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8 22:51:57

그제

그저께에서 넘어옴
가까운 날짜를 나타내는 표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발화시
-3일 -2일 -1일 0일 +1일 +2일 +3일 +4일
그끄제 그제 어제 오늘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사건시
-1일 0일 +1일
전일 당일 익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막연한 날
대과거 과거 현재 미래
옛날 지난날
어젯날
오늘날 뒷날
앞날
}}}}}}}}}



1. 개요2. 단어의 변천3. 명칭

1. 개요

오늘로부터 이틀 앞을 말한다. '그저께'라고도 한다. 어제의 앞날이자 그끄제의 뒷날이다.

경상 방언으로 '아래'라 한다. 위·아래 할 때 아래가 옛날에 예전을 뜻하기도 했으니 어원이 같다. 방언 '아래'는 방향 '아래'와 달리 '아'가 장음이지만 사실 방향 '아래'도 본디 장음에서 준 것이다. 모레가 ㅔ로 끝난다는 것에서 '아레'라 쓰기도 하나 모레는 본디 '모뢰'라 예로부터 같아 온 '아래'와 어원이 다르니 '아래'가 옳겠다. 제주 방언으론 '그지게'라 한다. 방언 지도

'모레'와 같은 말인 '내일모레'와 달리 '엊그제'는 그제가 아닌 '바로 며칠 전'을 뜻한다.

2. 단어의 변천

기본 어휘인 만큼 예로부터 비슷했다. 송나라 사신 손목(孫穆)이 고려에 사신으로 와 고려말을 실은 책 《계림유사(1103)》에서 "그제는 기재라 한다(前日曰記載)"란 기록을 남겼는데, 적어도 고려 때부터 오늘과 비슷한 말로 날짜를 불러 온 것이며 그때 소리는 '그제'였을 것이다.

3. 명칭

나라별 그제의 표기
한국어 그제[고유어], 그저께[고유어], 거거일()[한자어][4], 재작()[한자어], 재작일()[한자어]
영어 two days ago, the day before yesterday
일본어 (おととい[고유어], おとつい[고유어][9], いっさくじつ[한자어])
중국어 (qiántiān)[흔히], (qiánrì)[드물게][13], (qiánr)[방언]
프랑스어 avant-hier
스페인어 anteayer
독일어 vorgestern
베트남어 ngày hôm kia
몽골어 уржигдар
라틴어 nudiustértĭus
러시아어 позавчера
스웨덴어 förrgår
이탈리아어 altrièri


[고유어] [고유어] [한자어] [4] 특이하게 거일은 어제가 아닌 지난날을 말한다.[한자어] [한자어] [고유어] [고유어] [9] おととい의 원형이다.[한자어] [흔히] [드물게] [13] 옛날에 쓰던 표현이다.[방언]

분류