | 스즈키 키요타카(鈴木清崇) |
주연 | 카미야 히로시 |
캐릭터 디자인 | 나가타 키츠네코(永田狐子) |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 타카하시 유이치 |
총 작화감독 | |
미술감수 | 쿠라하시 타카시(倉橋隆) |
미술설정 | 카토노 요이치(上遠野洋一) |
미술감독 | 쿠라모토 아키라(倉本章) 사이토 요코(斎藤陽子) |
색채설계 | 츠지타 쿠니오(辻󠄀田邦夫) |
비주얼 디렉터[1] | 센즈이 요이치(泉津井陽一) |
3D감독 | 시라이 켄이치(白井賢一) |
편집 | 니시야마 시게루(西山茂) |
음향감독 | 나가사키 유키오(長崎行男) |
음악 | 이와사키 타쿠 |
프로듀서 | 사토 히로아키(佐藤公章) 스도 유키(須藤雄樹) |
기획 프로듀스 | 야마모토 코지(山本幸治) |
주제곡 | 아이나 디 엔드 「花無双」 |
제작사 | |
수입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 |
상영 시간 | 74분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스트리밍 | 넷플릭스 ▶[2] |
상영 등급 | 미정 |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2007년 방영된 모노노케의 완전신작 에피소드 극장판 시리즈의 제2장. 개봉 시기는 2025년 3월 14일.2. 개봉 전 정보
2024년 7월 26일, 제1장인 극장판 모노노케 카라카사 첫날 개봉기념 무대인사에서 후속편이 제작중이라고 하였다.2024년 7월 27일, 제1장인 극장판 모노노케 카라카사 개봉기념 무대인사에서 카미야 히로시가 다음날 제2장의 애프터 레코딩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
2024년 7월 28일, 제2장의 이름과 개봉일과 비주얼을 공개하였고 3부작으로 제작된다고 하였다.
X 공식 계정을 통해 2025년 3월 14일 공개를 예고했다.
2025년 8월 14일 넷플릭스에 공개되었다.
2.1. 번외편: 단편 소설
정식 공개 전 SNS를 통해 1부와 2부 사이에 벌어진 번외 에피소드를 담은 단편 소설을 공개 중에 있다.- 사부로마루 & 히라모토 - 극장판 모노노케 소설 - <평범한 친구>
- 경비병들 - 극장판 모노노케 소설 - <7번째 입구의 경비병>
3. 포스터
| | |
<rowcolor=#ffffff> 티저 비주얼 | 신 비주얼 | 메인 비주얼 |
4. 예고편
예고 제1탄 |
본예고 |
<rowcolor=#ffffff> 특별 예고 -투의 권- |
예고 영상 전집 |
5. 시놉시스
모노노케・카라카사와의 장렬한 싸움으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오오쿠에 나타난 약장수(카미야 히로시).
오오쿠에서는, 앞전의 사건의 여파로 변화가 생기고 있었다.
시녀장이었던 우타야마의 후임이 된 명가의 출신・오오토모 보탄(토마츠 하루카)는, 규율과 균형을 중시해 엄격한 관리를 한다.
그 결과, 천자의 총애를 한 몸에 받는 평민출신 첩・후키(히카사 요코)와의 사이에 균열이 생겨, 두사람의 사이는 안 좋아질 뿐.
천자의 정실인 미다이도코로[3] 유키코가 낳은 아기의 후견인 선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후키에게 찾아오는 상황을 일변시키는 큰 사건.
그 결과 보탄의 아버지 오오토모 로쥬 때문에 쫓겨난 남자들의 책모가 후키에게 찾아온다.
뒤엉키는 의도, 이윽고 폭주하는 "불끄기"의 책략.......
같은 시간, 갑자기 사람이 불 타오르고, 숯덩이되는 인체 발화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
모노노케의 소행으로 본 약장수는 사태를 수습하려 하지만, 무리로 행동하고, 신출귀몰한 괴이에 애먹는다.
약장수는 모노노케을 베기 위해 3가지 모양【형태・내력・까닭】을 밝혀낼 수 있도록 오오쿠에 둥지틀고 어둠 속에 발을 들여놓는다.
오오쿠에서는, 앞전의 사건의 여파로 변화가 생기고 있었다.
시녀장이었던 우타야마의 후임이 된 명가의 출신・오오토모 보탄(토마츠 하루카)는, 규율과 균형을 중시해 엄격한 관리를 한다.
그 결과, 천자의 총애를 한 몸에 받는 평민출신 첩・후키(히카사 요코)와의 사이에 균열이 생겨, 두사람의 사이는 안 좋아질 뿐.
천자의 정실인 미다이도코로[3] 유키코가 낳은 아기의 후견인 선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후키에게 찾아오는 상황을 일변시키는 큰 사건.
그 결과 보탄의 아버지 오오토모 로쥬 때문에 쫓겨난 남자들의 책모가 후키에게 찾아온다.
뒤엉키는 의도, 이윽고 폭주하는 "불끄기"의 책략.......
같은 시간, 갑자기 사람이 불 타오르고, 숯덩이되는 인체 발화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
모노노케의 소행으로 본 약장수는 사태를 수습하려 하지만, 무리로 행동하고, 신출귀몰한 괴이에 애먹는다.
약장수는 모노노케을 베기 위해 3가지 모양【형태・내력・까닭】을 밝혀낼 수 있도록 오오쿠에 둥지틀고 어둠 속에 발을 들여놓는다.
6. 등장인물
6.1. 주역
- 약장수모노노케를 죽이고 정화하는 힘을 가진 '퇴마의 검'[4]을 소유한 신비한 존재이다. 그는 귀신들린 듯한 괴이한 일에 시달리는 사람들 앞에 갑자기 나타나 어느새 그 자리에 어우러져 겉모습으로 주변 사람들을 사로잡는다.때로는 대담하게, 때로는 침착하게 모노노케와 그로부터 일어나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모노노케가 된 정념을 가까이 파고들어 끔찍하고 사나운 괴물과 마주한다.
6.2. 오오쿠 관련 인물
- 오오토모 보탄 - 성우 : 토마츠 하루카명문가 오오토모 가문의 가주, 오오토모 로쥬의 딸로 품위가 드높다. '카라카사' 사태 이후, 우타야마의 뒤를 이어 오오쿠의 관리자가 되며, 규율과 균형을 중시해 엄격한 차이를 보인다.
똑부러지는 성정으로 규율을 중시하며, 그렇기에 작중 중반까지는 융통성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카라카사 소동으로 피해자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자 망설임 없이 약장수의 개입을 인정하여 통행패를 내줬던 우타야마와는 달리, 모노노케가 일으킨 소동을 한번 보고 피해자까지 발생했는데도 허가받지 않은 남자의 출입은 오오쿠의 풍기와 규율을 어지럽힌다는 이유로 약장수를 잡아들여 처벌하려 했을 정도.[5] 두번째 피해자가 발생했을 때도 약장수를 들여보낸 사카시타를 꾸짖었으나, 사카시타의 진심이 담긴 설득을 듣고 히네즈미에 한해서 임시로 체류를 허용했다. 또한 규율과 균형을 중시하는 만큼 중립성 또한 강해서 일전에 여러번 크고작은 갈등이 있었던 후키에게 후궁들이 모인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태중의 아기를 노리는 세력이 있음과 그들이 일으킨 독살 미수건을 알려주며 경고해줬고, 후반부에서도 마츠와 그녀의 아버지가 후키를 함정에 빠뜨리려 했을 때 그들이 제시한 증거가 모략에 의한 가짜일 것이라는 소견을 밝혀 후키를 도와주었다. 히네즈미 소동이 막바지에 이를 때 아버지의 추악한 면과 히네즈미의 근원인 스즈의 내력을 알게 되어 심적인 변화를 겪고, 히네즈미 소동이 끝난 뒤에는 스즈의 한을 잠재운 약장수를 인정하고 그에게 자신의 명의로 발행한 통행패를 준다.
- 토키타 후키 - 성우 : 히카사 요코천자 눈에 들어 총애를 받고 있는 평민 출신 후궁으로, 규율을 중시하는 보탄과 점점 갈등이 깊어진다.
2부 시점에서 회임에 성공하나, 이를 질투하는 다른 후궁들과 관련 인물들의 암투에서 요주의 인물로 노려지게 되어 동생 사부로마루의 호위를 받게 된다. 작중 초중반에는 천자의 총애를 받는 점을 배경으로 궁중암투에 발을 담그며 권력욕을 드러내는 면모가 보였지만, 히네즈미 소동에 휘말리면서 불쥐의 근원이 된 스즈의 내력을 알게 된 뒤엔 정신적 성장을 겪어 이런 면모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닌 회임한 아이를 위해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6] 작중 초중반만 해도 오오토모 보탄과는 크고 작은 갈등을 빚어 별로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히네즈미 소동을 겪으며 보탄으로부터 연거푸 도움을 받은 것을 계기로 화해한다.
- 아사 - 성우 : 쿠로사와 토모요전편의 더블 주역 중 한 명. '카라카사' 사태 이후, 키타카와의 뒤를 이어 오오쿠의 공문서 관리를 맡는 「서기」직에 올랐으나, 여전히 당시 사건으로 입은 트라우마가 남아있다.
이번작에선 카메오정도 분량으로만 등장한다. 사실 스토리의 흐름을 보아도 2부에선 해당 사건과 관련이 없기 때문.
- 스이코 부인 - 성우 : 사카키바라 요시코천자의 어머니로, 사실상 오오쿠의 실세. 큰 권력을 갖고 있으며, 전통과 혈통을 매우 중시한다.
- 천자의 8첩
- 타케
천자의 8첩 중 한 명. 검은 피부와 노란 브릿지의 흑발, 갸루 화장 속성. - 카츠누마 마츠
천자의 8첩 중 한 명. 하얀 피부와 연한 금발 속성. - 스마
천자의 8첩 중 한 명. 하얀 피부와 진한 금발, 안경 속성. - 키요
천자의 8첩 중 한 명. 가장 나이가 어리며, 만두머리와 삼백안, 애교점 속성.
- 화재 감시반 죠츄들
- 쿠메
검은 일자 앞머리의 비녀로 틀어올린 흑발과 삼백안 속성. - 토메
비녀로 틀어올린 금발과 통통한 체구의 주근깨 속성. - 후쿠
우타야마의 前 직속 부하. 연한 적갈색 머리와 큰 키의 안경 속성.
- 사요 - 성우 : 유카나
오오쿠의 시녀 중 한 명으로 하얀 피부와 금발회안 속성. 후키의 동기로 후키가 천자가 선택받던 당시에 현장에 있었으며, 출세한 후키에게 질투심을 품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모노노케인 히네즈미에게 당해 인체발화 현상이 일어나며 첫번째 피해자가 된다.
- 쵸쥬 - 성우 : 사이토 키미코
천자의 명령을 받고 시중을 들 후궁을 선별함과 동시에 밤시중을 보조하는 이야기 스님(御伽坊主).[7] 본인은 천자의 밤일을 엿볼 수 있다는게 즐거워(...) 스스로 천직이라 생각하고 있다.
카츠무라 가문의 위세를 힘입어 이야기 스님이 된 만큼 그들이 사주를 받고 후키의 아이를 지우기 위해 암약하나, 등불을 통해 화한 잉걸불 형태의 히네즈미 새끼들이 달려들면서 인체발화 현상을 겪고 두번째 피해자가 된다.
- 경비병
- 사카시타 - 성우 : 호소미 다이스케오오쿠의 경비를 맡고 있는 히로시키반. 오오쿠에서 가장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7번째 입구에서 약장수와 만나 그의 수상한 움직임을 경계한다.
전작에 이어 이번에도 약장수를 쫓아다니며 태클을 걸지만 이는 겉으로만 그럴 뿐이며 모노노케로부터 오오쿠를 지킬 수 있는 존재는 약장수밖에 없음을 인정하고 도울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약장수를 비호하고 도움을 주게 된다. - 스도
- 아사누마
- 기무라
6.3. 막부 관련인물
- 천자 - 성우 : 이리노 미유막부의 상징으로서 세상을 통치할 최고위 통치자.
- 유키코 - 성우 : 타네자키 아츠미막부의 상징으로서 세상을 통치할 최고위 통치자인 천자의 정실(御台所). 출산한 장녀를 본인이 키우고 싶은 본인의 뜻과 달리 딸의 후견인을 정하게 되었다. 남편인 천자와는 미묘한 사이.
- 막부 4인의 고관
- 오오토모 고관 - 성우 : 호리우치 켄유막부의 이권을 다루는 4인의 고관 가문 중 하나인 오오토모 가의 가주이자 보탄의 아버지. 천자의 통치가 안정적으로 이어지게끔 애쓰고 있으며, 극중 혼란을 야기한 인체발화 사태에 대해 경계하며 해결하고자 한다.
본작의 메인 악역. 고관들 중에서는 가장 서열이 높은 인물이며, 도입부부터 취미인 장기를 두던 도중 전편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트집잡아 4장로 중 하나인 우타야마 가의 가주를 축출해 버리며 존재감을 과시한다. 작중에서의 위세는 사실상 오오쿠 전체를 배후에서 조종하는 흑막 수준으로, 위계질서에 기반한 정치적 안정을 이유로 자신의 딸인 보탄을 오오쿠의 총괄담당자로 올리는 동시에 후키의 임신을 계기로 일개 평민 출신인 토키타 가가 기존의 위계질서를 뒤집는 일이 없도록 견제하는 모습을 보인다. - 후지마키 고관 - 성우 : 호리카와 료막부의 이권을 다루는 4인의 고관 가문 중 하나인 후지마키 가의 가주. 막부와 오오쿠의 역학을 정리하는 조정관 역.
장로 간의 서열은 2위. 본편에선 오오토모의 거동 하나하나에 긴장하며 땀을 삐질삐질 흘려대는 모습을 보인다. 노골적으로 후키의 아버지인 토키타 요시미치를 아랫것 취급하며, 후키의 임신으로 인해 토키타 가에 권력이 쏠리는 것을 경계한다는 점에서는 오오토모와 같은 의견이다. 작중에서 오오토모의 수족으로 활동하는 것은 카츠누마인 관계로 비중이 많지는 않으나,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공기 같은 비중을 가진 탓에 결말까지 살아남아 어부지리를 누리는 인물. - 카츠누마 고관 - 성우 : 쿠스미 나오미막부의 이권을 다루는 4인의 장로 가문 중 하나인 카츠누마 가의 가주이자 마츠의 아버지. 후키의 임신으로 딸의 입지가 위험해질 것을 염려해 후키의 아이를 지우려고 암약한다.
본작의 악역 중 하나. 오오토모와 후지마키에 존대를 하는 것으로 보아 표면적인 서열 자체는 3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나, 후지마키와는 반대로 시종일관 여유로운 태도를 고수하기 때문에 낮은 서열이 크게 티가 나지는 않는 편이다. 오오토모가 어떤 사안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면 문제가 되는 요소를 앞장서 배제하는 실행범 역할. 작중에서는 태어난지 얼마 안 된 공주의 후견인 자리를 딸인 마츠가 받는 것을 대가로 현재 천자에게 가장 총애받는 후궁인 후키가 밴 태아를 제거하기 위해 오오쿠 내의 관계자들을 매수하는 모습을 보인다.
- 토키타 요시미치 - 성우 : 쵸후키와 사부로마루의 아버지. 원래는 포목점을 운영하던 평민이었으나, 딸 후키가 천자의 후궁으로 발탁된 혜택으로 무가에 입성할 수 있었다. 원치 않게 오오토모 로쥬의 장기 상대가 되어주는 중.
- 토키타 사부로마루 - 성우 : 카지 유우키토키타 가문의 3남이자 후키의 남동생으로, '카라카사' 사태 이후 오오쿠에서 지내는 후키의 호신을 담당한다.
7. 설정
8. 음악
8.1. 주제가
주제가 花無双 화무쌍 | |||
AM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232230><colcolor=#ffffff> 노래 | 아이나·디·엔드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32230><colcolor=#ffffff>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8.2. 엔딩
엔딩 渇望 갈망 | |||
A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232230><colcolor=#ffffff> 노래 | 아이나·디·엔드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32230><colcolor=#ffffff>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9. 평가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10.1. 대한민국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rowcolor=#ffffff,#fff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
1주차 | 20XX-XX-XX. 1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
2주차 | 20XX-XX-XX. 8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
3주차 | 20XX-XX-XX. 15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
4주차 | 20XX-XX-XX. 22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8] |
10.2. 북미
10.3. 중국
10.4. 대만
10.5. 일본
10.6. 영국
10.7. 기타 국가
11. 기타
- 일본명으로 히네즈미라고 읽지만 한국에서는 '원혼의 재'로 부제를 붙였으며, 작중에서 모노노케인 히네즈미(火鼠, 화서)를 지칭할 때는 불쥐로 번역되었다.
[1] 촬영감독.[2]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3] 御台所, 쇼군의 부인에 대한 존칭으로 왕비와 같은 호칭[4] 속성은 땅의 '곤'[5] 이때는 사카시타가 일전에 약장수가 우타야마에게 받은, 지금은 유효하지 않은 통행패를 착각하여 약장수를 들여보냈다며 처벌을 감수하고 비호해준 덕분에(실제로는 사카시타가 보내준 게 아니라 약장수가 멋대로 뚫고 지나간 거지만) 보탄은 약장수와 사카시타 둘에게 경고만 하고 넘어간다. 그러나 여전히 약장수의 출입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약장수는 모노노케의 동향을 탐지하기 위해 쿠메와 토메, 후쿠에게 오오쿠 안에 천칭을 대신 깔아달라고 부탁해야 했다.[6] 히네즈미 소동이 끝난 뒤 그 여파로 수석 고관에 올라 오오쿠 내부의 동지가 필요해진 후지마키 고관에게 접촉해 그들에게 아이의 후견인을 부탁하며 그 대가로 육아를 자신이 전담할 것을 확약받아 오오쿠에서 아이를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정치적 센스를 발휘했다.[7] 실제로 오오쿠에 존재했던 시녀 직책 중 하나로 주로 나이든 시녀들이 맡았으며, 승려와 같이 삭발, 승복을 입고 오오쿠 내에서 쇼군의 보좌겸 외부 업무를 보았다. 또한 측실과 시녀들의 신체검사 밑 수색, 휘장이나 병풍 너머에서 함께 취침을 하면서 밤시중을 돕는 일도 했다.[8] ~ 20XX/XX/XX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